3. 동형진행(sequence).hwp
3. 동형진행(sequence)
 
       
해설  |  
         
∎오른손 4~5마디는 2~3마디의 3도 아래 음의 동형진행을 취하고 있다. 왼손의 옥타브 진행을 포함하는 2, 3, (4), 5, 6마디 첫 박은 공히 감7화음(DD)의 성질로, 정확히 말하면 단3도 음정 차의 동형진행을 취하고 있습니다. (왼손이 쉼표 처리된 5째 마디 3번째 박 셋잇단음표의 1, 2째 음(F, Bb)은 둘째 마디의 음들과 장3도로 동형진행함)
∎네 번째 마디의 2~3째 음들은 둘째 마디 2~3째 음들에 대한 단3도 동형진행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네 번째 마디 첫 박 ㉠에 F-B-G#음이 들어가면 2째 마디와 같은 동형진행이 됩니다. (또 둘째 마디 첫 박처럼 감7화음의 성질이 됨)
* 2, 3, 4, 5, 6마디 첫 박의 화음이 모두 감7화음(DD) 성질을 유지하며 동형진행 선율의 형태를 보입니다.
◎ 감7화음: 단3도+단3도+단3도(감3화음+감7도) 화성단음계에서 구성되는 7화음( vii°⁷ )
 반감7화음: 단3도+단3도+장3도(감3화음+단7도) 장음계에서 구성되는 7화음 (vii
 ) 
◎ 7화음 성질의 종류
성질 구분  |  
          명칭  |  
          例  |  
         ||
우리말  |  
          영어  |  
          장조  |  
          단조  |  
         |
Major minor(Mm)  |  
          장단7화음  |  
          dominant 7th chord  |  
          Ⅴ7  |  
          Ⅴ7,Ⅶ7,Ⅰ7(화성/가락), Ⅳ7(가락)  |  
         
Major Major(MM)  |  
          장7화음  |  
          major 7th chord  |  
          Ⅰ7, Ⅳ7  |  
          Ⅲ7, Ⅵ7, Ⅳ7(가락)  |  
         
minor minor(mm)  |  
          단7화음  |  
          minor 7th chord  |  
          ⅱ7, ⅲ7, ⅵ7  |  
          ⅰ7, ⅳ7, ⅴ7  |  
         
Diminished minor(Dm)  |  
          반감7화음  |  
          half-diminished 7th chord  |  
          ⅶ∅7  |  
          ⅶo7(가락), ⅱo7, ⅵo7(가락)  |  
         
Diminished Diminished(DD)  |  
          감7화음  |  
          diminished 7th chord  |  
          ⅶd7,ⅶo7  |  
          ⅶd7(화성)  |  
         
minor Major(mM)  |  
          단장7화음  |  
          minor major 7th chord  |  
          ⅰ7(화성)  |  
         |
Augmented Major(AM)  |  
          증7화음  |  
          augmented 7th chord  |  
          Ⅲ+7(화성)  |  
         |
이 중 주로 많이 사용되는 7화음은 Ⅴ7, ⅱ7, Ⅳ7, ⅶ∅7, ⅶo7 화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