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칭
성
경
율법서
(Tora)
hr"AT
창세기
,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 신명기(5권)
예언서
(Nebiim)
~yaiybin.
여호수아
, 사사기, 사무엘상• 하,
열왕기상
• 하(6권)
이사야
,예레미야,에스겔(3권)
호세아
, 요엘, 아모스
오바댜
, 요나, 미가
나훔
, 하박국, 스바냐
학개
, 스가랴, 말라기(12권)
성문서
(Ketubim)
~ybIWtK
.
시편
, 욥기, 잠언
룻기
, 아가서, 전도서
예레미야 애가
, 에스더
다니엘
, 에스라
느헤미야
, 역대상• 하(13권)
명 칭
성
경
율법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5권)
역사서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 하, 열왕기상• 하
역대상
•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12권)
지혜서
(시가서)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5권)
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학개
스바냐, 스가랴, 말라기(17권)
유대인의 성경(TaNaK)의 순서
기독교인의 성경(구약)의 순서
1. 5경과의 차이점
1) 구약에 존재하는 3개의 커다란 편집 작품
• 모세 5경(Pentateuch)
• 신명기사가의 역사서(DtrG=Das Deuteronomistische
Geschichtswerk)
• 역대기사가의 역사서(ChrG=Das Chronistische
Geschichtswerk)
ⓛ 모세 5경
. 구약 안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
. 5경 안에도 역사적 사건/보도에 대한 자료들이 들어
있음
. 하지만 원래의 의도는 역사서술에 있는 것이 아님
→ 수많은 역사적 개별소재를 이용하여 신앙의 기초적
주제를 다루는데 있음
. 신앙의 주제 ⇒ <하나님은 누구인가?> 1)창조주
2)출애굽의 하나님(해방, 자유의 하나님)
. 역사전승의 편찬이 5경의 일차적 목표가 아님
. J/E/D/P는 역사성을 지닌 자료들이라기 보다 역사에
대한 신앙고백적 형태로 다듬어진 자료
G. von Rad: ”5경의 케리그마상은 역사에 대한 신학적
최대치를 지향한다”
. 5경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지니고 있음(H. Gunkel)
→ 크게 <설화(문학)>와 <율법>으로 구분
1) 설화문학 - 민담, 동화, 전설, 신화로 구성됨
a. 민담(Sage) : 개인, 종족, 민족의 운명에 대한 이야기
(영웅담, 원인론적 지역민담)
b. 동화(Märchen) : 시공간을 초월한 이야기
:동화적 모티브(창 3장 – 뱀/ 민 22장 – 발람)
헤르만 궁켈(H. Gunkel)
1862-1932
c. 전설(Legende)
: 종교적으로 거룩한, 중요한 인물과 장소 및 성물에
관한 이야기
: 성소전설(창 22장 - 모리아, 28장 - 벧엘)
d. 신화(Mythe)
: 신들의 이야기, 다신론적 배경
(창 6장 - 하늘의 아들들 + 땅의 딸들)
2)
율법 : 인간의 종교적 삶에 대한 규정
→ 십계명(출 20장; 신 5장), 언약서(출 20:22-23:19)
성결법(레 17-26장), 신명기 법전(신 4:44-30:2)
<5경> : 역사서로서가 아니라, 케리그마의 장르 속에서
읽혀져야 한다(복음서처럼).
: 5경을 지배하는 양식 - 케리그마
→신앙, 삶의 토대에 대한 서술
☞ “야웨는 이스라엘 민족의 하나님이다.”
“야웨는 인간과 세계의 창조주이시다.”
② 신명기사가의 역사서(DtrG)
. 신명기 ~ 열왕기하 (땅 점유 ~ 왕국시대)
. 어떤 특별한 역사관을 갖고 역사 전승들을 모아 편찬
한 첫 번째 거대한 작품(역사서)
⇒ 신명기의 중심사상을 근거로 이스라엘의 역사를 서술
. 신명기사가의 역사서 이전에는 수 백 년을 포괄하는 역사서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개별적인 작품들이 독립적으로 존재
(법궤 이야기, 다윗 등극사…)
. 마틴 노트(M. Noth)가 처음으로 주장 → 문학적으로
5경과는 상이한 구조
마틴 노트(M. Noth)
1902-1968
. ChrG에 의해 원본으로 사용된 역사작품
→ ChrG의 역사서술 자료(Quelle)로 이용됨
. 역사가 문학(Literatur)의 형태로 나온 최초의 작품
. 믿을 수 있는(역사성이 풍부한) 많은 역사적 보도들,
연대기적 자료들, 목록 등이 포함
③ 역대기사가의 역사서(ChrG)
. DtrG의 내용을 원본으로 부분적 발췌,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시도
. 두 번째의 거대한 역사서
(역대상 ∙ 하, 에스라, 느헤미야)
. 왕국의 역사는 사무엘/열왕기와 내용적으로 평행
. 역대기사가는 신명기사가의 역사서를 원본으로 삼아
새롭게 역사를 서술
. 아담에서부터 포로 후기까지 이스라엘의 전 역사를
서술
→ 역대상 ∙ 하 (아담 ~ 다윗 ~ 포로기)
<태초> <1000년><586~538>
:역대상 1-9장은 아담에서부터 다윗까지의 족보로 구성
→ 에스라 + 느헤미야 (포로 후기 ~ 400년까지)
: 고레스 왕의 칙령(538년)을 분수령으로 역대기와 에-느가 분리된다.
: 페르시아 지배하의 예루살렘의 정치, 사회, 종교, 경제적 형편을
전하는 유일한 역사서
2. 용어의 정의에 대한 문제
1) 역사서, 역사서술
① 민속적인, 구두로 전승된 민담, 전설, 신화와 같은 설화
문학과는 달리 본질적으로 문서로 쓰여진 작품
⇒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일종의 문학 유형의 모습을
지님
⇒ <역사는 사건의 기록이다. 기록 없이는 역사가 없다>
⇒ <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구분: 문자에 의한 기록 여부
∴ 모든 문서화된 역사서는 ‘쓰기와 읽기’의 기술을 전제
② 구두로 형성된 작품들과는 달리 문서로 기록된 역사서
는 3가지의 특징을 지님
.불변동성(unveränderbar)
.미래지향성(zukunftsbezogen)
.반복성(wiederholbar)
→ 수십 년, 수백 년 후의 인간은 역사적 사건 및 인물
에 대해 기록당시의 인간과 똑같은 경험을 하게 됨
→ 서로 다른 시대에 살던 인간이라 하더라도, 서로 다
른 역사관을 가졌어도 똑같은 역사작품을 읽게 됨
→ 역사서술은 ‘과거의 역사적 사건을 확정하는 작업’
(R. Ficker)
③ 역사서술은 영웅들의 사생활, 업적 등에 대한 주된 관
심을 보이고 있는 역사 민담, 설화들과는 다름
∴ 비록 시 ∙ 공간의 제한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하더
라도 원칙적으로는 공개적, 좀 더 광범위한 영역에
서 일어난 사건, 인물들을 대상으로 함
2) 구약의 역사서: 현대적 의미의 역사편찬과는 다르다.
① 구약의 역사서의 기록들이 현재적 개념에서의 역사
편찬과는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음
② 역사서 안에도 민담, 기도문, 개인족보, 전설, 시,
영웅담 같은 비역사적 요소들이 내재
. 하지만 구약의 역사서안에서 위의 내용은 독립적이지
못하고 좀 더 커다란 콘텍스트, 역사기록의 테두리
내에서 읽혀지고 있음
. 위의 비역사적 특성을 지닌 요소들이 역사편찬이라는
원래적 목적 안으로 들어와 용해
. 신명기사가(Dtr)의 역사신학(역사에 대한 신학적 이론)
안에서 이야기되고 있을 뿐임
3. 이스라엘 역사서술의 특징
•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사실
-이스라엘의 역사서술은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투스(기원전 485-425)보다 최소한 400~600년은 앞선 것임
• 이스라엘에서의 최초의 역사서술
1)다윗의 왕위등극사(삼상 16-삼하 5장) : 다윗 시대 기록
2)다윗의 왕위계승사(삼하 9-왕상 2장) : 솔로몬 시대 기록
1) 이스라엘은 인간의 역사를 하나님의 활동의 장소로
파악
① 고대근동의 역사서술과 구분되는 특징 중 하나
② 이스라엘 역사서술의 뿌리
.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 경험>을 통한 역사의식에
있었음
. 하나님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활동하신다
. 인간의 역사의 주인은 하나님
③ “이스라엘 사람들은 역사 속에서 활동하신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신앙으로부터 역사에 대한 숙고, 서술
을 시작하게 되었다”(G. von Rad)
→ 이것은 ‘일어난 역사’(geschehen)와
‘믿어진 역사’(geglaubten) 사이의 차이를 전제
→ 이때 역사로서의 구약은 이 세상으로의
<하나님의 개입>을 기록하는 책이 됨
→ 이스라엘 백성은 지상의 역사에서의 하나님의 자기
증명을 역사서에서 고백
게하르트 폰 라드
(G. von Rad)
1901-1971
2) 이스라엘 역사서술의 출발은 왕국의 탄생과 관련된다.
① 다윗-솔로몬의 통치기간 동안 민족의식은 야웨 신앙
이라는 종교적 토대 위에서 형성
② 이스라엘의 역사서술의 대상
. 공공의 사건들, 민족과 왕들의 체험, 국가간의 전쟁
③ 국가라는 체제 속에서 문서로 서술된 기록
⇒ 가족, 시골, 지파(씨족)같은 제한된 공간을 넘어서 왕국이라는
새로운 제도의 미래를 확고히 하려는 목적을 지님
<지파동맹시대 왕국시대로의 변화 현상>
1)
옛 전통질서가 붕괴되고 새로운 정신문명의 탄생
2)새로운 정신적 생산성과 생동성을 지닌 시기
3)내면의 세계가 새롭게 계발
4)세계질서의 테두리 안으로 진입되고, 이성적, 합리적
계몽주의 시대로의 전환
5)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역사의식의 변화
④ 개인적, 지파적 관심을 초월해 민족적 ∙ 국가적 운명에
대한 관심
예) 다윗의 왕위 계승사(삼하 9-왕상 2)
-하나님의 역사행위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서술방식에 의한 기록
-새로운 깊은 정신적-신학적 변화의 산물
. 구체적인 역사적(국가적) 목표를 갖고 기록
. 솔로몬 왕위 계승의 정당성, 국가안전, 통치의 권위
. 모든 인간이 자신의 뜻대로 계획, 행동하지만 실제로
역사를 주관(결정)하시는 분은 하나님
. 인간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행동하지만 결국
하나님의 뜻대로 진행
. 하나님은 인간 뒤에 숨어서 행동하심
. 역사 서술가는 역사를 서술해 나가면서 사려 깊게
역사를 이끌어가시는 <하나님의 역사계획>을 밝히고
있음
-왕국의 운명과 관련된 제도 및 사건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통해
왕국을 굳건히 세우려는 목적을 소유
☞ 이스라엘의 역사서술은 문학적이면서 동시에 신학적
형태를 취하고 있음
3) 이스라엘의 역사신학은 기원전 587년 역사적 파국을
경험한 후 윤곽을 갖게 됨
ⓛ 거대한 역사서가 탄생, 최초의 포괄적 역사 편찬물
. 신명기사가의 역사서 이전에는 수백 년을 포괄하는
역사 편찬이 존재하지 않음
② 신명기사가는 역사 서술에 대한 이전의 문서자료들을
수용하여 어느 정도 통일성 있는 형태를 만듬
<
여호수아 ~ 열왕기하>의 탄생: 바벨론 포로기
③ 신명기사가는 이 작업을 통해 광범위한 전체작품의
통일된 역사상을 그려냄
. “이스라엘의 역사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다스리는 어떤 원칙에
따라 구원 혹은 심판을 보낸 반복의 역사이다.”
⇒ 신명기사가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구원사적 진행
역사”로 서술
. 신명기사가는 역사 편찬을 통해
1)유일한 역사의 주관자 = 야웨
2)출애굽사건을 이스라엘 역사의 규범적 기준으로 삼음
☞ 레비 스트로스(C. Levi-Strauss)의 역사 이론
. 프랑스의 인류학자(1908-1991)
. ‘차가운 공동체’ 와 ‘뜨거운 공동체’에 대한 이론
a. 차가운 공동체(kalte-Gesellschaft)
: 역사의 위기, 변화에 처해있을 때 얼어버리는 공동체
: 역사적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쇠퇴를 경험
레비 스트로스
b. 뜨거운 공동체(heiße-Gesellschaft)
: 역사적 불행의 경험을 오히려 역사발전의 기초로
삼는 공동체
: 이스라엘의 역사는 이 ‘뜨거운 공동체’의 원형
: 이스라엘은 역사의 위기에 직면하여 새로운 역사
경험을 잘 소화해내었고, 발전의 요인으로 삼음
: 역사의 위기에서 역사의 의미(意味)를 찾음
→ 역사의 위기적 사건은 야웨의 구원사의 훼방꾼으로 간주
4) 역사서는 이스라엘 각 시대의 실존적 해석을 반영
① 시대에 따라, 현재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우에
따라서는 상반적인 경향을 지닌 역사서가 탄생
a. 이방 여인에 대한 상반적인 평가
<룻기>이방 민족, 여인에 대한 호의적, 긍정적 태도
→ 5개의 축제두루마리(Megillot) 중 하나로 칠칠절(맥추절)에 낭독
아가 - 유월절, 애가 - 예루살렘 파괴 기념일
전도서 - 장막절, 에스더 - 부림절
<과거 역사를 현재화하는 방법>
→ 룻기는 일반적으로 신명기사가 이전으로 소급할 수
없음
→ 다윗 족보와 이방여인(모압)과의 연결은 보편주의,
이방인에 대한 넓은 아량, 주변세계를 향한 열린
마음(후기 페르시아 시대 - 초기 헬라시대)이 반영
. 그러나 <에스라 ~ 느헤미야>
→ 이방여인을 불행, 심판의 기원으로 간주
(스 10장; 느 13장)
→ 제사장이 이방여인과의 결혼 시 추방 :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손자 요야다의 아들 하나가 호른 사람
산발랏의 딸과 결혼해서 그를 추방(느 12:28)
b. DtrG/ChrG
. 같은 역사를 다루고 있지만 서로 다른 신학의
경향을 보임
. 역대기사가의 역사서에는 북 왕국의 역사가 삭제
c. 친왕권적/반왕권적 본문들
. 친왕권적 본문 = 제왕시, 왕위등극사
. 반왕권적 본문 = 요담우화
② 이스라엘의 역사서 : 현재적 상황에 대한 실존적 해석
의 성격을 지님(DtrG – 바벨론 포로기, ChrG - 페르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