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NaK의 순서 : 수 - 삿 - 삼상 - 삼하 - 왕상 – 왕하
(땅 정복 → 왕국의 패망)
• 구약의 순서 : 수 - 삿 - 룻 - 삼상 - 삼하 - 왕상 – 왕하
⇒
룻기 = 원래적인 역사의 진행을 방해
= TaNaK에서 룻기는 성문서(역사서가 아님)
= 원래적인 편집의 순서 의도와는 다름
명 칭
성
경
율법서
창세기
,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 신명기(5권)
예언서
여호수아
, 사사기
사무엘상
• 하, 열왕기상• 하
이사야
, 예레미야, 에스겔
호세아
, 요엘, 아모스
오바댜
, 요나, 미가
나훔
, 하박국, 스바냐
학개
, 스가랴, 말라기(21권)
성문서
시편
, 욥기, 잠언
룻기
, 아가, 전도서
예레미야 애가
, 에스더
다니엘
, 에스라
느헤미야
, 역대상• 하(13권)
명 칭
성
경
율법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5권)
역사서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 하, 열왕기상• 하
역대상
•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12권)
지혜서
(시가서)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5권)
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17권)
유대인의 성경(TaNaK)의 순서
기독교인의 성경(구약)의 순서
1. 노트(M. Noth)이전의 가설들 : 원자료 가설이 지배적
1) 벨하우젠(J. Wellhausen)
- 『Die Composition des Hexateuchs』 1876/1877
- 『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 1878
ⓛ 5경의 문학비평적 연구방법을 DtrG에 그대로 적용
② DtrG = J + E (원자료가설)
③ DtrG에도 5경에서처럼 구두전승단계를 거친 설화들이
많다고 주장
벨하우젠
1844-1918
2) 드 베테(W. M. L . de Wette)
∙ 1817년, 수 ~ 왕하에서의 dtr적 개정 및 개작을 인정
∙
Dtr = 신명기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학자
3) 쿠에넨(A. Kuenen)
∙ 1861년, 두 번의 dtr 편집을 주장
∙ DtrG →1)기원전 600년경에 있었던 포로 이전의 편집
→2)포로기 동안에 행해진 편집
드 베테
1780-1849
쿠에넨
1828-1891
4) 횔셔(G. Hölscher)
∙ 1923년, Dtr편집 뿐만 아니라 Dtn(신명기)의 기록도
포로 후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소급
∙ DtrG + Dtn = 포로 후기로 소급
Dtn = 기원전 621년 요시야 종교개혁의 토대
2. 노트(M. Noth, 1902.8.3-1968.5.30)의 이론
-DtrG에 대한 이론을 체계화
-’신명기 역사서의 아버지’(O. Eissfeldt)
1) DtrG
① 통일된 역사신학, 연대기, 반복되는 독특한 어법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
② 노트는 Dtr을 단순히 전승의 수집가, 편집자로 바라
보지 않고 진정한 저술가(역사가)로 판단
. 구전 + 문서전승들을 모아 의도적, 계획적으로 거대한
‘하나의 역사서’(신 1장 - 왕하 25장)를 만들었던 역사 신학자
2) 자료들
(1) 주된 자료들
① 신명기(4:44-30:20)
② 토지점유 보도 모음집(수 1-12장)
③ 사사기에 있는 구원자 사화집 = 대사사 활동 모음집
(삿 3:12-9:55)
④ 사무엘서에 있는 사울-다윗 전승들 = 계승사, 등극사,
왕국탄생사
⑤ 열왕기에 있는 예언자 보도
→ 엘리야(왕상 17-왕하 1장)
엘리사(왕하 2-13장), 이사야(왕하 18:17-20:19)
⑥ 법궤 이야기(삼상 4-6장; 삼하 6장)
2) 보조 자료들
① 여러 목록들 - 인명, 도시, 행정 관리
② 연대기적 자료들 - 연대, 수명, 통치기간
<위 자료들은 Dtr이전에 어느 정도 고정된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3) DtrG의 구성에 대한 주장들
① Dtr은 이스라엘의 멸망을 하나님의 무능력 때문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의 죄로 인해 일어난 사건임을 보여주려고 함
∙ 왕국시대의 실패에 대한 설명을 시도
∙ 개인의 죄 때문만이 아님
∙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서 하나님께 순종했다면
⇒ 대국을 형성, 멸망하지 않았을 것임
∙ 하나님의 토라에 대한 불순종 ⇒ 패망
∙ 신명기적 인과응보사상이 각인되어 있음
<불순종 - 심판, 순종 – 축복>
② Dtr의 역사서술은 신 1:1-4:40에서부터 시작
. 이 부분은 모세의 연설
-요단강 저편에서 행한 연설(동요르단 땅에서의 연설)
-호렙산 출발 이후 동요르단의 땅 분배에까지 이르는
사건에 대한 경고적 성격을 지닌 회고 연설
③ 다음에다가 이미 있던 신 4:44-30:20을 첨가
. 제의의 중앙집중화가 주된 관심
. 신 4:41-43은 동요르단의 도피성에 대한 이야기
④ 신 31 – 34장을 추가
. 신 31장 : 모세를 통한 율법기록에 대한 보도 + 후계
자 여호수아의 임명(=모세의 고별 설교)
. 신 32장 : 모세의 노래
. 신 33장 : 모세의 축복
. 신 34장 : 모세의 죽음
☞ 위와 같은 작업의 결과
전승된 부분
중심부분에 대한 외곽의 틀을 입힘
<Dtr의 의도>: 40년 동안에 베푸신 하나님의 신실하신
능력을 회상(광야에서의 보호 + 땅 분배)시킴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배반을 강하게 대조시키기 위함
☞ 죄로 인한 징벌 및 심판
⑤ 여호수아서
. 이스라엘 백성의 성실은 하나님의 축복으로 이어진다
는 것을 강조하도록 구성
. 여호수아가 모세의 명령을 받아 백성들을 잘 인도하
여 백성들은 잘 순종 → 하나님의 약속들이 성취
. ‘순종과 축복’, ‘약속과 성취’의 도식
4) Dtr의 편집 기술
• Dtr은 역사의 중요한 전화점에서 유명한 신앙의
지도자들로 하여금
“연설”을 하게 함
-’약속과 성취’라는 도식 하에 역사의 중요순간에 회고의 형식으로
유명한 신앙적 지도자(모세,여호수아,사무엘,솔로몬)가 연설하는 형식
• 연설을 통해 과거를 회상, 현재에 대한 인식, 미래를
예측하도록 함
⇒ 역사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 것
① 모세의 연설 : 신 1:1-4:40 (광야시대에서 가나안으로)
② 여호수아의 연설
. 수 1장 : 가나안에 들어간 직후 땅을 정복하기 직전
. 수 23-24장 : 땅 정복 후, 여호수아의 고별사
(토지점령에서 사사시대로의 전환점)
③ 사무엘의 연설
. 삼상 12장 : 사사시대에서 왕국시대로의 전환점
④ 솔로몬의 기도
. 왕상 8장 : 예루살렘 성전 봉헌 기도
장막 → 성전 시대 개막
⑤ 이외에도 왕하 17:7-23; 22:16-17; 23:26-27; 24:3-4
에서는 이스라엘과 유다의 멸망에 대한 역사신학적 해석을 시도
⑤ Dtr은 곳곳에서의 연설 및 해설 작업을 통해 그의
역사신학적 논리를 전개시킨
. 역사는 백성들의 죄에 대한 심판
. 동시대인들에게 파국의 원인에 대해 대답
. 하나님은 백성들의 타락, 범죄에 대해 끊임없이 경계,
경고, 질책하셨지만 결국 이스라엘은 불순종하여
멸망 당한 것임
. Dtr은 국가와 성전의 멸망의 원인 → 야웨에 대한
끊임없는 불순종과 배교로 판단함
. 야웨의 역사적 정당성(Rechtfertigung)에 대한
논증을 펼치고 있음
→ “국가의 재난의 원인은 이스라엘에게만 있다”
→ 이스라엘의 과거 역사는 하나님의 계속된 경고와
백성들의 계속된 배반의 역사
→ 역사 가운데 행하신 하나님의 판결은 정당한 것
☞ 폰 라트(G. von Rad)
이스라엘의 역사 = 하나님의 심판 송영(Gerichtsdoxologie)
∴ Dtr에게 중요한 역사의 판단 기준
. 올바른 하나님 숭배, 모세를 통해 주어진 신명기
법에 대한 순종(가나안 신을 섬기지 말라), 신앙의 지도자
의 선포에 대한 복종
⇒ DtrG 전체의 통일적, 신학적 중심사상
1)신앙의 배타성, 2)하나님의 무형상성에 대한 명령
:주의) Dtr의 평가기준에는 예언자들이 선포했던 사회
윤리적 책임, 사회적 불의에 대한 고발이
등장하지 않음
-오직 종교적, 제의적 기준만이 등장
-올바른 행동에 대한 촉구보다는 잘못된 행동에 대한
지적에 집중
5) DtrG의 편집 연대와 장소 (M. Noth)
① 편집 시기 : 기원전 6세기 중반경
. 유다의 왕 여호야긴(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평생 동안 바벨론에서 체류)이 느부갓네살의 계승자
인 에월 므로닥(기원전 562-560)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난 직후(왕하 25:27-30)에 기록되었을 것
. 연대의 상한선: 기원전 560년경
. 연대의 하한선: 기원전 540년경 →
왜냐하면 DtrG에 성전재건(기원전 520-515)과
페르시아 제국(539-333)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
② 편집(저작) 장소 : 팔레스틴
(참고: 바벨론 - 에스겔, 제2이사야, P문서)
-팔레스틴으로 간주하는 이유들
1)가나안 우상숭배로의 타락에 대한 경고
2)예루살렘 성전을 기도의 장소로 생각(왕상 8장, 33-34장)
3)Gola(바벨론 포로민)에 대한 무관심
. 그러나 소긴(J. A. Soggin), 니콜슨(Nicholson)은
Gola로 추측(수 23:13ff; 신 4:29ff; 30:1ff;
왕상 8:46)
6) 신명기사가 : M.Noth는 4가지 이유로 한 명의 Dtr을 주장
① DtrG 전체에 흐르고 있는 독특한, 고정된 신명기적
언어의 사용
- 선택
(rx;b'), 언약(tyrIb.), 진실(tm,a,),
이방 신
(~yrihea} ~yhil{a/), 섬기다(db;[')
② DtrG 전체에 흐르고 있는 역사진행에 대한 동일한
도식의 사용
. 중요한 역사적 순간에, 중요인물의 입을 통해 역사를
회고
. 모세 : 광야 → 가나안 (신 1:1-4:40)
. 여호수아 : 가나안 → 땅 정복 전(수 1장)
땅 정복 후 → 사사(수 23-24장)
. 사무엘 : 사사 → 왕국(삼상 12)
. 솔로몬 : 예루살렘 성전 건축 후(왕상 8장)
③ 동일한 연대기적 어법의 사용
• 사사 :
“~가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고 xx년을 치리하고
죽으니라.”(삿 10:2; 12:7, 10; 삼상 4:18)
• 왕의 등장과 죽음 :
-반복되는 “서론적 공식문”과 “결론적 공식문”의
사용
a. 서론적 공식문
-예: 왕하 13:1-2(북 왕국의 왕)
왕하 14:1-2(남 왕국의 왕)
1)왕의 등극 때에 대한 대조연대표적 날짜 언급
-“북 왕국 00왕 xx년”
-“남 왕국의 00왕 xx년”
2)왕의 통치기간
3)왕의 종교적 태도에 대한 평가
☞ 유다 왕의 경우 아래의 2가지가 추가
4)즉위 때의 왕의 나이
5)왕의 모친 이름 및 고향
b. 결론적 공식문
-예: 왕하 12:19-21; 13:12-13; 14:28-29
1)더 세부적인 내용이 들어있는 역사 자료에 대한
언급
→ 솔로몬의 행장, 이스라엘 왕들의 역대기,
유다 왕들의 역대기
2)왕의 죽음과 그의 매장지에 대한 언급
3)죽은 왕의 계승자에 대한 소개
④ 고유한 신학적 개념의 사용
. 출애굽 사건에 대한 빈번한 인용 및 회고
-이끌어 냄
(ac'y')
-인도해 냄
(hl'[')
. 왕, 지도자를 dygin'로 표현
. 듣지 않음
([m'v' al{)
7) DtrG의 신학
① 노트는 DtrG가 부정적 목표를 향하고 있다고 판단
. Dtr은 하나님의 심판을 궁극적이며, 종결된 것으로 봄
. 포로로 끌려간 자들의 귀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보
이지 않음
. Dtr은 하나님의 미래 계획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음
-”Dtr은 자기 백성의 외면적 붕괴 속에서 성취된 하나님의 심판을
보았다. 그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한 번도 말하지 않았다”
② 얀센(Janssen)은 Dtr의 긍정적 메시지를 주장
. 볼프(H. W. Wolf), 폰 라트(G. von Rad)
니콜슨(Nicholson)도 동의
. 율법에 대한 새로운, 철저한 복종은 재건의 기회를
줄 수 있다고 Dtr은 생각
. 왜 역사에 대해 기록했겠는가?
-
희망을 주지 않는다면 왜 역사를 기록했는가?
8) DtrG안에서의 비통일적 내용, 모순 등에 대한 노트의
입장
① DtrG안에는 왕, 왕국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보임
. 다윗 왕조의 영원성과 기대에 대한 내용은 Dtr이전에 고정된 것으로
Dtr은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왕권제도자체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
② 사사시대에 대하여도 이중적 판단을 내림
-사사들 : 하나님이 보낸 구원자들
-사사시대 : 혼란의 시대(삿 17:6)
⇒ 노트는 이러한 문제를 두 가지 틀에서 해결
1)사용된 원자료의 문제이든
2)후대의 첨가이든
☞ 이 문제는 DtrG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방향을 제시
9) M. Noth의 공헌
a. 신명기가 여호수아 ~ 열왕기하까지의 거대한
역사서의 서론 구실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체계화
. 그 동안 신명기 = 5경의 결론으로 생각
. 노트는 신명기를 역사서의 출발로 생각
. 신 1-3(4)장은 신명기 법전(12-26장)의 서론이 아니
고 31-34장과 함께 신명기사가적 역사서의 머리말
(Prelude)
. 5경설을 부인하고 4경설을 주장
. 신명기 → 신명기사가(포로 시대에 활동)의 편집 작품
임을 밝힘
∴ 우리는 신명기를 5경의 결론임과 동시에 역사서의
서론으로 읽게 해주는데 있어서 중요한 초석을 놓음
b. Dtr에 의해 기록된 문장은 매우 많다는 사실을 밝힘
→ 중요한 전승들을 결합시키면서 많은 양의 신학적
진술을 기록
→ Dtr의 활동에 거대한 신학적 의미를 부여 :
거대한 역사서의 탄생에 초석을 놓음
3. Noth 이후의 학자들
1) 엡센(A. Jepsen) - 1953년
① 신명기사가 이전의 “열왕기”의 존재를 인정
. 열왕기는 원래 독립적이었으나 이것이 점차적으로
문학적 성장을 경험
② 왕상 2:10~왕하 18:8에 있는 대조연대표적 연대기
(the synchronistic chronicle)가 열왕기의 기초자료
. <열왕기의 기초자료>의 특징
- 기원전 8세기 말까지의 역사를 바벨론의 모형에 따라
서술
- 여기에는 신학적 반성이 전혀 없다
- 다윗 왕조의 우월성을 위해 기록
→ 북 왕조의 잦은 교체에 비해 남 왕조는 오랫동안
지속
③ 첨가자료들(3번에 걸친 확대, 편집 작업)
a. 제사장적 편집
- 기원전 580년경 예루살렘에서 솔로몬 ~ 므낫세 시대에까지
이루어짐(제사장적 관점에 의해)
- 왕하 23:4-15이 첨가
b. 예언자적 편집
- 예언전승의 관심 속에 예언자 본문이 삽입
- 기원전 561년 이후 예레미야의 제자에 의해 이루어짐
☞ 엡센에게 있어서 예언자적 편집은 신명기사가적 편집과 동일함
c. 레위적 편집
2) 폰 라트(G. von Rad) - 1961년
① “역사적 절망”에 대한 선포가 DtrG의 케리그마라는
노트의 이론을 반대
. 노트 → DtrG의 주제 : 이미 지나간, 끝나버린 자기
백성의 현재 역사
② 심판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도 선포했지만 희망적인
차원이 있음을 지적
. 다윗에게 주신 약속(삼하 7장)의 성취에 대한 선포가
DtrG의 최종 목표로 판단
. DtrG는 역사의 긍정, 희망을 주는 것으로 파악
⇒ 야웨가 이스라엘에게 원하는 것은 “돌아섬(bWv)/
Umkehr”이다
. 증거 →
왕하 25:27-30
여호야긴이 감옥에서 풀려났다는 사실을 기록하면서
끝마치는 것은 미래에 대한 밝은 희망, 열려있는 가능
성을 암시
3) 볼프(H. W. Wolf) - 1964년
① DtrG의 원래 케리그마는 하나님의 심판
② 그러나 DtrG에는 미래에 대한 긍정도 담겨 있음
. 편집의 주된 주제 :
“회개”
신 4:29-31; 30:1-10; 삿 2:11ff; 삼상 7:3; 12:19
왕상 8:46-53
. 회개라는 단어 속에는 미래에 대한 긍정이 숨어 있음
. 포로에서의 귀환에 대한 케리그마
→ 이것은 두 번째 편집자의 선포에 속함
* 볼프는 DtrG의 다층적 편집을 주장
⇒ DtrG의 다층성의 이론을 촉발시킴
③ 여호야긴의 석방에 관한 이야기로 DtrG가 끝나는 것은
다윗 왕조의 희망적 미래를 말하려는 본문이 아니다.
. 폰 라트의 의견을 반대
4) 크로스(F. M. Cross/ 1973년) + 프리드만(R. Friedmann)
① 2번에 걸친 Dtr의 편집을 주장
. 한 번은 희망, 긍정의 관점에서 편집
다른 한 번은 부정, 심판의 관점에서 편집
a. 포로 이전 요시야 왕 때의 신명기사가(DtrⅠ)
- 실제적인 저자로서 다윗 왕조에 대한 영원한 축복
(삼하 7장)이라는 관점에서 서술
F. M. Cross
1921~
- 요시야 종교개혁(왕하 22-23장)에서 최고의 긍정을
감지
- DtrG를 요시야 개혁의 결과로 간주
b. 포로기 때의 신명기사가적 편집(DtrⅡ)
- DtrⅠ의 저작을 재해석
- 왕하 23:25b-25:30(유다 왕국의 멸망)을 기원전 586
년 파멸된 상황에서 역사를 다시 서술
- 왕하 21:5-15
므낫세의 범죄 : 유다 왕국 멸망의 원인의 근거로 첨가
5) 괴팅겐 학파
∙ 스멘트(R. Smend) - 1971년
∙ 그의 제자들 :
디트리히(W. Dietrich) + 베이욜라(T. Veijola)
-한 명의 신명기사가(ein Deuteronomist)가 아니라, 하나의
신명기학파(eine deuteronomistische Schule)를 주장
-다소간의 불균형, 보충이 있다. 그러나 매우 유사한 언어양식과
정신이 이어진다. 저자는 바뀌었지만 정신은 유지되었다.
① 포로기 이전의 Dtr 존재를 부인
② 전체적으로 노트의 이론을 뒤따름
. DtrG의 전체적 통일성
. 포로기 때 기록
스멘트
1851-1913
③ 노트의 이론을 수정
a. 노트 :
∙ Dtr의 개작층은 비교적 적은 분량이다
∙ Dtr의 작업 이전에 전승자료들은 어느 정도 고정
b. DtrG안에 있는 서로 다른 관점, 모순, 상호 충돌의
원인은 3부류의 편집작업 때문
1)DtrH(Historiker) : 포로기 역사가
-왕국(사울)의 탄생에 대해 긍정적, 기본골격의 탄생
-역사서의 기본 골격 구상
2)DtrP(Prophetie/Prophetischer)
-예언전승 : 예언자적 설화를 첨가, 예언자적 역사신학을 대변
- 왕국에 대해 비판적
3)DtrN(Nomistischer)
-율법에 대한 강조
-역사에 대한 평가를 신명기적 율법에 기준
-왕국에 대해 부정적 : 근본적인 거부
-초기 페르시아 시대(연대): 539년 이후
④ 공헌
a. 포로기/포로후기의 다양한 신학적 발전 경향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함
-이 다양한 견해들은 오히려 포로기/후기 유대주의를
견고하게 함
→ DtrH : 하나님에 의해 선택된 예루살렘에서만 야웨
를 숭배하라
→ DtrP : 예언자들의 선포를 경청하지 않아 국가가 멸
망 ⇒ 왕과 백성 자신이 국가적 파국의 책임
→ DtrN : 예언자들을 율법설교가로 보고, 율법에 대한
복종으로 돌아오기를 요구
. 절대적 신권주의를 외침
. 율법 : 유일한 미래의 희망 → 하나님이 통치하시는
나라
b. 이후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테두리 내에서 연구를
진행
☞ 오늘날의 연구 진행
: Dtr이 역사서 이외에 다른 구약의 본문에 어느 정도
편집작업에 가담했는가를 밝히는데 주력
1)창 ~ 민(4경)에서의 Dtr 편집작업
2)예레미야를 비롯한 모든 예언서에서의 편집작업
3)몇몇 시편에서의 Dtr 편집작업
4)지혜문학안에서의 Dtr 편집작업
: 구약 안에 광범위하게 펼쳐있는 신명기사가의 언어
와 신학을 밝히도록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