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명기(Deuteronomium) : 모세 시대의 역사
-막 12:28ff: 서기관이 예수께 질문-”모든 계명 중 첫째가 무엇이냐?”
-예수는 신 6:4-5로 대답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을 사랑하라”
-구약의 핵심을 신명기에서 찾은 것이고, 신명기가 신약시대 때에도
이스라엘 백성들의 신앙세계에서 중요한 역할 감당했음을 증거
1) 이름
① 칠십인역(LXX)
- 신 17:18의 “이 율법서의 등사본”
(hr"Ath; hnev.mi) 이라는 말
을 “두 번째 율법”(deuteronomion)으로 오역한데서 기인
- deutero(두 번째) + nomos(법)의 합성어
② 신명기의 율법수여
. 첫 번째 율법수여- 시내산 위에서
. 두 번째 율법수여- 모압 땅에서 ⇒ 신명기
a. 시내산에서의 제1의 말씀(출 19:1-민 10:10)
- 이 시내산의 법 : 제1의 법(토라의 핵심)
- 야웨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에게 직접 선포하신
말씀(출 19:3)
- 모세는 중개자일 뿐
- 대상 : 출애굽의 제1세대(고센 → 홍해 → 시내산)
b. 모압땅에서의 제2의 말씀
- 제2의 법 : 신명기
- 모세 : 단순한 중재자가 아님
→ 신명기는 모세의 직접적인 연설 = 모세가 선포한
말씀(1:1)
→ 모세에게 행한 하나님의 연설이 아니라,
백성(회중)을 향한 하나님의 간접적 명령
→ 신명기는 모세가 이스라엘을 가르치고 훈계하는
권면, 설교, 유언
→ 신명기는 일종의 고별사
- 연설의 대상(청중):
40년의 유랑생활 동안 새로 태어난 출애굽 제2세대
- 신명기는 출애굽 제1세대에게 주셨던 시내산의 율법
을 모세가 해석하여 제2세대에게 들려준 하나님의
말씀:
-신명기는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주신 계시의 말씀을 과거의 것으로
돌리지 않고 ‘현재화’시키고 있다.
- 이 점에서 신명기는 시내산 율법과 밀접히 관련
- 신명기는 시내산 율법을 전제, 재해석, 새로운 적용
<신명기=다시 듣는 토라>
☞ 실제로 시내산 율법과 신명기 사이에는 서로 평행하는 구절이 多
계약법전
원신명기
계약법전
원신명기
출 21:1-11
신 15:12-18
출 23:2이하, 6-8 신 16:18-20
출 21:12-14
신 19:1-13
출 23:4이하
신 22:1-4
출 21:16
신 24:7
출 23:9
신 24:17이하
출 22:16이하
신 22:28-29
출 23:10이하
신 15:1-11
출 22:25
신 23:19-20
출 23:12
신 5:13-15
출 22:26이하
신 24:10-13
출 23:13
신 6:13
출 22:29이하
신 15:19-23
출 23:14-17
신 16:1-17
출 22:31
신 14:3-21
출 23:19 전반절 신 26:2-10
출 23:1-
신 19:16-21
출 23:19 후반절 신 14:21후반절
▶ 계약법전(출 20:22-23:19)의 규정들과 신명기의 핵심
(12-16장=원신명기)의 계명들과 일치
☞ 블렌킨소프(Blenkinsopp)는 신명기법전(12-26장)을
계약법전의 확대판, 해설판, 수정판으로 간주
∴ 전체적으로 신명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 어떻게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가야 할지를
규명해 주고 있음
③ 申命記라는 한자이름
. 일본어, 중국어 성경도 같은 이름
. 神命記(하나님의 명령)도 아니고 新命記(새로운 명령)
도 아님
. 申 - 거듭 신, 펼 신, 기지개 켤 신, 낯을 살필 신
아홉째 지신 신, 원숭이 신
⇒ 이들 중 “거듭 신”의 의미가 적당
. 즉 “재차 말하다”, “거듭 밝히 알린다”의 뜻
. 신명기: 하나님의 명령을 거듭 밝히 알리는 말씀
. 신명기 ⇒ 거듭 강조하는 계명, 제2의 계명
2. 문학유형 및 구조
1) 신명기는 복합적 성격을 지님 : 복잡한 문학적 특징
-다층적 자료들의 ‘신학적 복합체’(Complex)이다. 내적 통일체를 이룬
단일체가 아니다. 서로 다른 전승들(역사,제의,율법 등)의
‘예술적 모자이크’다.
① ‘말씀의 모음집’(Sammlung der Reden)
-도입부분에 여러 차례 설교문체가 등장(1:1; 6:1; 12:1; 29:1; 33:1)
. 신명기의 제목 : ~yrIb'D>h; hl,ae (이것은 말씀들이다)
-이것은 신명기의 성격을 잘 표현(복수형-모음집임을 암시)
. 신명기 -모세가 선포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계시나 신탁, 역사기록, 시, 기도문이 아니다.
. 모세가 해석, 설파하는 하나님의 말씀 및 가르침
. 하나님을 섬기는 자들의 (세속적,종교적)삶에 대한 말씀의 모음집이다.
. 모세는 가르침의 교사요, 스승이다.
② 신명기는 일종의 ‘설교’이다.
. 옛 전승들이 설교의 형태로 제시
. 전체는 모세의 입을 통해 전달된(이야기된) 설교
⇒ 모세가 모압땅, 요단강 저편에서 행한 고별설교
. 하나님의 말씀을 백성들에게 설교하는 형식으로 구성
⇒ 신 9:1 “들어라 이스라엘아”(쉐마 이스라엘)
⇒ 신명기 설교의 특징: ‘오늘날’이라는 단어의 반복
. 모세가 40년간의 역사를 회상하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가나안 땅에서 지켜 행해야 할 내용을 당부한 연설(설교)
⇒1)하나님의 역사회상 – 하나님의 구원역사의 반복성 설명
2)후손들에게 신앙적인 교육 시도
☞ 폰 라트(G. von Rad)
: 신명기는 전승사적으로 레위인들에 의해 예배 때
낭독, 이야기, 설교되는 과정을 통해 전승되었다.
: 레위인 = 신명기의 저자로 파악
: 신명기 편집층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신명기의 전승의 삶의 자리를 연구함
③신명기는 본질상 ‘율법’(Gesetz/ hr'AT)이다.
. 모세가 해석하여 전한 율법들, 법전이다.
. “신명기는 설교체로 전달된 율법문이다”(G. von Rad)
. “신명기는 법에 관한 설교 모음집이다”(R. E. Clements)
. 신명기는 설교체로 이루어진 Tora이다.
→ <율법에 관한 설교, 율법에 대한 가르침>
cf. 신 5-28장은 고대근동의 법조문과 같은 형식
<신 12-26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 ⇒
12:2-16:17 제의적 특별 규정들
16:18-18:22 관직법(왕, 사사, 제사장, 예언자)
19장-25장 형법, 민법(살인, 가족, 이웃, 도피성)
26:1-15 제의적 부록
Kodex Hammurapi
(함무라비 법전)
Dtn Gesetz
(신명기 법전)
Prolog(서언)
5-11장 Prolog(서언)
Gesetze(법 조항)
12-26장 Gesetzeskorpus
(율법 모음집)
Epilog(결어) : 축복과 저주
28장 Epilog(결어) :
축복과 저주
PARIS
함무라비 법전(유일한
진품)
④ 신명기(5-28장)는 “언약의 책”이다.
•신명기는 언약(계약) 체결의 형식을 취함
• 신명기는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계약을 맺은 백성임을
강조한다.
• 신명기는 “율법의 책”으로도 불리지만
(신 28:58, 61; 29:20; 왕하 22:8, 11; 23:24)
• 동시에 “언약의 책”으로 불림
(신 29:9,21; 왕하 23:2,3,21)
<신명기와 헷족속의 봉신조약문서(언약체결형식)와의 비교>
(멘덴홀/ G. E. Mendenhall)
: 신명기와 기원전 14-13세기의 힛타이트 제국의 봉신
조약과의 유사성을 연구
-구조적 평행성을 증명
히타이트 봉신조약
신명기 5-28장
1. 전문
5-11 역사적 서언과
2. 역사적 서언
원칙에 대한
3. 원칙에 대한 설명들
설명들
4. 개별규정들
12-26 개별규정들
5. 계약체결의 증인인 신들의 목록
6. 축복과 저주
28 축복과 저주
참고: 바인펠트(M. Weinfeld)의 주장
-오히려 기원전 8~7세기경 앗시리아와 체결된 봉신조약문과의
유사성을 주장
• 야웨 신앙의 틀 속에 용해시켜 메시지를 전함
• 즉 당시 절대 군주인 앗시리아와의 봉신 조약을 파기하고
하나님과 조약을 맺는다는 상징적 구조로 이해
⇒ 메시지 : 여기에 이스라엘의 참된 살길이 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군주로 섬겨야 한다.”
“이스라엘의 군주는 오직 하나님 한 분뿐이다”
2) 신명기의 구조
Ⅰ. 모세의 첫 번째 연설 : 말씀
(~yrib'D>)
1:1-4:43
A. 신명기 서론
1:1-5
B. 모세의 말씀
1:6-4:43
1. 회고 : 호렙산에서 모압 평원까지
1:6-3:29
2. 권고 : 이스라엘아 들어라
4:1-43
Ⅱ. 모세의 두 번째 연설 : 율법(토라)
(hr'AT)
4:44-28:68
A. 서론 : 율법 소개
4:44-49
B. 모세의 말씀
5:1-28:68
1. 권고와 경고
5:1-11:32
2. 신명기 법전
12:1-26:19
3. 축복과 저주
27:1-28:68
Ⅲ. 모세의 세 번째 연설 : 언약 맺기(tyriB>)
29:1-30:20
A. 머리말
29:1
B. 모세의 말씀
29:2-30:20
1. 권고 : 언약을 세운
29:2-29
2. 경고 : 언약의 내용
30:1-20
Ⅳ. 후기
31:1-34:12
A. 모세의 고별사
31:1-33:29
1. 모세의 마지막 지시
31:1-13
2. 모세의 노래
31:14-32:47
B. 모세의 죽음 보도
32:48-34:12
① 문학형식상 모세의 연설은 3번 반복
a. 첫 번째 연설 = 이것은 말씀이다(1:1)
(~yrib'D>h; hl,ae)
b. 두 번째 연설 = 이것은 율법이다(4:44)
(hr'ATh; taA)
c. 세 번째 연설 = 이것은 언약의 말씀이다(29:1)
(tyriB..h; yreb.dii hl,ae)
② “말씀 - 율법 - 언약”이라는 제목이 붙은 3개의 연설
③ 3개의 연설은 각각 서론+본론(모세의 말씀)의 형식
으로 구성
. 서론: 모세의 말씀을 소개하는 기능
. 본론: 회고 + 경고 + 권고로 구성
④ 후기(31-34장) : 복합적
. 여호수아 임명(31장) + 모세의 노래(32장) +
축복(33장) + 죽음보도(34장)로 구성
⑤슈미트(W. H. Schmidt)가 파악한 신명기의 구조 : 계단형
W. H. Schmidt
1935~
<슈미트 이론의 해설>
. 가장 중요한 핵심부분 = 12-26장(율법의 핵심→원신명기)
1)제의 장소의 통일 2)제의의 통일(정화)를 요구
(12; 14:22-29; 15:19-23; 16; 17:8-13; 18:1-8)
-가장 중요하고 엄격한 규정
-모든 제물이 한 장소에서 통일성 있게 드려야 할 필요성,
혼합종교적 요소의 금지를 요구
-(원)신명기의 가장 기초적인 율법규정→계속적으로 반복적으로 등장
. 12-26장을 내부(4:44-11:32; 27-28)와
외부(1:1-4:43; 29-30)가 감싸고 있는 형식
⑥ 크리스첸센(D. I. Christensen)이 본 신명기의 수사학
적 구조 : “동심원 구조”(A-B-C-B’-A’)=중앙집중형 구조
A. 밖에 있는 뼈대 : 회고(1-3)
B. 안에 있는 뼈대 : 연설(4-11)
C. 중앙에 있는 핵심 : 언약규정(12-26)
B’. 안에 있는 뼈대 : 언약체결 예식(27-30)
A’. 밖에 있는 뼈대 : 전망(31-34)
. 법전(12-26)을 축으로 전후 대칭구조
. 신명기가 다양한 편집과정을 거쳤어도 최종형태의 신명기는
예술적, 수사학적 구조 속에서 구성되었음을 보여줌
(신명기: 예술적 산문=Kunstprosa)
⑦브라우릭(G. Braulik)
. 신명기 법전의 순서는 신 5장의 십계명에 따라 진행
→ “십계명식 편집 구조”
1계명: 12:2-13:19
5계명: 19-21; 22:1-12
2계명: 14:1-21
6계명: 22:13-23:15
3계명: 14:22-16:17
7계명: 23:16-24:7
4계명: 16:18-18:22
8계명: 24:8-25:4
9계명: 25:5-12
10계명: 25:13-16
• 브라우릭은 신명기를 십계명의 해석, 풀이, 설교로 파악
• 즉, 신명기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이루어진
특별한 관계를 풀이하는 신학적 해석
3. 연구사
- 5경을 모세의 작품으로 보는 것에 대한 회의가 생겨
나면서 비평적 연구들이 소개되기 시작
1) 드 베테(de Wette)
① 1805년, 신명기 연구의 새로운 장을 개척
② 신명기와 요시야 종교개혁(621년)과의 관계를 밝힘
(왕하 22-23)
-율법책의 발견(왕하 22:8)은 유다에 요시야 종교개혁을 일으킴
-율법책=신명기
. 참고 1) 벨하우젠(J. Wellhausen)
→ 요시야의 율법서 = 원신명기(12-26장)에 한정시킴
. 참고 2)
요시야의 율법서가 신명기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학자
→횔셔(G. Hölscher), 케네트(Kennet), 베리(Berry), 호르스트(Horst)
는 신명기의 연대를 포로기로 추정
-이유 : - 예레미야는 요시야 개혁에 침묵
- 왕하 22-23장은 Dtr의 삽입결과
- 뷔르트바인(Würthwein)은 왕하 22-23장은
Dtr 프로그램에 기원을 둔 역사적 허구
③ Dtn의 연대 및 기록 장소
. 기원전 8세기 중엽(750년경) 북 왕국에서 기록
. 북 왕국 멸망 후 예루살렘 성전에 묻힘
. 요시야 18년 621년에 발견됨
◈ 부록 : 신명기의 북 왕국 유래설을 지지하는 근거들
(1) 엘리야 - 엘리사 전승들과의 신학적 관련성
• 1계명을 위한 노력
• 혼합주의 배격, 순수한 야웨 종교의 회복
(2) 호세아와의 관련성
• 가나안 종교를 배격
• 왕권에 대한 비판적 자세
•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공통적인 강조(호세아 - ds,x,)
→ 신 6:5 “마음, 성품, 뜻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
(3) E문서와의 관련성
• “시험하다”는 개념(창 22:1(E) // 신 8:2, 16; 13:3)
히브리어 hs'n'
(4) 유다 왕국, 예루살렘에 대한 무관심
• 남 왕국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이방인을 왕(오므리)
으로 세우는 것을 포함한 왕정 이해(신 17:15)
• 일부 학자들은 제의의 중앙성소화 계명에서 시온신학
의 근거를 찾아내고자 시도
but - 신명기 자체에서는 “예루살렘”(시온)이라는 단어가
전혀 사용되지 않음
- 하나님이 선택하신 장소(신 12:5, 11, 14)를 예루살
렘으로 적용한 것은 남 왕국에서 그렇게 한 것
- 신명기가 예루살렘을 겨냥해 중앙집중화 계명을 말
한 것이 아님
- 후대에 그 계명을 시온에 적용, DtrG에서 예루살렘
을 지칭하는 것으로 수용(왕상 9:3; 11:36)
-오히려 왕국 성립이전의 지파동맹시대의 중앙성소를 반영
(벧엘,길갈,라마,세겜)
• 바인펠트(M. Weinfeld)는 신명기의 저자를 예루살렘
왕궁의 지혜자 집단에서 찾으나 수용하기 어려움
• 신명기는 다윗 전승/시온신학에 대해 무관심
- 다윗과의 언약, 시온의 선택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함
(5) 기원전 900-650(분열왕국~요시야)사이의 남 왕국은
구원사적 진공상태
• 하나님의 역사행위에 대한 고백들은 왕국 분열 이후
남 왕국에서 침묵
• 족장들에 대한 약속(땅, 자손), 갈대아 전승, 출애굽
전승, 땅 점유전승 등 이스라엘의 고대적 야웨종교의
전통들은 북쪽에서만 전승
- 엘리야 ~ 엘리사 ~ 호세아에서 고대 이스라엘 전승
들이 자주 등장
• 이사야는 위의 전승을 고백하지 않음 : 옛 부족동맹
전승도 알지 못함
- “다윗과 시온의 선택”(예루살렘의 신학)
→ 원래적인 야웨종교의 구원사상에 해당하지 않음
→ 원래적인 야웨종교의 선택전승에 속하지 않음
∴
결론 :
신명기는 북 왕국에서 생겨났고, 제2의 역사 및 운명은
유다에서 갖게 되었다.
2) 스테이어나겔(C. Steuernagel) + 스태르크(W. Staerk)
① 1894년, 신명기 안에 심한 인칭 변화에 주목
(12:1 ,12, 14)
② 오랜 자료 → 청중을 2인칭 단수
첨가된 문헌 층 → 2인칭 복수
→ 브라우릭(G. Braulik)은 위의 주장에 반대
• 인칭의 변화는 신명기저자의 문체적 특징
• 인칭의 변화를 가지고 신명기의 역사적 과정을 추론할
수 없다고 주장
3) 알트(A. Alt)
① 1934년 『이스라엘 법의 기원』
-단언법(apodiktisch)과 결의법(kasuistisch)의 구별
4) 폰 라트(G. von Rad)
① 1929년 『신명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백성』
- 신명기의 신학적 독특성을 파악
② 1938년 『6경의 양식사 문제』
- 신명기 본문의 편집층을 분석한 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최종형태의 신명기가 어디에서, 어떻게, 왜
전승되었는가에 관심
- “신명기라는 복합적인 문헌은 예배, 제의 때에 레위
인에 의해서 낭송되었다.”고 주장
- 신명기의 삶의 자리 : 예배, 제의
- 신명기의 저자 : 레위인
③ 1948년 『신명기 연구』
- 신명기 율법 설교의 특징을 밝힘
5) 바인펠트(M. Weinfeld)
① 신명기의 연설, 교훈은 지혜전승과 밀접히 관련
② 신명기의 언어와 지혜문학의 언어와의 유사성을 밝힘
. 신명기: 금언과 경구로 가득 차 있음
. 잠언서처럼 지혜적인 가르침이 多
신 8:5/ 잠 3:11-12; 신 6:7-8/ 잠 11:19-20
신 20:1-4/ 잠 21:31; 신 23:16/ 잠 30:10
신 4:2; 13:1/ 잠 30:5-6; 전 3:14
③ 지혜란 왕국을 다스리는 행정과 통치의 수단이므로
신명기의 저자는 예루살렘 궁중의 지혜 서기관 집단
• 신명기의 남 왕국 유래설을 주장
6) 신명기서의 탄생에 대한 일반적 견해
: 문서가설이 아닌 보충가설의 도움으로 설명될 수 있음
① 제1단계 - 북 왕국에서 원신명기(12-26)의 탄생
• 원신명기 : 신명기 율법의 핵심, 주요 계명은 제의의
중앙화(개별자료, 전승, 율법과 해설을 포함)
② 제2단계
• 5-11장과 27-28장이 첨가되면서 신명기서의 편집이
이루어짐
• 요시야의 개혁시대(남왕국에서) →(신명기적) 편집
③ 제3단계 : 포로기 때의 Dtr의 편집
• 29-30장이 추가, 5-11장; 27-28장안에도 지속적인
첨가가 이루어짐
• 한 저자에게 유래된 작업이 아니다→신명기학파의 탄생
• DtrG(1-4; 31-34) 전체 안에서 그것과 관련되어 첨가
∴ 신명기 안에는 신명기적 층(dtn)과
후대의 신명기사가적 층(dtr)이 혼재
but ⇒ 서로는 어느 정도 공통된 언어, 신학을 사용
포로 이전(Dtn)부터 포로기(DtrG) → 포로기 이후까지
(DtrP, DtrN) 걸쳐 활동
4. 신명기 신학
1) 한 하나님 - 한 백성 - 한 제의
① 한 하나님(ein Gott)
.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은 오직 한 분 야웨이시다”라
는 고백이 신명기의 中心
6:4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4:35 여호와는 하나님이시요, 그 외에는 다른 신이 없다
4:39 그런즉 너는 오늘 위로 하늘에나 아래로 땅에 오직 여호와는
하나님이시요 다른 신이 없는 줄을 알아 명심하고
7:9 오직 네 하나님 여호와는 하나님이시요, 신실하신 하나님이시라
<하나님의 단일성에 대한 주장>
. 가나안 종교의 유혹을 막을 수 있었음
. 바알종교의 다신론적 상황에 반하여 야웨 종교의
통일성을 제시
-위의 계명들은 제1계명의 탄생과 밀접히 연관
. 야웨 하나님에 대한 배타적 숭배로의 요구는
하나님의 유일성이라는 사상을 이끌어 냄
. but 엄격한 의미의 유일신론적 진술은 아님
유일신론적 사상으로의 발전과정에 서 있음
참고) 다양한 신론
• 범신론(Pantheism) - 자연, 혹은 우주 전체가 神
• 다신론(Polytheism) - 원시사회에서 성행, 희랍∙로마
에서 절정, 다수의 인격적인 신이 존재
• 단일신론(Henotheism) - 다른 신의 존재를 인정하면
서 그 중 한 신만을 숭배
• 유일신론(Monotheism) - 인격적, 도덕적 신은 하나
☞ 논쟁 주제 :
- 이스라엘은 처음부터 유일신론?
- 범신론→다신론→단일신론→유일신론으로 발전하
였는가?
• 엘리야의 공헌 : 바알종교와 야웨종교를 구분
- 야웨신앙이 바알신앙과 혼합(공존)할 수 없음을 외침
- 갈멜산의 결투
. 저급한 바알신의 능력과 위대한 야웨의 능력의 대결
. 야웨가 바알보다 위대하기 때문에 야웨를 믿어야
한다고 외친 것
. 왕상 18:21 →“엘리야가 이르되 여호와가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고 바알이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좇으라”
. 누가 이스라엘의 국가 신이어야 하는가의 싸움
. 바알이 아니라, 야웨가 숭배되어야 한다(단일신론)
. 아직 신의 유일성이 인정되지 않음
• 호세아 : 엘리야의 전통을 이어받아 바알리즘과의 싸움
을 계속함
- 야웨종교의 종교적 혼합을 거부
- 엘리야보다 더 강하게 비판
- 엘리야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가 이스라엘에서 바알
숭배의 모든 가능성을 부정
- 호 13:4
“나밖에 네가 다른 신을 알지 말 것이라, 나 외에는
구원자가 없느니라.” → 이스라엘과 하나님과의
독점적 관계를 의미
알다
([d;y") :
⇒ 이스라엘은 야웨의 신부이므로 바알에 대한 숭배
는 간음행위와 동일
⇒ 이스라엘에는 한 남편밖에 없다.
이스라엘은 한 남자만을 알아야 한다.
☞ 야웨는 절대적으로 유일한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다
. 세계의 유일한 신개념은 아직 나타나지 않음
. 아직 단일신론임
. 제2이사야에 가서 유일신론 등장
∴ <신명기의 특징>
- 하나님과 인간의 깊은 내면적 관계를 요구(6:5)한 것은
구약에서 매우 독특함: 호세아의 영향(헤세드)
- 하나님에 대한 전인격적인 사랑을 요구
- 하나님의 배타성을 인간적인 행동의 총체적인 개념
으로 이해
- 제1계명(율법)을 인간학적으로 해석
② 한 백성(ein Volk)
. 이스라엘은 세계 여러 민족들 가운데 하나님의 소유
로 선택된 유일한 민족
. 하나님은 이스라엘 한 민족만을 그의 소유로 선택
⇒ 이것이 선택사상 - 선민사상
(7:6 너는 야웨의 성민이다/ vAdq' ~[;)
. 여기서 중요한 단어는 선택(rx;B))')이다
→ 이스라엘과 하나님과의 관계의 기초를 규정해주는
단어
. 이 선택사건의 출발은 “출애굽 사건”
(6:12, 21; 7:8; 26:8)
.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
- 이스라엘의 본질을 규정해 주는 사상
- 이스라엘이 정치적 존재로 살아가는 원리
-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이 제의를 통해 하나님이 주신 땅에서
하나님을 향한 경외와 공의의 실천을 하도록 선택 받은 백성
- 율법 순종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는 사상
. 신명기는 한 번도 남 왕국과 북 왕국을 구분하지 않음
- 항상 “너/너희”를 통해 이스라엘 전체 백성을
하나님의 자녀로 선포
- 신명기에서 하나님은 “온 이스라엘”(5:1)과 대면
• laer'v.yi-lK'
③ 한 제의(ein Kult)
. 신명기는 하나님의 선택하신 하나의 장소(중앙성소)
에서 하나의 제의만을 요구
. 제의의 통일성, 성소의 유일성(배타성)을 요구
(12:5, 11, 14, 18, 26)
. 제물을 한 장소에 바치게 하고, 한 장소에서만
예배하도록 한 이유
⇒가나안 제의와의 혼합을 방지, 불법적인 이방제의
로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하고, 야웨종교의 이질화
현상을 방지하려고 함
. ‘하나님이 선택하신 곳’이라는 정형화된 공식→
제의의 중앙성소화의 신학적 근거를 제공
바알 산당
2) 성명신학(Name Theology : ~ve)
① 하나님의 이름 : ‘하나님의 또 다른 나’의 명칭,
하나님의 지상적 제2의 자아
② 야웨는 지상의 성전에 거주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
거주하신다는 사상
. 지상에는 그의 이름만이 거주
. 폰 라트(G. von Rad): “야웨의 임재사상을 비신화한 것이다.”
→ 중앙성소화 계명에 항상 “자기 이름을 두시기 위해”
(신 12:5)로 되어 있음
그러나
③이 사상은 야웨가 제의 장소에 인격적으로 임재하신다는
전통적 사상과 배치, 남 왕국의 시온/성전신학과도 맞지 않음
⇒ 이런 이유로 신명기에서 법궤의 의미는 다르게 해석
∙ 법궤 - 야웨가 보이지 않게 임재/현존하시는 보좌가
아니라, 단지 율법판의 보관소(신 10:1-5)
. 법궤의 기능에 대한 다음과 같은 고대적 관념을 변화
<법궤에 대한 고대적 관념>
a.하나님의 빈 보좌로서의 법궤(민 10:33-36)
→ 법궤는 이 땅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보좌
b.하나님의 현존으로서의 법궤(삼하 6:5, 14, 17)
→ 법궤는 인격을 지닌 존재, 하나님과 동일시
c.전쟁 수호신으로서의 법궤(삼상 4:3)
→ 전쟁 승리 수호신
④ 성명신학이 대두된 이유 및 배경
. 혼합종교적인 더러운 땅에 야웨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현존하실 수 없음
. 포로기 때 신명기사가에 의해 이 사상은 더욱 발전
.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때문에 Dtr은 성전과 야웨의
분리를 주장해야만 했음
. 성전은 파괴되었어도 야웨는 여전히 존재하심
. 야웨 하나님의 본질은 하늘에 계시므로 성전 파괴,
야웨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야웨를 여전히 만날
수 있고, 숭배할 수 있다는 신학적 근거를 제시
⇒ 포로기 때의 실존적 위기 상황에서 신학적으로
더욱 발전
cf) P기자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영광’개념과 비슷
↓
땅에 임재
3) 인과응보의 신학
① 신명기는 ‘순종-축복/불순종-심판’이라는 도식 속에서
역사 이해
. 순종 - 하나님의 선행하는 구원행위에 대한 필연적인
응답
. 율법에 대한 순종은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에 대한
이스라엘의 반응
② 인과응보 사상 속에서 하나님의 정의의 성취를 이해
③ 포로기 때 Dtr이 바라본 과거 역사에 대한 판정
. 하나님의 말씀(Tora)에 대한 순종이 있었다면 가나안
땅에서 대국을 이루었을 것
.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불순종 때문에 포로 생활, 가나
안 땅을 유업으로 받지 못했다는 역사신학적 성찰
. 개인적 삶의 불행 + 국가의 운명 ⇒ 야웨에 대한
독점적 성실성에 달려 있음(특히 신 28장)
4) 반(反)가나안적 특징
① 야웨 신앙의 복고적 노력에 속함
-야웨 신앙에 대한 보수적 추종자 집단에서 탄생(레위인)
-가나안적 종교요소에 대한 격렬한 공격
② 중앙성소화 계명
-야웨종교의 가나안化(가나안 산당에서의 혼합종교화)에 대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
③ 가나안적 주술행위, 제사행위, 종교적 풍습 일체를 거부
-인신제사, 문신, 복술행위 거부
신명기-야웨신앙을 추종하는 보수적 집단(레위인)의 결단
-레위인들의 신앙 개혁 운동의 산물
-레위인들: 전국적인 설교활동에 참여, 그러므로 신명기는 설교
문체와 기술 내포
④ 다양한 고대 전승의 수집 및 해석을 시도
. 족장, 출애굽, 시내산, 거룩한 전쟁 사상 등 고대 지파동맹의 언약
전승들을 수집,보관,해석
-복고적 프로그램으로서의 신명기 탄생
-최초로 탄생된 신학적 종합작품
. 호세아의 전승을 수용
. 다양한 고대전승들을 “하나님-그의 백성”이라는
신학적 도식에서 체계화시킨 최초의 거대한 신학
작품
-신명기의 저술 목적 - 이 땅에서 이스라엘이 어떻게 ‘하나님의 백성’
으로 살아갈 것인지를 규명
5) 인도주의적 법 정신
① 법 : 동족과 이웃에 대해 지켜야 할 삶의 도리
② 사회적 약자들(과부,고아,이방인)에 대한 관심(신 14:29)
③ 가축, 날, 땅 조차도 권리를 인정
. 안식일, 안식년, 희년 등은 약자들에 대한 권리 보호
→하나님의 창조 세계에 대한 보호
→토지 없는 자들에 대한 배려
→개인적 차원으로 해석되지 않고, 하나님의 사회정의의 차원에서
해석되었다: 사회적 평등원칙을 제시
④ 신명기의 법 : 사회개혁적 성격을 지님
a.전 백성의 ‘형제다움’(Bruederlichkeit)을 주장
-법의 형제윤리적 차원을 강조
-민족 공동체의 공동생활에 대한 관심
-신명기: 인간의 동등성에 기초한 휴머니즘적 계명
-하나님의 뜻에 대한 단순한 이론적 개괄이 아니라 실천적 요구이다.
b.이상사회의 실현 및 건설을 주장
-국가이전 시대의 사회적 균등 의식(Egalitaetsbewusstsein)을 주장
-지파동맹시대: 철저한 균등사회
: 왕국탄생과 함께 사회적 계층이 형성
c.신명기 ⇒왕, 사사, 제사장 등 사회지도층의 권력에 대해
철저히 제한(17-18장)
-신명기 법전은 이스라엘 사회의 권력이
특정 계층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
-신명기 본문들은 권력의 남용, 오용, 악용을 경고한다
d.신명기는 인간들의 공동생활과 관련된 법을 제시
(1)신 17:20
⇒ 왕 조차도 권력이 크게 제한되어 있으므로, 자신
의 형제들을 무시해서는 안됨
⇒ 신 17-18장은 왕, 제사장, 사사, 예언자 직무의 다
양성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은 동
등함을 암시
(2)신 15:2-3, 7 ⇒ 가난한 형제(과부, 고아, 이방인,
레위인)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강조
-무정하게 대해서는 안되고, 가난한 자들에게 빚을 탕감해주고
돌봐주어야 한다.
(3)신 24:5
⇒ 병역의 면제에 대한 규정들 : 개인, 가족의 권리를
공동체의 의무보다 우선시할 정도
- 신 20:10이하 ~ 전쟁법에 대해 설명
⇒ 외국인들의 대우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인간애의
태도를 보여줌(10:18; 24:14)
⇒ 적들에 대해서조차도 관대함
⇒ 다만 가나안인들만 우호적인 대우에서 제외
(그들의 종교가 크게 유혹했기 때문)(7:4-5.25; 12:2)
6) 과거(역사)를 현재화하는 신학
① 반복되어 등장하는 “오늘날”(~Ayh;)은 과거의 역사, 사건
을 일회적 사건이 아닌 반복적인 사건으로 해석
② 신 5:3-4
. “이 언약은 우리 열조와 세운 것이 아니요, 오늘날
여기 살고 있는 우리 곧 우리와 세운 것이다.”
. 모세의 연설은 수백 년을 초월하여 오늘의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연설됨
. 이스라엘의 과거는 현재 속에서 해석
③ 신명기와 함께 전승에 대한 해석의 시대가 시작
. 전승의 확대, 첨가, 새로운 탄생이 아니라 설교를
통한 전승의 해석이 시도
. 과거 전승의 현재로의 적용(전승의 계승)
6) 땅(hm'x}n;)을 하나님의 구원의 선물로 이해
① 땅 - 이스라엘의 안식처,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제공
한 삶의 축복
② 하나님이 주신 땅
. 아름다운 땅, 물이 풍부, 과일과 금은 보화가 풍부
(신 8:7-9)
. 하나님이 돌보시는 땅, 하나님의 눈은 그곳을 떠나지
않음(신 11:10-12)
. 지상의 낙원, 하나님의 백성의 행복을 위해 주어진
삶의 터전
. 이 땅에서 이스라엘은 모든 적들 앞에서 안식을 기대
할 수 있음(신 25:19)
③ 약속된 땅에서 거주하는 이스라엘
. 야웨는 가나안 땅의 소유주
. 땅(토지)은 매매의 대상, 부의 축적의 대상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