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약에서 오경의 위치
① 유대인들은 구약을 ‘타낙’(TaNaK)이라고 부름
• ‘타낙’이란 구약의 세 부분인 5경(토라), 예언서,
성문서의 첫 글자의 합성어
• TaNaK
- Torah (hr"At) : 구약의 기초(기본)
- Nebiim (~yaIybin.) : 토라의 주석서
- Ketubim (~ybiWtK.) : 토라의 주석서
명
칭
성
경
율법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 신명기(5권)
예언서
여호수아
, 사사기
사무엘상
• 하, 열왕기상• 하
이사야
, 예레미야, 에스겔
호세아
, 요엘, 아모스
오바댜
, 요나, 미가
나훔
, 하박국, 스바냐
학개
, 스가랴, 말라기(21권)
성문서
시편
, 욥기, 잠언
룻기
, 아가, 전도서
예레미야
애가, 에스더
다니엘
, 에스라
느헤미야
, 역대상• 하(13권)
명 칭
성 경
율법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5권)
역사서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상
• 하, 열왕기상• 하
역대상
•하,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12권)
지혜서
(시가서)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5권)
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 애가,
에스겔,
다니엘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17권)
유대인의 성경(TaNaK)의 순서
기독교인의 성경(구약)의 순서
율법서
(5권)
역사서
(12권)
지혜서
(5권)
예언서
(17권)
기 초
(전인류)
이스라엘 역사
(민족)
삶의 지혜
(개인)
하나님의 심판
(세계)
원 계시
과거
현재
미래
기 초
과 거
현 재
미 래
구 약
5 경
역 사 서
지 혜 서
예 언 서
신 약
4복음서
사도행전
사도의 편지들 요한계시록
2. 오경(Pentateuch)
1) Pentateuch = Penta(5)+Teuchos(두루마리 보관 상자)
-’5그릇에 보관된 책’이라는 뜻
-일정한 분량으로 나누어 특별한 용기에 보관했던
고대의 풍습을 반영하는 명칭
2) 5경=역사(歷史)+율법(律法)
-역사: 창조, 타락, 살인, 홍수, 족장, 출애굽(사건)
-율법: 십계명, 음식법, 제물, 제사장, 장막, 법궤(법조문)
3. 각 권의 주제
-5부분으로 나눈 것은 양에 따라서가 아니라, 내용과 신학과
사건 전개에 따른 것이다.
a.창세기(創世記)
-태고사(1-11장): 우주의 창조 – 세계와 인류의 기원(世界史)
-족장사(12-50장): 이스라엘 족장들의 가족사(家族史)
:아브라함(12-25장)
:이삭(26장)
:야곱(27-36장) - 12아들(지파)의 탄생
:요셉(37-50장)
b.출애굽기(出애굽記): 이스라엘 민족의 태동의 역사(民族史)
-애굽에서의 학대와 출애굽(1-15장)
-광야에서의 유랑(15-18장)
-시내산에서의 계시(19-34장)
:십계명 (20장)
-성소의 건립(35-40장)
c.레위기(레위記): ‘거룩한 백성’으로서의 백성(19:2)
-제의들의 제정(1-7장): 번제,소제,화목제,속죄제,속건제
-제사장의 성별(8-10장)
-성결규정들(11-15장)
-대속죄의 날(16장)
-성결법전(17-26장)
-성결제물들(27장)
d.민수기(民數記): 백성들의 숫자(2번에 걸친 인구조사,1:2//26:2)
-여러가지 규정들(1-10장)
-광야에서의 유랑(11-19장)
-동요르단 정복(20-36장)
e.신명기(申命記): 두 번째 율법
:첫 번째 율법 - 시내산 율법(출 20-민 10)
:두 번째 율법 – 모압 땅에서의 율법(신 1:1)
-모세의 연설(1-11장)
-원신명기(12-26장)
-모세의 죽음(27-34장)
시내산 위치
시내산-2286m
시내산 정상에 있는 모세기념교회
모압 평지
느보산(신 34:1)
느보산
모세의 놋뱀
지팡이
-이탈리아 피렌체의 조
각가 Joannes Paulus
Fantoni(1983년)의 작품
민수기 21:8-9
느보산 - 모세 기념교회
모세의 가묘(신 34:5-6)
<성경(聖經)>
1)書(서) - 저자가 한 말이나 직접 쓴 글(누구의 기록)
예) 전도서, 이사야서~말라기서
2)記(기) - 누구, 사건에 대해 남이 써 놓은 기록
(누구, 사건에 대한 기록)
예)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기,
사사기, 룻기, 사무엘기상하, 열왕기상하, 역대기상하,
에스라기, 느헤미야기, 에스더기, 욥기(표준새번역)
3)기타 – 시편(詩篇), 잠언(箴言), 아가(雅歌)
4.각 권의 연관성
a.인물중심적 관점
-모세의 전기(傳記)
-모세는 출애굽기부터 신명기까지의 주요인물
:출 2장 – 모세의 탄생
:신 34장 – 모세의 죽음
:창세기(족장사) – 모세 조상의 이야기
<출 6:14-25> 모세 조상의 족보
모세는 레위지파의 후예
모세: 야곱-이삭-아브라함에게 연결
b.내용중심적 관점(p.24)
-’약속의 땅’으로의 행진곡
-열국 백성 중 아브라함의 선택으로부터
약속의 땅 경계에 이르기까지의 행진
-’이스라엘의 전기(傳記)’
<갈대아 우르 – 애굽 – 광야 – 시내산 – 광야 – 모압 – 가나안>
<출발지> <경유지> <십계명> <경유지> <목적지>
c.신학적 관점(p.25)
1)외적인 테두리
-창세기: 약속-출발-축복(12아들)-야곱의 죽음-야곱의 매장
-신명기: 성취-도착-축복(12지파)-모세의 죽음-모세의 매장
2)내적인 테두리
-출애굽기: 애굽-광야-시내산
-민수기: 시내산-광야-모압
3)5경의 신학적 핵심: 레위기(p.26)
1-7장 제물
8-10장 제사장
11-15장 평일
18-20장 평일
21-22장 제사장
23-27장 제물
16-17장 속죄(贖罪)
■ 5경의 외적 테두리
창세기
신명기
약 속 → 성 취
출 발 → 도 착
축 복 →
(12아들에 대한 야곱의 축복)
축 복
(12지파에 대한 모세의 축복
)
야곱의 죽음 → 모세의 죽음
야곱의 매장 → 모세의 매장
■ 5경의 내적 테두리
출 애 굽 기
민 수 기
애굽 → 광야 → 시내산
시내산 → 광야 → 모압
12 : 유월절
16 : 만나+메추라기
17 : 바위에서 나온 물
32 : 바알 숭배
9:1~14 : 유월절
11 : 만나+메추라기
20 : 바위에서 나온 물
25 : 바알숭배
◎ 내적위협 : 불평과 우상숭배
◎ 외적위협 : 애굽과 아말렉
◎ 내적위협 : 불평과 우상숭배
◎ 외적위협 : 모압과 미디안
◎ 6번에 걸친 유랑보도
(XX에서 출발하여 XX에서
장막을 치니)
12:37; 13:20; 14:1f; 15:22;
16:1; 17:1
◎ 6번에 걸친 유랑보도
(XX에서 출발하여 XX에서
장막을 치니)
10:12; 20:1; 20:22; 21:10~11
22:1; 25:1
< 5경의 구조를 통해 본 메시지>
창 출
레
(속죄와
용서)
민 신
↳ 동물의 피를 통해(아사셀의 염소)
<5경의 신학적 핵심 : 레위기>
• 창 + 신 : 외적인 테두리
• 출 + 민 : 내적인 테두리
• 레 16장~17장 : 속죄와 용서의 하나님(대속의 날)
그가 지성소에 속죄하러 들어가서 자기와 그 권속과 이스라엘
온 회중을 위하여 속죄하고 나오기까지는 누구든지 회막에 있지
못할 것이며”(레 16:10)
1~7
제물
8~10
제사장
11~15
평일
16-17
속죄/구원
18~20
평일
21~22
제사장
23~26, 27
제물
< 레위기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