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7절 : 의인의 소망과 악인의 소망>
① 23+27절은 테두리 역할을 하고 있음
-의인과 악인의 소망, 소원의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
-두 절은 같은 단어 bAj (23a+27a)로 서로 밀접하게
결합
: 우리 성경에는 “선하다”(23a) + “선을 간절히
구하는 자”(27a)로 번역
② 24-26절은 구제를 통한 관대함과 자비를 권면
-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오히려 부유해질 것이다
-“지나치게 인색하게 살지 말라”
⇒ 특이한 것은 곡식 판매에 대한 권면이 등장
시대적 상황(가뭄, 흉작)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
: 자연재해로 인한 곡식 투기 현상
☞ 이웃이 배고플 때에 자기 곡식을 움켜쥐는 人은 복을 받지 못함
- 23~24절
• 23절
① 22절이 자연스러운 연결을 차단시켰지만, 23절도
24-26절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는 것은 아님
-23절(소원에 대한 문제) / 24-26절(구제에 대한 문제)
→연결시킬 수 있다면 사회를 향한 구제행위는 의인의 선한 행위에
속한다는 것
23)의인의 소원은 오직 선하나 악인의 소망은 진노를 이루느니라
24)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는 일이 있나니 과도히 아껴도
가난하게 될 뿐이니라
② “악인의 소망은 진노를 이룬다”
-70인역은 10:28에 근거하여 “끊어지다, 사멸되다”로
번역
⇒ 더 강한 표현
∵ 진노를 받은 결과이기 때문
. but MT가 더 좋은 대조를 이루는 표현임
의인의 소원-악인의 소원(소망)
오직 선-진노
. 그렇다면 “진노”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11:4의 “진노의 날”과 연결시켜보면 육체적 “죽음”
을 말함
• 24절
① 의인과 악인의 대조용법이 아니라 파라독스(역설)임
→ 놀라운, 비논리적인, 이해하기 어려운 진리의 역설
을 제시
② “흩어 구제하여도”
. 이 단어는 농부가 씨앗을 뿌리는 모습을 의미
. 즉 구제는 농부가 뿌리는 씨앗과 같아서 후에는 많은
결실을 맺는다는 것
. 이런 농경민적 배경을 지닌 비유언어는 26절과도
관련
⇒ 구제에 대한 강조는 21:26에도 등장
“의인은 탐하는 자가 아니라 구제하는 자이다”
사회구제행위와 의로운 행위를 동일하게 취급
- 25~27절
• 25절
① 24a절에 대한 부연설명의 역할을 하고 있는데, 반대형
이 아니라 동의형(전반절과 후반절이 같은 의미)
25)구제를 좋아하는 자는 풍족하여 질 것이요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
는 윤택하여지리라 26)곡식을 내놓지 아니하는 자는 백성에게 저주
를 받을 것이나 파는 자는 그의 머리에 복이 임하리라 27)선을 간절
히 구하는 자는 은총을 얻으려니와 악을 더듬어 찾는 자에게는 악이
임하리라
② “구제를 좋아하는 자”
. 직역하면 “축복의 영혼”
③ 다시 한 번 농사와 관련된 단어들이 등장
. “풍족하여 질것이요” : 기름지게 하다, 살찌게 하다
. “남을 윤택하게 하는 자” : 물을 주다 - 즉 남에게 물을
주는 자
→ 남에게 물을 주는 것은 농사짓는 人에게 굉장한
자기포기
• 26절
① 흉년, 가뭄, 전쟁 등의 특별상활 때 매점매석 행위가
“구제”라는 주제와 연결되어 해석
- 지혜자는 곡식 상인들의 매점매석 행위를 강하게 비난
고고학적 발굴물 : 상인들이 곡식을 저장하는 큰 저장
소들을 보유했었음을 보여줌
- 본문에서는 사기를 통한 사고파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님 : 오히려 곡식 투기 현상을 말함
<요셉이야기와는 다른 성격>
: 저축경제를 통한 과잉생산과 흉년을 극복하는 지혜
에 대한 것
: 애굽에는 오래 전부터 저축경제가 실시
: 설화자는 미숙한 농경민족이 이웃강대국으로부터
거대한 계획경제를 배우게 되었음을 경탄
<오히려 본문의 내용은 어리석은 부자의 이야기와
연결(눅 12:13-21)>
-“나”라는 단어가 12번 등장 : 이기적인 삶, 주변(이웃)을 보지 못하는 삶
• 27절
① 위의 구절들과 직접적인 연결점은 없음
. but 27절은 구제행위를 일반화시키고 있음
. 구제행위를 선을 구하는 행위로 평가
② 27절은 “찾다, 구하다”를 위해 3가지의 서로 다른
단어를 사용
. rx;v' (간절히 찾다)
vq;B' (찾다, 구하다)
vr;D' (연구해서 찾다)
⇒ 서로 유사한 의미를 지닌 단어를 의도적으로 사용
하여 구제행위를 촉구
“찾다” 자체가 사실을 행위의 출발
<28-30절 : 이익과 손해>
① 위의 단락과 메시지 면에서 일치
. 착한 일을 하면 생활이 풍요로워지지만 악한 人은
자신을 망치게 된다
. 이것이 현실을 지배하는 인과응보의 원리
. 지혜자는 이것을 야웨종교의 원리로 명시하지는 않지
만 자명한 것으로 전제
② 28절에 나오는 그림 비유인 “집과 나무”가 29절과 30
절에 각각 관련됨
. 29절 : 집
30절 : 나무
③ 29-30절은 그 자체로는 반대형을 이루고 있지 못하지
만 29절과 30절은 반대형을 이루는 독특한 형식으로
되어 있음
. 29절 : 미련한 자
30절 : 의인
- 28~30절
• 28절
① “자기의 재물을 의지하는 자는 패망하려니와”
. 23:5은 재물은 헛된 것이며 독수리처럼 날아간다고
교훈
28)자기의 재물을 의지하는 자는 패망하려니와 의인은 푸른 잎
사귀 같아서 번성하리라 29)자기 집을 해롭게 하는 자의 소
득은 바람이라 미련한 자는 마음이 지혜로운 자의 종이 되
리라 30)의인의 열매는 생명 나무라 지혜로운 자는 사람을
얻느니라
→ 재물 자체를 부인하는 것은 아님
재물을 신뢰의 대상으로 삼지 말라는 것임
신뢰와 의지의 대상은 오직 야웨
② “의인은 푸른 잎사귀 같아서 번성하리라”
. 구약에서 의인은 종종 푸른 나무/ 잎사귀에 비교
시 1:3; 92:13-15; 렘 17:7f; 아멘 엠 오페 5:20-6:12
⇒ 생명력, 결실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기 때문
• 29절
① “자기 집을 해롭게 하는 자의 소득은 바람이라.”
. 무슨 뜻인지 해석하기 난해
. “자기 집” = 단순한 건물을 의미하지 않고 가족 및
친척을 포함한 가정을 의미
. “해롭게 하는” = 불행하게 하다, 혼란스럽게 만들다
훼손시키다, 적대적으로 만들다
. “소득은 바람이다” = 바람을 소득으로 얻는다, 모든
것을 잃는다, 바람과 함께 사라
지다
⇒ 이 의미를 28절과 연결시키면 재물을 의지하는 삶
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 가정의 행복
: 가정의 불행, 아픔은 어떤 재산도 無로 만듬
어떤 경제적 이득도 소용없다(무용지물)
• 30절
① 어려운 해석
- 새번역 “의인이 받는 열매는 생명의 나무요, 폭력을 쓰는 人은 생명을
잃는다”
→ 하반절은 완전히 다른 해석
② “지혜로운 자는 人을 얻는다”
. xq;l' 는 언제나 빼앗김, 탈취를 의미
. 폭력적인 취함(부정적 의미)
③ “생명나무” ~ 3:18; 13:2; 15:4에서처럼 생명과 행복
의 근원을 의미
- 31절 : 결론적 핵심
① 형식적으로, 내용적으로 결론절이라고 말할 수 있음
-형식적으로 의문문의 형태로 점층법적인 강조를 보임
-이러한 형식은 잠 10:1-22:16에만 등장
-15:11; 17:7; 19:7, 10; 21:27
⇒ 어떤 중요한 순간, 결론적인 순간에 독자 및 청중의 결론을 이끌어 내는
수사학적 기술
31)보라 의인이라도 이 세상에서 보응을 받겠거든 하물며 악인과 죄
인이리요
② 인과응보의 법칙의 재확인, 재강조
- 전체장의 최종요약
: 지혜자는 이 세상에서 인과응보의 법칙이 확실히
진행되고 있음을 역설
2:21-22에서도 이 땅에서의 증명을 말함
: but 이러한 법칙에 대한 실망(현실과의 부조화) -
묵시문학을 탄생
③ 악인과 죄인이 동일시
→ 편집자는 의인과 악인을 종교적으로 이해
☞ 결론적 메시지(지혜로운 자)
a. 물질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는 자
b. 여인의 유혹에
“ : 가정의 중요성
c. 절제된 언어의 사용
d. 이웃과의 화목(이웃에 대한 배려) : 사회구제사업
e.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