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원대학교
K-CESA 결과보고
2021.6.
1
2
3
4
5
6
K-CESA 소개
결과요약
수준별 현황
영역별
T점수
학내 비교
추가분석①
- 학과별 비교분석
추가분석②
- 시계열 분석
K-CESA 결과 활용
1. 결과요약
진단 참여 인원
1018명, 전 영역 진단 완료 인원은 729명이며, 한 영역 이상 진단 완료인원은 761명임.
(계약인원은 900명이며, 한 영역 이상 진단 완료인원은 761명으로 진단율은 84.6%임.)
학년별로는
1학년 31.36%(319명), 2학년 23.5%(239명), 3학년 23.0%(234명), 4학년
22.2%(226명)임.
계열별로는 인문사회
(교육)계열 45.2%(460명), 자연(의약)계열 12.4%(126명), 공학계열
14.7%(150명), 예체능계열 27.7%(282명)으로 나타남.
성별 구성은 남학생이
49.6%(505명), 여학생이 50.4%(513명)으로 나타남.
1-1. 응시현황
_결과요약
구분
응시인원
*
비율
전체
1018
100.0%
학년
1학년
319
31.3%
2학년
239
23.5%
3학년
234
23.0%
4학년
226
22.2%
계열
인문사회계열
460
45.2%
자연과학계열
126
12.4%
공학계열
150
14.7%
예체능계열
282
27.7%
성별
남학생
505
49.6%
여학생
513
50.4%
* 진단 대상자로 등록한 인원이며, 완료인원과 차이가 있음.
1-1. 응시현황
_결과요약
[대인관계], [자기관리]역량 영역에서 우수 및 탁월 수준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4개 영역 중 [대인관계]역량 영역에서 우수 및 탁월의 비율이
40.9%로 가장 높고, 미흡 수준의 비율도 25.9%로 가장
낮게 나타남
.
[글로벌]역량 영역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9.1%로 가장 낮고, 미흡 수준의 비율은 47.1%로 나타남.
※ 수준은 탁월
, 우수, 보통, 미흡 4단계로 구분되며, 학생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결정됨.
- 수준은 전체 대학생을 기준으로 결정됨.
- [탁월]은 상위 10%이상, [우수]는 10~30%, [보통]은 30~70%, [미흡]은 70~100%가 해당됨.
1-2. 수준별 현황
_결과요약
자기관리
역량
대인관계
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40.9%
25.9%
58.4%
47.1%
30.1%
40.9%
14.0%
9.1%
미흡
우수 및 탁월
[자기관리]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30.1%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40.9%로
나타남
.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40.9%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25.9%로
나타남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14.0%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58.4%로 나타남.
[글로벌]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9.1%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47.1%로
나타남
.
1-2. 성취수준(탁월/우수/보통/
미흡
)
_결과요약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비수도권
(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음
수도권
(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음
비수도권
(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음
비수도권
(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음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영역별 T점수’ 부분 참고.
* 전 영역 T점수에 관한 기준값이며, 비교대상은 비수도권/전국/수도권 ‘4년제 대학’에 의거함.
1-3. 전체영역 T점수
_결과요약
•
6개 영역 중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고,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남.
•
[대인관계]역량 영역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은 성취 수준을 보임.
•
[글로벌]역량 영역의 평균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자기관리],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의 평균은 비수도권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자기관리역량
•
[자기관리]역량의 영역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4개 하위영역 중 (직업의식) 능력의 평균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4개 하위영역 중 (직업의식)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대인관계역량
•
[대인관계]역량의 영역 총점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5개 하위영역 중 (정서적 유대), (협력), (중재) 능력의 평균은 수도권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
5개 하위영역 중 (중재)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조직에 대한 이해)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1-3. 영역별 T점수
_결과요약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3개 하위영역 중 (정보), (기술) 활용 능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자원)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글로벌역량
•
[글로벌]역량의 영역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3개 하위영역 중 (타문화 이해), (글로벌화 이해) 능력의 평균은 비수도권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
3개 하위영역 중 (타문화 이해)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글로벌화 이해)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1-3. 영역별 T점수
_결과요약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에서 학년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
(p<0.05).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슬라이드 32, 33] 참고
[자기관리], [대인관계], [글로벌]역량 영역에서 계열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
(p<0.05).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슬라이드 34, 35] 참고
모든 영역에서 성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1-4. 학내 비교(학년/계열/성별)
_결과요약
모든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
(p<0.05).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 참고
모든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 참고
1-4. 학내 비교(학과/연도)
_결과요약
2. 수준별 현황
진단
참여인원
수준별현황
미흡
보통
우수
탁월
자기관리
역량
(명)
744
304
216
103
121
(%)
100.0
40.9
29.0
13.8
16.3
대인관계
역량
(명)
753
195
250
149
159
(%)
100.0
25.9
33.2
19.8
21.1
자원정보기술
활용능력
(명)
741
433
204
77
27
(%)
100.0
58.4
27.5
10.4
3.6
글로벌 역량
(명)
734
346
321
58
9
(%)
100.0
47.1
43.7
7.9
1.2
※ 영역별 미응시 인원을 제외하고 실제 진단을 완료한 인원이며
, 평점결과 ‘과락’인 경우를
제외함
.
2-1. 수준별 현황
_수준별 현황
자기관리
역량
대인관계
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40.9%
25.9%
58.4%
47.1%
30.1%
40.9%
14.0%
9.1%
미흡
우수 및 탁월
• [자기관리]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30.1%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40.9%로 나타남.
• [대인관계]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40.9%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25.9%로 나타남.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14.0%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58.4%로 나타남.
• [글로벌]역량의 경우, 우수 및 탁월 수준의 비율이 9.1%이고, 미흡 수준의 비율이 47.1%로 나타남.
※ K-CESA 미흡/보통/우수/탁월 기준은, 하위 30% 미만 / 하위 30%~상위 30% / 상위 30%~상위 10% / 상위10%이상입니다.
2-2. 영역별 역량 수준
_수준별 현황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
기술활용
글로벌
40.9%
25.9%
58.4%
47.1%
29.0%
33.2%
27.5%
43.7%
13.8%
19.8%
10.4%
7.9%
16.3%
21.1%
3.6%
1.2%
미흡
보통
우수
탁월
3. 영역별 T점수
• 6개 영역 중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고,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남.
• [대인관계]역량 영역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은 성취 수준을 보임.
• [글로벌]역량 영역의 평균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자기관리],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의 평균은 비수도권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3. 전체 영역
_영역별 T점수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활용
글로벌
48.0
53.0
44.6
47.7
48.9
48.6
46.6
46.7
50.0
50.0
50.0
50.0
51.1
51.4
53.4
53.3
목원대학교
비수도권
전국
수도권
※ 자기주도적 학습
: 스스로 학습동기를 고양하고 학습과정과 전략을 결정하여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
※ 정서적 자기조절
: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자신의 감정이나 기분을 조절하여 문제해결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
※ 목표지향적 계획 수립 및 실행
: 목표를 설정,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해 자기자신과 자원을 관리하고 활용하는 능력
※ 직업의식
: 자신이 속한 직장이나 조직에서 자신의 권리와 책임을 이해하고 직업윤리에 맞게 행동하는 능력
• [자기관리]역량의 영역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4개 하위영역 중 (직업의식) 능력의 평균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4개 하위영역 중 (직업의식)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정서적 자기조절)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_영역별 T점수
3-1. 자기관리역량
자기관리역량
자기주도학습
정서적자기조절
목표지향적능력
직업의식
48.0
47.3
46.9
48.8
53.1
48.9
48.7
49.2
49.1
49.3
50.0
50.0
50.0
50.0
50.0
51.1
51.3
50.8
50.8
50.7
목원대학교
비수도권
전국
수도권
※ 정서적 유대
: 조직 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여 신뢰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
※ 협력
: 조직의 일원으로 참가하여 그룹의 목표달성에 공헌하고 그룹 내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과 협력하는 능력
※ 중재
: 여러 사람 간 의견 차이나 갈등을 원만하게 조정하여 합의를 이끌어내는 능력
※ 리더십
: 자신의 의견과 의도를 정당화하고 타인을 설득, 기존의 절차나 정책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도전하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표현하는 능력
※ 조직에 대한 이해
: 조직 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기존 시스템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대인관계]역량의 영역 총점은 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5개 하위영역 중 (정서적 유대), (협력), (중재) 능력의 평균은 수도권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5개 하위영역 중 (중재)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조직에 대한 이해)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_영역별 T점수
3-2. 대인관계역량
대인관계역량
정서적유대
협력
중재
리더십
조직에대한이해
53.0
53.4
55.3
57.1
51.0
50.6
48.6
49.6
48.8
48.7
48.8
48.3
50.0
50.0
50.0
50.0
50.0
49.9
51.4
50.4
51.2
51.3
51.1
51.6
목원대학교
비수도권
전국
수도권
※ 자원
/정보/기술 활용능력: 다양한 자원/정보/기술을 수집/조직/분석/활용/평가하는 능력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3개 하위영역 중 (정보), (기술) 활용 능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자원) 활용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_영역별 T점수
3-3. 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자원정보기술활용
자원
정보
기술
44.6
41.2
46.1
46.1
46.6
46.9
47.1
47.7
50.0
50.0
50.0
50.0
53.4
53.1
52.8
52.2
목원대학교
비수도권
전국
수도권
※ 유연성
: 인종이나 종교 등 다른 문화를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문화나 생활환경 혹은 과제에 도전해보고자 하는 성향, 태도
※ 타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
: 일반적인 글로벌 매너와 다양한 국가의 정치, 역사, 지리,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
※ 글로벌화와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
: 세계화와 글로벌 정치, 경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
• [글로벌]역량의 영역 총점은 비수도권(4년제 대학)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3개 하위영역 중 (타문화 이해), (글로벌화 이해) 능력의 평균은 비수도권 평균보다 높게 나타남.
• 3개 하위영역 중 (타문화 이해) 능력이 가장 우수하며, (글로벌화 이해) 능력은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_영역별 T점수
3-4. 글로벌역량
글로벌역량
유연성
타문화이해
글로벌화이해
47.7
48.5
49.6
47.9
46.7
48.5
47.2
46.8
50.0
49.8
50.0
50.0
53.3
51.2
52.8
53.2
목원대학교
비수도권
전국
수도권
4. 학내 비교
_학내비교(학
년
)
4-1-1. 학년별 비교(수준)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1]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자
기
관
리
대
인
관
계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글
로
벌
46.5%
42.0%
36.3%
36.5%
32.8%
25.5%
19.5%
23.2%
67.4%
58.9%
53.0%
51.2%
52.0%
51.7%
40.2%
42.4%
26.3%
30.9%
32.7%
26.9%
33.6%
32.6%
33.7%
32.7%
21.6%
28.9%
30.4%
31.3%
41.4%
39.3%
46.3%
49.1%
11.4%
9.9%
17.3%
18.0%
15.9%
20.7%
25.4%
18.5%
10.1%
8.3%
10.1%
13.3%
5.3%
9.0%
11.0%
7.3%
15.8%
17.1%
13.7%
18.6%
17.7%
21.2%
21.3%
25.6%
0.9%
3.9%
6.5%
4.2%
1.3%
2.4%
1.2%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에서 학년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_학내비교(학
년
)
4-1-2. 학년별 비교(T점수)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1]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자기관리
대인관계 *
자원정보기술활용 *
글로벌
46.5
51.0
43.4
46.6
48.0
53.1
44.7
47.0
48.9
54.2
45.8
49.2
49.0
54.4
45.2
48.6
1 학년
2 학년
3 학년
4 학년
4-2-1. 계열별 비교(수준)
_학내비교(계
열
)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1]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자
기
관
리
대
인
관
계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글
로
벌
33.2%
34.3%
53.8%
52.4%
19.3%
25.5%
37.5%
32.5%
56.3%
48.6%
58.2%
67.9%
42.2%
41.0%
52.7%
56.8%
29.0%
31.4%
23.7%
30.4%
31.9%
33.0%
34.4%
35.1%
28.2%
40.0%
29.7%
18.4%
46.6%
47.6%
42.9%
36.8%
15.8%
20.0%
11.8%
7.9%
20.7%
21.7%
15.6%
19.1%
11.8%
7.6%
8.8%
10.0%
9.8%
9.5%
3.3%
5.8%
22.0%
14.3%
10.8%
9.4%
28.0%
19.8%
12.5%
13.4%
3.7%
3.8%
3.3%
3.7%
1.4%
1.9%
1.1%
0.5%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자기관리], [대인관계], [글로벌]역량 영역에서 계열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1]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4-2-2. 계열별 비교(T점수)
_학내비교(계
열
)
자기관리 *
대인관계 *
자원정보기술활용
글로벌 *
50.3
55.4
45.0
49.2
48.8
53.1
45.7
48.9
44.8
49.0
44.8
45.7
44.7
50.6
43.4
45.2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4-3-1. 성별 비교(수준)
_학내비교(성
별
)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자
기
관
리
대
인
관
계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글
로
벌
43.4%
38.6%
29.4%
22.7%
54.6%
61.8%
49.0%
45.5%
27.1%
30.7%
31.4%
34.8%
26.9%
28.1%
41.4%
45.8%
13.7%
14.0%
17.9%
21.5%
13.3%
7.8%
8.5%
7.4%
15.7%
16.8%
21.3%
21.0%
5.2%
2.3%
1.2%
1.3%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모든 영역에서 성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4-3-2. 성별 비교(T점수)
_학내비교(성
별
)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활용
글로벌
47.4
52.2
45.3
47.6
48.5
53.7
44.1
47.8
남학생
여학생
5. 추가분석ⓛ
학과별 비교분석
학과
인원
비율
건축학과
26
2.6%
경영학
29
2.8%
경찰법학
10
1.0%
공공인재학
21
2.1%
관현악학부
24
2.4%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26
2.6%
국어교육
26
2.6%
국제무역물류학
26
2.6%
글로벌경제학
9
0.9%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16
1.6%
도시공학
26
2.6%
도자디자인
21
2.1%
마케팅빅데이터학
15
1.5%
미생물생명공학
26
2.6%
미술교육
26
2.6%
미술학부
21
2.1%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
22
2.2%
사회복지학
26
2.6%
섬유패션디자인학
24
2.4%
성악뮤지컬학
12
1.2%
소방안전관리학
26
2.6%
수학교육
26
2.6%
※ 영역별 미응시 및 과락 인원을 포함한 인원입니다
.
* 응시 인원 1018명 대상, 44개 학과/학부로 구성돼 있습니다.
_추가분석(학
과
)
5-1. 분석 대상
학과
인원
비율
스포츠건강관리학
26
2.6%
시각디자인학
24
2.4%
실용음악
24
2.4%
역사학
26
2.6%
영어교육
26
2.6%
웹툰
·애니메이션과(웹툰)
28
2.8%
유아교육
26
2.6%
융합컴퓨터
·미디어학
22
2.2%
음악교육
26
2.6%
의생명
·보건학부
26
2.6%
작곡
24
2.4%
정보통신융합공학부
26
2.6%
조형콘텐츠학부
24
2.4%
중국어중국학
26
2.6%
첨단소재학
26
2.6%
피아노
6
0.6%
한국음악
24
2.4%
항공호텔관광경영학부
26
2.6%
화장품뷰티학
22
2.2%
AI로봇융합학(AI로봇융합전공)
26
2.6%
IT융합전자공학
24
2.4%
TV영화학부
26
2.6%
전체
1018
100.0%
※ 영역별 미응시 및 과락 인원을 포함한 인원입니다
.
* 응시 인원 1018명 대상, 44개 학과/학부로 구성돼 있습니다.
_추가분석(학
과
)
5-1. 분석 대상
_추가분석(학
과
)
5-2-1. 학과별 비교(수준)_
자기관리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국어교육
국제무역물류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빅데이터학
미생물생명공학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
사회복지학
섬유패션디자인학
성악뮤지컬학
소방안전관리학
수학교육
자
기
관
리
33.3%
38.5%
14.3%
31.6%
59.1%
59.1%
19.0%
53.3%
16.7%
37.5%
54.5%
40.0%
33.3%
29.2%
25.0%
63.2%
41.2%
30.0%
50.0%
60.0%
32.0%
33.3%
33.3%
11.5%
10.5%
18.2%
9.1%
19.0%
20.0%
9.1%
10.0%
8.3%
37.5%
20.8%
5.3%
11.8%
20.0%
6.3%
12.0%
8.3%
33.3%
7.7%
14.3%
15.8%
9.1%
22.7%
28.6%
6.7%
33.3%
37.5%
10.0%
16.7%
16.7%
29.2%
10.5%
17.6%
20.0%
12.5%
20.0%
16.0%
25.0%
42.3%
71.4%
42.1%
13.6%
9.1%
33.3%
20.0%
50.0%
25.0%
36.4%
40.0%
41.7%
16.7%
25.0%
21.1%
29.4%
30.0%
31.3%
20.0%
40.0%
33.3%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1. 학과별 비교(수준)_
자기관리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스포츠건강관리학
시각디자인학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애니메이션과 (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퓨터 · 미디어학
음악교육
의생명 · 보건학부
작곡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조형콘텐츠학부
중국어중국학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텔관광경영학부
화장품뷰티학
AI 로봇융합학 (AI 로봇융합전공 )
IT 융합전자공학
TV 영화학부
자
기
관
리
55.0%
47.6%
62.5%
52.2%
4.3%
47.4%
19.2%
59.1%
28.0%
36.0%
50.0%
50.0%
47.4%
54.5%
72.7%
40.0%
42.9%
16.7%
20.0%
59.1%
50.0%
33.3%
40.0%
28.6%
31.3%
30.4%
8.7%
42.1%
19.2%
22.7%
36.0%
36.0%
16.7%
18.2%
42.1%
13.6%
60.0%
14.3%
66.7%
50.0%
27.3%
30.0%
22.2%
5.0%
9.5%
8.7%
26.1%
5.3%
38.5%
9.1%
20.0%
12.0%
8.3%
13.6%
10.5%
18.2%
18.2%
14.3%
20.0%
9.1%
10.0%
11.1%
14.3%
6.3%
8.7%
60.9%
5.3%
23.1%
9.1%
16.0%
16.0%
25.0%
18.2%
13.6%
9.1%
28.6%
16.7%
10.0%
4.5%
10.0%
33.3%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2. 학과별 비교(수준)_
대인관계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국어교육
국제무역물류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빅데이터학
미생물생명공학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
사회복지학
섬유패션디자인학
성악뮤지컬학
소방안전관리학
수학교육
대
인
관
계
16.7%
30.8%
28.6%
10.5%
34.8%
34.8%
14.3%
40.0%
33.3%
25.0%
50.0%
18.2%
33.3%
20.8%
8.3%
57.9%
29.4%
23.8%
25.0%
60.0%
24.0%
12.5%
16.7%
50.0%
42.9%
26.3%
39.1%
30.4%
33.3%
26.7%
33.3%
37.5%
16.7%
18.2%
8.3%
25.0%
37.5%
31.6%
35.3%
28.6%
25.0%
20.0%
32.0%
37.5%
50.0%
7.7%
31.6%
21.7%
13.0%
19.0%
13.3%
16.7%
12.5%
16.7%
27.3%
25.0%
25.0%
29.2%
5.3%
17.6%
23.8%
6.3%
20.0%
25.0%
16.7%
11.5%
28.6%
31.6%
4.3%
21.7%
33.3%
20.0%
16.7%
25.0%
16.7%
36.4%
33.3%
29.2%
25.0%
5.3%
17.6%
23.8%
43.8%
20.0%
24.0%
25.0%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2. 학과별 비교(수준)_
대인관계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스포츠건강관리학
시각디자인학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애니메이션과 (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퓨터 · 미디어학
음악교육
의생명 · 보건학부
작곡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조형콘텐츠학부
중국어중국학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텔관광경영학부
화장품뷰티학
AI 로봇융합학 (AI 로봇융합전공 )
IT 융합전자공학
TV 영화학부
대
인
관
계
14.3%
14.3%
43.8%
30.4%
42.1%
3.8%
22.7%
8.0%
28.0%
33.3%
34.8%
26.3%
18.2%
50.0%
40.0%
42.9%
15.0%
43.5%
60.0%
33.3%
28.6%
61.9%
18.8%
39.1%
17.4%
42.1%
7.7%
68.2%
40.0%
48.0%
33.3%
21.7%
47.4%
45.5%
25.0%
20.0%
28.6%
50.0%
30.0%
30.4%
30.0%
11.1%
42.9%
19.0%
31.3%
21.7%
13.0%
10.5%
34.6%
32.0%
16.0%
8.3%
21.7%
26.3%
9.1%
8.3%
20.0%
33.3%
35.0%
17.4%
10.0%
22.2%
14.3%
4.8%
6.3%
8.7%
69.6%
5.3%
53.8%
9.1%
20.0%
8.0%
25.0%
21.7%
27.3%
16.7%
20.0%
28.6%
16.7%
20.0%
8.7%
33.3%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3. 학과별 비교(수준)_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국어교육
국제무역물류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빅데이터학
미생물생명공학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
사회복지학
섬유패션디자인학
성악뮤지컬학
소방안전관리학
수학교육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80.0%
57.7%
71.4%
78.9%
72.7%
63.6%
52.4%
66.7%
50.0%
62.5%
70.0%
40.0%
25.0%
54.2%
48.0%
84.2%
41.2%
70.0%
86.7%
80.0%
64.0%
36.0%
20.0%
38.5%
14.3%
10.5%
9.1%
27.3%
28.6%
20.0%
16.7%
37.5%
10.0%
40.0%
50.0%
41.7%
32.0%
10.5%
47.1%
20.0%
13.3%
28.0%
32.0%
3.8%
14.3%
10.5%
18.2%
9.1%
9.5%
13.3%
20.0%
10.0%
16.7%
4.2%
20.0%
5.3%
11.8%
10.0%
20.0%
4.0%
20.0%
9.5%
33.3%
10.0%
8.3%
4.0%
12.0%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_추가분석(학
과
)
5-2-3. 학과별 비교(수준)_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해석에 유의하세요
.
스포츠건강관리학
시각디자인학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애니메이션과 (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퓨터 · 미디어학
음악교육
의생명 · 보건학부
작곡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조형콘텐츠학부
중국어중국학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텔관광경영학부
화장품뷰티학
AI 로봇융합학 (AI 로봇융합전공 )
IT 융합전자공학
TV 영화학부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80.0%
42.9%
81.3%
82.6%
47.8%
36.8%
61.5%
50.0%
40.0%
36.0%
75.0%
47.6%
57.9%
68.2%
45.5%
80.0%
100.0%
40.0%
40.0%
73.9%
40.0%
50.0%
20.0%
28.6%
18.8%
8.7%
30.4%
26.3%
19.2%
40.9%
32.0%
40.0%
16.7%
42.9%
21.1%
27.3%
54.5%
20.0%
40.0%
45.0%
13.0%
40.0%
50.0%
19.0%
4.3%
13.0%
21.1%
19.2%
9.1%
20.0%
16.0%
8.3%
15.8%
4.5%
20.0%
10.0%
13.0%
10.0%
9.5%
4.3%
8.7%
15.8%
8.0%
8.0%
9.5%
5.3%
5.0%
10.0%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4. 학과별 비교(수준)_글로벌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국어교육
국제무역물류학
글로벌경제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빅데이터학
미생물생명공학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
사회복지학
섬유패션디자인학
성악뮤지컬학
소방안전관리학
수학교육
글
로
벌
20.0%
69.2%
57.1%
57.9%
71.4%
42.9%
40.0%
20.0%
50.0%
25.0%
80.0%
60.0%
33.3%
29.2%
16.7%
57.9%
35.3%
42.1%
53.3%
60.0%
44.0%
50.0%
60.0%
23.1%
14.3%
42.1%
23.8%
57.1%
45.0%
66.7%
50.0%
62.5%
20.0%
30.0%
41.7%
58.3%
50.0%
36.8%
64.7%
57.9%
46.7%
40.0%
48.0%
41.7%
20.0%
28.6%
5.0%
4.2%
4.2%
4.2%
7.7%
4.8%
10.0%
13.3%
12.5%
10.0%
25.0%
8.3%
29.2%
5.3%
8.0%
4.2%
미흡
보통
우수
탁월
_추가분석(학
과
)
5-2-4. 학과별 비교(수준)_글로벌역량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스포츠건강관리학
시각디자인학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애니메이션과 (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퓨터 · 미디어학
음악교육
의생명 · 보건학부
작곡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조형콘텐츠학부
중국어중국학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텔관광경영학부
화장품뷰티학
AI 로봇융합학 (AI 로봇융합전공 )
IT 융합전자공학
TV 영화학부
글
로
벌
61.9%
28.6%
68.8%
63.6%
17.4%
31.6%
46.2%
54.5%
24.0%
24.0%
58.3%
52.4%
73.7%
50.0%
72.7%
60.0%
71.4%
80.0%
55.0%
52.2%
40.0%
57.1%
33.3%
61.9%
31.3%
22.7%
56.5%
47.4%
53.8%
40.9%
60.0%
56.0%
33.3%
42.9%
26.3%
36.4%
27.3%
20.0%
28.6%
20.0%
35.0%
43.5%
60.0%
42.9%
4.8%
9.5%
13.6%
26.1%
15.8%
4.5%
16.0%
16.0%
8.3%
4.8%
13.6%
20.0%
10.0%
4.3%
5.3%
4.0%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자기관리]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_추가분석(학
과
)
5-3-1. 학과별 비교(T점수)_
자기관리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
국어교육
국제무
글로
글로벌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
미생물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
사회복지학
섬유패
성악
소방안
수학교육
자
기
관
리
*
53.8
44.8
51.8
48.9
45.7
45.8
54.2
45.4
50.7
50.0
43.0
47.3
47.7
51.6
54.1
42.7
48.5
50.4
46.2
45.7
49.2
51.6
• [자기관리]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_추가분석(학
과
)
5-3-1. 학과별 비교(T점수)_
자기관리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스포츠
시각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
음악교육
의생명
작곡
정보통
조형콘
중국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
화장
AI 로봇 ...
IT 융합 ...
TV 영화학부
자
기
관
리
*
43.0
45.8
40.3
43.1
63.1
44.9
54.8
43.9
51.1
47.1
48.8
46.6
43.5
45.6
43.5
40.4
50.2
53.4
49.8
41.7
46.2
51.1
_추가분석(학
과
)
5-3-2. 학과별 비교(T점수)_
대인관계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대인관계]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
국어교육
국제무
글로
글로벌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
미생물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
사회복지학
섬유패
성악
소방안
수학교육
대
인
관
계
*
56.4
49.0
54.1
58.0
48.8
52.1
56.9
48.7
54.1
54.3
47.2
58.5
54.0
55.5
57.0
44.6
52.8
54.2
57.8
47.9
54.6
56.2
_추가분석(학
과
)
5-3-2. 학과별 비교(T점수)_
대인관계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대인관계]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스포츠
시각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
음악교육
의생명
작곡
정보통
조형콘
중국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
화장
AI 로봇 ...
IT 융합 ...
TV 영화학부
대
인
관
계
*
55.1
50.7
47.3
49.9
65.7
47.4
63.3
48.7
56.2
49.2
52.2
52.2
49.2
54.1
48.4
47.2
50.6
57.4
55.9
47.5
43.3
54.8
_추가분석(학
과
)
5-3-3. 학과별 비교(T점수)_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
국어교육
국제무
글로
글로벌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
미생물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
사회복지학
섬유패
성악
소방안
수학교육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
41.0
43.7
42.9
42.0
41.6
43.0
47.2
42.9
47.3
40.4
42.8
45.6
49.9
44.0
46.4
40.6
47.2
42.1
40.5
44.0
43.8
49.6
_추가분석(학
과
)
5-3-3. 학과별 비교(T점수)_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스포츠
시각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
음악교육
의생명
작곡
정보통
조형콘
중국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
화장
AI 로봇 ...
IT 융합 ...
TV 영화학부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
39.8
49.1
41.8
41.1
46.2
49.9
45.0
45.6
48.0
49.1
40.1
45.8
44.9
42.0
44.7
43.0
39.7
47.2
46.6
43.7
47.8
44.6
_추가분석(학
과
)
5-3-4. 학과별 비교(T점수)_글로벌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글로벌]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건축학부
경영학
경찰법학
공공인재학
관현악학부
광고홍
국어교육
국제무
글로
글로벌
도시공학
도자디자인
마케팅
미생물
미술교육
미술학부
부동산
사회복지학
섬유패
성악
소방안
수학교육
글
로
벌
*
51.1
44.3
52.5
44.6
42.1
45.4
51.8
52.0
48.7
53.7
42.8
43.3
53.3
49.2
55.9
43.8
47.8
47.9
48.7
42.2
48.9
47.5
_추가분석(학
과
)
5-3-4. 학과별 비교(T점수)_글로벌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2]을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글로벌]역량 영역에서 학과 간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p<0.05).
스포츠
시각
실용음악
역사학
영어교육
웹툰 ·
유아교육
융합컴
음악교육
의생명
작곡
정보통
조형콘
중국
첨단소재학
피아노
한국음악
항공호
화장
AI 로봇 ...
IT 융합 ...
TV 영화학부
글
로
벌
*
43.4
52.4
40.9
47.4
56.5
52.6
47.7
44.4
52.3
53.1
44.1
45.1
41.4
46.4
41.5
45.6
41.1
40.0
47.5
45.3
51.4
45.4
6. 추가분석②
시계열 분석
구분
2019년
2021년
응시인원
*
비율
응시인원
*
비율
전체
357
100.0%
1018
100.0%
학년
1학년
85
23.8%
319
31.3%
2학년
91
25.5%
239
23.5%
3학년
91
25.5%
234
23.0%
4학년
90
25.2%
226
22.2%
계열
인문사회계열
107
30.0%
460
45.2%
자연과학계열
76
21.3%
126
12.4%
공학계열
86
24.1%
150
14.7%
예체능계열
88
24.6%
282
27.7%
성별
남학생
183
51.3%
505
49.6%
여학생
174
48.7%
513
50.4%
* 진단 대상자로 등록한 인원이며, 완료인원과 차이가 있음.
※ 연도별 집단은
[2019년: 목원대_190924(357) / 2021년: 목원대_210426(90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_추가분석(시계열)
6-1. 분석 대상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_추가분석(시계열)
6-2. 연도별 비교(수준)
2019 년
2021 년
2019 년
2021 년
2019 년
2021 년
2019 년
2021 년
자
기
관
리
대
인
관
계
자
원
정
보
기
술
활
용
글
로
벌
40.1%
40.9%
25.0%
25.9%
54.1%
58.4%
46.2%
47.1%
28.9%
29.0%
32.8%
33.2%
30.1%
27.5%
43.1%
43.7%
15.0%
13.8%
23.3%
19.8%
12.7%
10.4%
8.0%
7.9%
16.0%
16.3%
18.9%
21.1%
3.1%
3.6%
2.8%
1.2%
미흡
보통
우수
탁월
• 모든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_추가분석(시계열)
6-3. 연도별 비교(T점수)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를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활용
글로벌
48.0
53.1
45.3
48.4
48.0
53.0
44.6
47.7
2019 년
2021 년
• [자기관리]역량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모든 하위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_추가분석(시계열)
6-3-1. 연도별 비교(T점수)_
자기관리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를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자기관리역량
자기주도학습
정서적자기조절
목표지향적능력
직업의식
48.0
48.1
46.5
48.5
52.8
48.0
47.3
46.9
48.8
53.1
2019 년
2021 년
• [대인관계]역량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모든 하위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_추가분석(시계열)
6-3-2. 연도별 비교(T점수)_
대인관계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를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대인관계
정서적유대
협력
중재
리더십
조직에대한이해
53.1
53.3
54.9
55.9
52.5
50.3
53.0
53.4
55.3
57.1
51.0
50.6
2019 년
2021 년
•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모든 하위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_추가분석(시계열)
6-3-3. 연도별 비교(T점수)_자원정보기술
활용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를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자원정보기술의활용
자원
정보
기술
45.3
42.1
46.8
46.9
44.6
41.2
46.1
46.1
2019 년
2021 년
• [글로벌]역량 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 모든 하위영역에서 연도 간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
_추가분석(시계열)
6-3-4. 연도별 비교(T점수)_글로벌역량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3]를 참고하세요.
※ 집단별 표본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 해석에
유의하세요
.
글로벌역량
유연성
타문화이해
글로벌화이해
48.4
49.0
49.5
48.8
47.7
48.6
49.5
47.9
2019 년
2021 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