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 경기 안양시 만안종합사회복지관.hwp

닫기

2017년독거노인 친구만들기지원신청서

지자체명

경기도

안양시

수행기관

*컨소시엄 형태일 경우 총괄기관

기관명

만안종합사회복지관

기관장

주소

안양시 만안구 박달로 547-1

전화번호

1877-7840

팩스번호

070-8978-7700

중간관리자

*수행기관 소속의 전담관리자 수퍼바이저

성명

직책

팀장

연락처

010-

해당기관 근무경력

-

운영법인

법인명

돕는 사람들

법인성격

사회복지법인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427번길 성지스타위드 38 1106호

전화번호

031-423-2704

팩스번호

031-345-0102

사업 기본 정보

대상집단이 거주하는 지역적 특성

안양시 노인인구는 계속적인 증가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복지관이 위치한 만안구는 안양시 전체 인구대비 저소득주민의 비율이 높은 편이나, 만안구 소재 사회복지시설 대비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이 부족한 편이다.

성과목표

1. 사회적 관계 회복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한다.

2. 사회활동 증가 및 사회적 관계 확대를 통해 우울감이 감소되고 고독사를 예방한다.

3. 우울감 감소 및 이웃관계 회복을 통해 자살 위험이 감소한다.

집단별 주요사업내용

-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 대상자 발굴, 사례관리, 자원연계, 나들이

- 활동제한형 고독사위험군

: 대상자 발굴, 사례관리, 의료연계(우울증, 개별의료),

인지치료프로그램, 자조모임, 나들이

- 우울형 자살위험군

: 대상자 발굴, 개별상담, 의료연계, 집단치료, 집단활동,

자조모임, 나들이

예산 (백만원)

총사업비

금50,000,000원

분담

국고 (70) 35,000,000원, 기초자치단체(30) 15,000,000원

지자체 예산 확보계획

국비 및 시비 매칭비율에 따라 분기별 예산 지원

<사업 운영계획 요약> 2p 이내

사업목적 및 목표

사업목적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회복을 통해 우울증을 경감시키고 고독사 및 자살을 예방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영위를 지원한다.

사업목표

1. 사회적 관계 회복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한다.

2. 사회활동 증가 및 사회적 관계 확대를 통해 우울감이 감소되고 고독사를 예방한다.

3. 우울감 감소 및 이웃관계 회복을 통해 자살 위험이 감소한다.

사업대상자

지역 독거노인 인구 : 안양시-8,801명, 만안구-4,347명

지역 노인자살률 : 62.4명 (2015년 안양시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

총 사업대상 인원 : 60명

: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5명, 활동제한형 고독사위험군 10명

우울형 자살위험군 45명

사업대상자 집단별 프로그램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 대상자 발굴, 사례관리, 자원연계, 나들이

활동제한형 고독사위험군

: 대상자 발굴, 사례관리, 의료연계(우울증, 개별의료), 자조모임

인지치료프로그램, 나들이

우울형 자살위험군

: 대상자 발굴, 개별상담, 의료연계, 집단치료, 집단활동, 자조모임,

나들이

<사업 운영계획 요약> 2p 이내

인력 활용방안

전담관리자

- 사업 총괄수행, 홍보, 예산 집행 및 관리

- 대상자 발굴, 대상자 사전, 사후척도 검사, 개별사례관리

- 프로그램 계획 및 진행, 대상자 관찰기록, 강사관리

- 자원연계, 월 보고서 작성 및 제출, 기타 행정업무

중간관리자 (사례관리팀장)

- 사업 총괄담당, 수퍼비전

- 사업계획 및 예산관리, 사업 진행 총괄

- 대상자 발굴 및 자원 연계, 활용

- 네트워크 구축 : 실무자 회의 진행 및 연계기관 관리 등

지원인력 (사례관리팀 사회복지사)

- 대상자 발굴 및 자원연계

- 자조모임, 나들이 등 진행 지원

사례관리팀 전담 투입을 통해 대상자 발굴, 자원발굴 및 연계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임.

시설 활용방안

집단프로그램실:

구분

면적

장비

수용인원

다목적회의실

35㎡

책상, 의자, 빔, 스크린

15명

개별상담실

4.75㎡

책상, 의자

3명

집단상담실

10㎡

책상, 의자

8명

프로그램실 1

63㎡

책상, 의자

30명

프로그램실 2

47.88㎡

책상, 의자

20명

대강당

216㎡

빔, 스크린, 책상, 의자

150명

투입가능한 차량: 4대

(차종: 5인승 모닝 1대, 12인승 승합차 2대, 25인승 미니버스 1대)

지자체 예산 확보 및 사업수행기관 배분 계획

국비 및 시비 매칭비율에 따라 예산을 확보하여 분기별 예산 배분 예정

1

사업 필요성 및 수행기관의 역량

지역 특성 및 여건

안양시 노인인구의 계속적 증가 (2015년 기준 노인인구 비율 10%)

안양시에 거주하는 노인인구의 비율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6년부터 매 년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년 12월 기준 노인인구 비율은 10%로 안양시는 이미 고령화사회(노인인구 7% 이상)를 넘어 고령사회(노인인구 14% 이상)로 진입하고 있다. 이렇듯 계속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들은 빈곤, 외로움과 소외감, 문화의 단절 등 다양한 어려움에 노출되고,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가 커질 수 있다.

[안양시 연도별 노인인구]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전체인구(명)

629,659

630,688

627,330

623,511

628,831

623,227

610,685

607,877

600,286

597,789

노인인구(명)

40,533

43,092

44,803

46,575

48,899

50,490

52,773

55,180

57,799

59,809

비율(%)

6.4

6.8

7.1

7.2

7.7

8.1

8.6

9

9.6

10

안양시 인구수 대비 만안구 거주 저소득 주민(노인) 비율

But, 만안구 소재 사회복지시설 소수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 부족

안양시의 총 인구수는 596,065명이며 만안구 247,200명(41.4%), 동안구 348,865명(58.6%)으로 동안구에 거주하는 인구가 더 많다. 또한, 2016년 기준 안양시 복지급여 대상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복지급여 가구수는 59,321가구(76,280명)이며, 그 중 동안구는 31,367가구(39,988명), 만안구는 27,954가구(36,292명)으로 동안구 복지급여 가구수 및 수급자수가 만안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경우에는 동안구가 2,900가구(4,401명), 만안구가 3,650가구(5,190명)으로 나타나 동안구보다 만안구에 거주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복지급여가 저소득층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사회복지급여를 포함하는 것임과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를 감안할 동안구보다 만안구에 저소득주민의 거주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기초노령연금수급자는 안양시 전체 노인 대비 만안구가 59%(16,001명), 동안구 53%(15,388명)으로 평균 56%에 비해 만안구가 기초노령연금수급자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기초노령연금수급자 선정기준이 소득수준이 하위 70%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임을 감안하면 동안구보다 만안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경제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 복지관의 관할지역 인구는 총 134,223명으로 만안구 전체 인구의 54.2%에 해당하며, 수급자수는 2,490명(1,341가구)으로 만안구 전체 수급자수의 48%(수급가구 36.7%)에 해당한다. 이렇듯 저소득층의 거주율이 높아 적극적인 사례발굴,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연계가 필요함에도 만안구에는 사회복지시설이 많지 않아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노인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노인의료복지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만안구보다 동안구에 많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요양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자신의 집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받기에는 자원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취약계층으로 다양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노인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물론 이러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이 있지만 이 또한 동안구에 위치해있어 만안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접근성이 매우 낮으며, 취약계층에 대한 지역밀접형 사례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만안구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지역 안에서 삶을 유지하며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사회복지서비스의 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문적 개입이 필요하다.

[안양시 노인서비스 수행기관 현황]

구분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수행기관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수행기관

저소득 재가노인 식사배달서비스 수행기관

노인의료복지시설

동안구

1개

5개

2개

12개

만안구

0개

4개

0개

27개

지자체에서의 복지 총량 증대를 위한 적극적 시정 운영

만안지역 동주민센터 통합사례관리 시범 운영 및 종합사회복지관 신설

·관 교류 활발, 다양한 자원연계·협력 활성화 기대

안양시는 2016년 주요시정계획의 만안·동안 균형발전계획에 따라 박달·석수권역에 종합사회복지관(만안종합사회복지관)을 신규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부재하였던 전문적이고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시정계획 중 하나인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지원의 일환으로 노인돌봄서비스 지원, 무료 경로식당 지원, 독거노인 종합돌봄센터 설치·영,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추진 등의 다양한 노인복지서비스를 확대 실시하고 있다.

더불어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2015.11월)을 통한 사회보장 대상자 발굴 및 지원 실시, 무한돌봄사례관리사업 확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주민지원을 꾀하고 있다. 특히 우리 복지관의 관할지역인 안양2동과 박달1동 주민센터는 동주민센터 통합사례관리 시범 수행 동으로 선정되어 민관의 협력이 활발해지고 이를 통한 다양한 자원연계, 협력이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수행기관의 업무수행 적합성

신생기관으로 사례관리 전문인력의 전담투입 및 적극적 대상자 ·

자원 발굴 가능 & 다양한 사례관리네트워크(민·관) 활용 가능

우리 복지관은 신생기관으로써 기존에 사업을 수행해오던 기관들보다 등록사례가 많지 않다. 이에, 오히려 전문성과 많은 시간을 요하는 대상자 및 자원발굴에 사례관리전문인력의 전담 투입이 가능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새로운 자원개발을 위해 지역사회와의 관계맺기 및 연계를 매우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는 지역주민, 지역 내 단체들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의 기반이 되어 사업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우리 복지관 관할지역 내에 2개의 동주민센터가 통합사례관리 시범동으로 사례관리를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있어 관련한 정보공유 및 협업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에 사례관리사업을 수행하던 민간기관과 더불어 공공과의 적극적인 네트워크로 사업 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이용이 많아 대상자 발굴, 서비스 지원 유리

&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보유한 전문 기관

우리 복지관이 위치한 만안구는 노인인구가 많고,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은 편이다. 이러한 지역 특성 및 주민욕구에 기초하여 우리 복지관은 저소득노인 대상 무료급식사업, 노인교육문화사업 등 다양한 노인복지사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기로 하였으며, 향후 지역노인들의 이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본 사업의 직접적 대상자뿐만 아니라 복지관 이용노인을 통한 대상자 연계 등이 가능하여 대상자 발굴의 용이한 이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우리 복지관은 종합사회복지관으로 다양한 지역주민서비스를 계획하고 있어 다른 사업팀과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통해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우리 복지관이 위치한 지역은 요양서비스 기관은 많은 편이나, 전문사례관리를 수행하는 민간기관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사례관리 전문인력을 둔 전담부서가 있는 우리 복지관에서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데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유사사업 수행경험

본 기관은 신규 개관 기관으로 해당사항 없음.

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전략

고위험군 대상자 집중사례관리 지속

- 사업 종료 후에도 우울증, 알콜중독,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고위험군 대상자를 별도로 선정하여 사례관리팀 집중관리대상자로 등록하여 사례관리 지속 실시(안양시 정신보건센터와 연계하여 사례관리, 자살예방프로그램 등 실시)

- 노인학대(자기방임)예방과 고독사 예방을 위한 경기서부노인보호전문기관 연계하여 위기대상자 상호 의뢰 및 관리 실시

우울형 자살위험군 집단 전문 우울증 치료 실시

- 전문 신경정신과 연계 전문의 상담 및 진료 실시

- 전문가 집단치료 프로그램 집단별 각 5회 실시를 통한 우울증 완화

자조모임 유지·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자원 연계

- 자조모임의 유지를 위한 모임 정례화 및 참여자 의견 적극 반영

- 자조모임 장소, 활동비, 재료비, 식사비 지원

안양시 자살예방을 위한 생명사랑협의체 연계

- 안양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3곳, 노인종합복지관, 노인 관련 시설 등이 자살예방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생명사랑협의체와 협약 실시. 이를 통해 지역 내 네트워크를 확대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조모임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

2

사업대상자 선정 및 구성 방법

지역 독거노인의 특성

안양시 거주 65세 이상 노인 중 만안구 거주 독거노인 비율

독거노인 중 19.1%가 저소득층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안양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총 58,365명이며 만안구 28,292명(48.5%), 동안구 30,073명(51.5%) 동안구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거노인 인구는 총 6,656명으로 만안구 4,347명(65.3%), 동안구 2,309명(34.6%)로 나타나 만안구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14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안양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은 총 12,570명이며 그 중 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는 1,821명(14.5%), 저소득노인은 577명(4.6%)으로 나타났다. 안양시 거주 독거노인의 19.1%가 저소득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인구 현황]

지역

구분 

65세 이상 인구

65세 이상 1인 가구

1인 가구 비율

전국

6,569,082

1,223,169

18.6

2,763,407

298,056

10.8

3,805,675

925,113

24.3

경기도

1,285,698

195,059

15.2

545,933

52,583

9.6

739,765

142,476

19.3

안양시

58,365

8,801

15.1

24,857

2,145

8.6

33,508

6,656

19.9

만안구

28,292

4,347

15.4

12,328

1,249

10.1

15,964

3,098

19.4

안양시 거주 독거노인이 느끼는 문제 외로움, 소외감응답률

평균 대비 2배 이상 & 향후 늘여야할 공공시설 1순위 사회복지시설

안양시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안양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이 느끼는 문제로 경제문제(45.3%), 건강문제(39.8%)에 이어 외로움, 소외감(7.2%)이 3순위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이 느끼는 문제 또한 경제문제(54.9%), 건강문제(20.4%), 외로움, 소외감(14.6%)로 응답순위는 같았으나 외로움, 소외감에 대한 응답율이 전체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늘여야 할 공공시설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시설이 20.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건의료시설이 2순위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느끼는 문제 중 외로움, 소외감이 3순위, 건강문제가 2순위였던 것과 조금 다른 결과로 안양시에 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이 부족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안양시가 노인복지 향상을 위해 필요한 사업으로는 고용지원서비스가 1순위였으며, 복지정보 제공 및 상담이 23.5%로 2순위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느끼는 문제와 결과가 일치하여 의미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노인들이 느끼는 1, 2순위에 해당하는 경제문제와 건강문제는 사회적 체제 및 구조의 개선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민간에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지원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외로움, 소외감 등 정서적 어려움과 관련한 것은 사회복지시설에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60세 이상 노인 중에서도 독거노인의 정서적 어려움이 높고 이로 인한 사회단절에 따른 문제와 심각성이 높아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한다.

[노인이 느끼는 문제]

구분

노인이 느끼는 문제 (우선순위 순)

60세 이상 노인

경제문제

(45.3%)

건강문제

(39.8%)

외로움, 소외감

(7.2%)

직업문제

(2.9%)

복지문제

(1.8%)

60세 이상 노인 중 독거노인

경제문제

(54.9%)

건강문제

(20.4%)

외로움, 소외감

(14.6%)

복지문제

(4.3%)

직업문제

(4.2%)

대상자 발굴 및 선정방법

구분

대상자 발굴방법

대상자 선정기준

은둔형

고독사

위험군

- 주민등록 말소 독거노인 발굴

- 2017년 1월 지역주민욕구조사를 위한 가정방문 시 발굴 (이웃추천, 대상자 직접 발굴 등)

- 안양시 관내 동주민센터, 부동산 중개소, 약국 등과 연계하여 전수조사에도 노출 되지 않은 지역 내 은둔형 독거노인 적극 발굴

- 안양시 동별 통·반장협의회, 새마을부녀회 등과 연계하여 발굴

- 안양시 관내 사례관리 담당자 네트워크 회의·무한돌봄네트워크 등을 통해 발굴

- 가족, 이웃을 비롯한 외부인과의 교류가 전혀 없는 노인

- 독거노인 현황조사 거부 노인

- 사회복지시설 서비스(자원연계, 사례관리 등) 거부 노인

활동

제한형

자살

위험군

- 2017년 1월 지역주민욕구조사를 위한 가정방문 시 발굴 (이웃추천, 대상자 직접 발굴 등)

- 안양시정신보건센터와 연계하여 우울 및 자살 고위험군 대상자 발굴

- 안양시 내 동 주민센터와 연계하여 대상자 추천 의뢰

- 안양시 동별 통·반장협의회, 새마을부녀회 등과 연계하여 발굴

- 안양시 관내 사례관리 담당자 네트워크 회의·무한돌봄네트워크 등을 통해 발굴

- 안양시 관내 경로당, 종교시설 등과 연계 대상자 추천 의뢰

- 관절염,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 중 우울증 진단을 받은 노인(1개 이상의 만성질환 또는 장애등록)

- 장거리 보행은 어려우나 보조기 등을 사용하여 단거리 보행이 가능한 대상자(ADL 제한 노인) 중 우울증 진단을 받은 노인

-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우울증 진단을 받은 노인 (치매 선별검사 실시)

- 자살시도 후 생존의 경험이 있는 노인

우울형

자살

위험군

- 2017년 1월 지역주민욕구조사를 위한 가정방문 시 발굴 (이웃추천, 대상자 직접 발굴 등)

- 안양시 정신보건센터 연계 대상자중 서비스 거부 대상자 (우울 및 자살 고위험군)

- 안양시 내 동 주민센터와 연계하여 대상자 추천 의뢰

- 안양시 동별 통·반장협의회, 새마을부녀회 등과 연계하여 발굴

- 안양시 관내 사례관리 담당자 네트워크 회의·무한돌봄네트워크 등을 통해 발굴

- 안양시 관내 경로당, 종교시설 등과 연계 대상자 추천 의뢰

- 자살시도 후 생존자 선정

- 기존 우울증 진단 및 Beck등의 자살생각척도 점수가 15점 이상인 노인

- 발굴 대상자 중 선별조사 결과 우울감 높은 노인(Yesavage등의 노인 우울척도 점수 10점 이상인 자, Beck등의 자살생각척도 점수가 15점 이상 인 자)중 우울증을 진단받은 노인

- 자살시도 생존자, 우울증 진단자 중 거동이 가능하며 참여의지가 있는 노인

대상자 특성별 구성방안

구분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활동제한형

고독사 위험군

우울형

자살 고위험군

합계

인원(명)

5

10

45

비율(%)

8.3

16.7

75

집단구성

1개

2개

8개

-

3

프로그램 운영계획 및 지역자원 활용방안

목표

산출(output) 목표(양적 산출물)

구분

산출목표(output)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1.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대상자를 5명 발굴한다.

2. 개별 사례관리를 대상자 1인당 30회기 이상 실시한다.

3. 개별 대상자 1인당 1회 이상 자원을 연계한다.

4. 나들이를 1회 실시한다.

활동제한형 고독사 위험군

1. 활동제한형 자살위험군 대상자를 10명 발굴한다.

2. 개별 사례관리를 15회기 이상 실시한다.

3. 우울증 검사를 사례별로 실시하고 치료를 1회 이상 연계한다.

4. 만성질환 및 ADL 향상을 위한 개별 의료연계를 1회 이상 실시한다.

5.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치료프로그램을 3회 이상 실시한다.

6. 집단별 나들이를 1회 실시한다.

7. 집단별 자조모임을 5회기 실시한다.

우울형 자살 고위험군

1. 우울형 자살위험군 대상자를 45명 발굴한다.

2. 우울형 자살위험군 대상자별 정기적 상담을 월 1회 실시한다.

3. 우울증 검사를 사례별로 실시하고 치료를 1회 이상 연계한다.

5. 정신건강전문의를 통한 집단치료를 집단별 5회기 실시한다.

6. 집단활동 프로그램을 8회기 실시한다.

7. 집단별 나들이를 1회 실시한다.

8. 집단별 자조모임을 6회기 실시한다.

성과(outcome) 목표(사업 이후 노인의 변화 등)

구분

성과목표(outcome)

은둔형

고독사위험군

사회적 관계 회복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한다.

활동제한형 고독사 위험군

사회활동 증가 및 사회적 관계 확대를 통해 우울감이 감소되고 고독사를 예방한다.

우울형 자살 고위험군

우울감 감소 및 이웃 관계 회복을 통해 자살 위험이 감소한다.

세부 프로그램 내용

대상 집단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내용 및 구현방법 (수행인력 포함)

총회기수 시행주기

장소

은둔형

고독사

위험군

대상자 발굴

- 대상자 발굴 의뢰

- 의뢰된 대상자 인테이크 실시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수시

1월~4

안양시 관내

사례관리

- 발굴된 대상자와 사례관리 진행 계획 협의 및 계약

- 대상자 등록

- 주 1회 전화 및 가정방문

- 대상자 5명×28주=14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140회

주 1회

3월~12

대상자 가정 및 복지관

자원연계

- 대상자별 신체적, 경제적, 의료적 위기에 따라 자원연계

- 위기 대상 5명×1회=5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5회

발생시

3월~12

대상자 가정 및 복지관

해당기관

나들이

- 대상자 의견을 반영하여 집단 나들이 실시

- 타인과의 교류 경험 제공

- 나들이 5명×1회=5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2인

1회

4월~5

서울 및 경기도 인근 지역

활동

제한형

고독사

위험군

대상자 발굴

- 대상자 발굴 의뢰

- 의뢰된 대상자 인테이크 실시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수시

1월~4

안양시 관내

사례관리

- 발굴된 대상자와 사례관리 진행 계획 협의 및 계약

- 근황확인 및 위기상황 지원, 자원연계

- 주1회 전화 및 가정방문

- 대상자 10명×15회=15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150회

주 1회

3월~12

대상자 가정 및 복지관

의료연계

· 우울증 전문치료지원

- 안양시 내 전문 정신과 병(의)원 연계

- 우울증 진단 및 정기적인 진료

- 정기적인 투약 및 복약관리

- 10명×월 2회×8월=160명

· 개별 의료연계

- 만성질환 및 ADL 향상을 위한 병원 진료 및 치료

- 10명×3회=3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정신과전문의 1인, 정신보건전문요원 1인

해당 질환 전문의 2인(연계 인력)

190회

월 2회

/발생시

3월~12

해당 병(의)원

인지치료

프로그램

- 우울증 완화를 위한 인지치료 집단프로그램 실시

- 초기면접, 과제 부여, 과제 점검

- 5명×3×2개 집단=3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전문가 1인 *지역 내에서 인지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 연계

6회

주 1회

5월

복지관

프로그램

자조모임

- 집단별(2개 집단 구성) 자조모임

5회 실시

- 타인과의 교류를 통한 우울감소

- 5명×5×2개 집단=5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10회

주 1회

4월~6

대상자 가정,

복지관

프로그램

나들이

- 대상자 의견을 반영하여 집단 나들이 실시

- 외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환기, 타인과의 교류 기회 제공

- 나들이 5명×1×2개 집단=1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2인

1회

6월~7

서울 및 경기도 인근 지역

우울형

자살

위험군

대상자 발굴

- 대상자 발굴 의뢰

- 의뢰된 대상자 인테이크 실시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수시

1월~4

안양시

관내

개별 상담

- 월 1회 대상자별 정기상담 실시

- 근황 확인 및 정서적 지원

- 45명×월 1회×8월=36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360회

월 1회

2월~12

대상자 가정, 복지관

상담실

의료연계

- 우울증 전문 치료지원

- 안양시 내 정신과 병(의)원 연계

- 우울증 진단 및 정기적인 진료

- 정기적인 투약 및 복약관리

- 대상자 45명×월2회×8월=72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정신과 전문의 1인

720회

월 2회

4월~11

대상자 가정,

해당 병(의)원

집단치료

- 정신과 전문의를 통한 전문심리치료 실시

- 집단별 8명(5명)×5회기×5개(1개)집단=225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정신과 전문의 1인

25회

주 1회

4월~11

복지관

프로그램

집단활동

- 우울증, 고독감, 자살생각 완화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실시

- 자화상그리기, 명상프로그램,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 등 진행

*프로그램은 변경될 수 있음.

- 8명(5명)×8×5개(1개)집단=36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프로그램별 전문 치료사 3인

40회

주 1회

4월~11

복지관

프로그램

자조모임

- 집단별(6개 집단 구성) 자조모임

6회 실시

- 타인과의 교류를 통한 우울감소

- 8명(5명)×6×5개(1개)집단=270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1인

30회

주 1회

5월~7

복지관 프로그램

나들이

- 대상자 의견을 반영하여 집단 나들이 실시

- 외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환기, 타인과의 교류 기회 제공

- 나들이 8명(5명)×1×5개(1개) 집단=45명

- 수행인력 : 사회복지사 2인

1회

8월~10

서울 및 경기도 인근 지역

사업 운영시 기관 자원 활용 방안

인력 활용

소속

성명

담당역할

비고

부장

사업 수퍼비전

사회복지사 1급

노인종합복지관 경력 15년

사례관리팀 팀장

사업총괄

사례관리 네트워크 참여

지역 연계 자원 발굴 지원

독거노인친구만들기사업 실무 총괄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경력 13년

노인사례관리 경력 3년

사례관리팀

사회복지사

대상자 발굴 및 자원연계 지원

사회복지사 1급

사례관리 경력 5년

지원인력

사례관리팀

사회복지사

000

전체사업 운영 및 평가

대상자 발굴 및 자원발굴

사례관리 및 개별상담

집단프로그램, 자조모임 등 실시

전담인력

정신과 전문의

- 우울증 전문치료지원

- 집단 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

전문치료사

집단활동프로그램 진행

전문인력

시설자원활용

- 집단프로그램실: 6개소 활용 가능

구분

면적

장비

수용인원

사용계획

다목적회의실

35㎡

책상, 의자, 빔, 스크린

15명

활동프로그램

자조모임

개별상담실

4.75㎡

책상, 의자

3명

개별상담

집단상담실

10㎡

책상, 의자

8명

집단심리치료

프로그램실 1

63㎡

책상, 의자

30명

인지치료

프로그램

프로그램실 2

47.88㎡

책상, 의자

20명

집단프로그램

자조모임

대강당

216㎡

빔, 스크린, 책상, 의자

150명

집단프로그램

- 투입 가능한 차량: 4대

차종

차명

승차인원

용도

사용계획

경차

모닝

5

복지관 업무용

개별 이송지원

승합차

그랜드스타렉스

12

복지관 업무용

나들이 및 단체이송지원

그랜드스타렉스

12

복지관 업무용

버스

미니버스

25

장애주간보호 송영용

4

지역자원 관리 및 평가방법

지자체 및 수행기관의 지원 및 관리 계획

지자체:

<사업운영지원>

- 동 주민센터, 복지사업 전담 공무원 업무협조 공문 발송

- 사업 수행 및 대상자 발굴 적극 협조

<예산 지원>

- 국비(70%/35,000,000원), 시비(30%/15,000,000원) 매칭비율에 따른 분기별

예산 지원

사업수행기관:

<인적 지원>

- 사례관리팀 지원인력 2명 배치(사례관리 전문가)

- 주 1회 정기 수퍼비전과 수시 수퍼비전 실시

- 전담인력 및 지원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회 제공

<물적 지원>

- 복지관 내 프로그램실 사용 및 기자재 활용

- 법인 내 차량 사용 및 운행 지원

<사업운영 관리감독>

- 사업 간담회 및 최종 평가회를 통한 과정평가 및 사업효과성 제고

- 분기별 1회 사업평가 보고를 통한 사업 진행 점검

- 월 1회 평가회 실시를 통한 사업 수행 효과성 검증

사업의 효과 평가방법

성과목표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성과지표

자료원

측정방법

측정시기

사회적 관계 회복을 통해 고독사를 예방한다.

-고독감척도 점수 감소(UCLA 척도 35점 이하)

-외부 활동 횟수 증가

-공식적 서비스 이용

사전/

사후

검사지,

개별상담

고독감 사전·

사후검사 실시,

개별상담실시

프로그램실시 ·후,

수시

사회활동 증가 및 사회적 관계 확대를 통해 우울감이 감소되고 고독사를 예방한다.

-우울척도 점수 감소(yesavage 척도 10점 이하)

-이웃 또는 친구와 교류 횟수 증가

-자조모임·인지치료프로그램 참여율 70%이상 달성

-가족 및 이웃(친구) 연락빈도 증가

사전/

사후

검사지,

프로그램 운영일지,

출석부,

개별상담

우울감 사전·

사후검사 실시,

개별상담실시

프로그램실시 ·후,

수시

우울감 감소 및 사회적 관계 회복을 통해 자살 위험이 감소한다.

-자살생각척도 점수 감소(Beck 척도 15점 이하)

-우울척도 점수 감소(yesavage 척도 7점 이하)

-자조모임·집단치료·단활동 참여율 70% 이상 달성

-가족 및 이웃(친구) 연락빈도 증가

사전/

사후

검사지,

프로그램 운영일지,

출석부,

개별상담

우울감/

자살생각사전·

사후검사 실시,

개별상담실시

프로그램실시 ·후,

수시

5

예산 계획 및 사업수행 일정

지자체 예산 확보방안

국비(70%/35,000,000원), 시비(30%/15,000,000원) 매칭비율에 따른 분기별

예산 지원

예산 세부 산출내역 (단위 : 원)

구분

산출내역

총계

50,000,000

구분

항목

산출근거

예산액

(52.3%)

은둔형

사례관리

50,000원×5명=

250,000

자원연계

100,000원×5회=

500,000

나들이

50,000원×5×1회=

*입장료, 식사비, 다과비를 1인당으로 산출

250,000

소계

활동제한형

사례관리

30,000원×10명=

300,000

의료연계

우울치료 10,000원×10×월 2회×8월=

1,600,000

개별의료연계 30,000원×10×2회=

600,000

인지치료

프로그램

100,000원×3×2집단=

600,000

자조모임

40,000원×5×2집단=

400,000

나들이

50,000원×5×2집단=

*입장료, 식사비, 다과비를 1인당으로 산출

500,000

소계

우울집단

의료연계

우울치료 10,000원×45×월2회×8월=

7,200,000

집단치료

강사비 150,000원×5회기×6집단=

4,500,000

집단활동

강사비 100,000원×8×6집단=

4,800,000

재료비 30,000×5×6집단=

-자화상그리기 : 도화지, 크레파스, 물감

-아로마테라피 : 아로마오일, 스프레이통, 정제수, 무스에탄올 등

-앨범만들기 : 포토북 제작

900,000

나들이

50,000원×45×1회=

*입장료, 식사비, 다과비를 1인당으로 산출

2,250,000

자조모임

40,000원×5×6집단=

1,200,000

소계

사례발굴비

지역단체 및 직능단체 방문 30,000원×10회=

300,000

소계

300,000

소계

26,150,000

관리운영비

(3.6%)

실무자 활동비

워크샵참가비 70,000원×2×3회=

교통비 50,000원×4회=

620,000

네트워크 회의비

네트워크 회의 10,000원×8×3회=

240,000

현수막

제작

가로 현수막 40,000원×2개=

배너현수막 30,000원×2개=

140,000

차량관리

유류비 50,000원×10회=

500,000

사무용품비

프로그램 진행 용품 (사무용품 등)

307,980

소계

인건비

(44.1%)

전담원임금

1,556,000원×1×11월 =

17,116,000

사회보험료

1,556,000원×9.5%×11월 =

1,626,020

수퍼비전 업무협조비

중간관리자 100,000원×1×11월 =

1,100,000

업무협조직원 100,000원×2×11월 =

2,200,000

소계

사업수행 일정

사업내용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홍보

사례 발굴

은둔형

고독사

위험군

사례관리

자원연계

나들이

활동제한형 고독사 위험군

사례관리

의료연계

인지치료프로그램

자조모임

나들이

우울형 자살위험군

개별상담

의료연계

집단치료

집단활동

자조모임

나들이

네트워크 활동

실무자 사업 평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