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2차모집 공고.hwp
<공고문>
2024년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2차모집 공고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에서
창업의 꿈을 펼칠 청년창업가를 모집합니다.
1. 모집개요  |  
          
□ 모집기업(규모) : 10개
*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신청자격
1) 대전광역시 서구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2) 창업일로부터 3년 이내의 (예비)창업자
※ 1~2번 항목 모두 필수로 충족해야 함
3) 예비창업자의 경우 입주 후 2개월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함
4) 대전광역시 서구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청년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되, 미달될 경우 대전광역시 서구에 사업장이 있는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으로 할 수 있음
□ 모집분야
1) 입주신청서 파일 [붙임 2] 참조
2) 문화, 예술 콘텐츠 분야 아이디어, 아이템 우선 선정
2. 신청 방법  |  
          
□ 신청기간 : 2023.12.28.(목) ~ 2024.01.14.(일)
□ 신청방법 : E-mail 접수 (yescenter@mokwon.ac.kr)
□ 제출서류
1) [붙임1] 입주 신청서(사업계획서, 확약서, 개인정보동의서 포함) 1부
2) 대표자 이력서 1부(자유양식)
3) 대표자 주민등록등본 1부(주소 확인용)
4) 사업자등록증 1부(기창업자의 경우)
※ 누락된 서류 있을 시, 서류심사 자동 탈락
□ 접수 및 문의
◦ 접수처(E-mail) : yescenter@mokwon.ac.kr
◦ 문의 :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담당자(042-829-7627)
◦ 홈페이지 : yes.mokwon.ac.kr
3. 주요 지원내용  |  
          
□ 입주기간 : 계약일 ~ 2024년 12월 31일
※ 최초 1년 계약 후 심사를 거쳐 매년 1년씩 최대 2회에 한하여 연장 가능
□ 입주기업 지원내용
◦ 입주공간 무상사용
◦ 부대시설 무상사용(사무 기자재, 회의실 등)
◦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문가 멘토링 지원
◦ 마케팅, 시제품 제작, 지재권 등 기업별 맞춤형 지원(최대 250만원)
◦ 우수 기업의 경우 추천을 통해 목원대학교 BI에 입주 기회 제공
* BI란? Business Incubator의 약자로 창업보육센터를 의미함
* 입주 시 심사 간소화 및 입주 보증금 50% 감면 등 혜택 제공
◦ 교내외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 연계를 통한 초기 창업기업의 생존 향상
◦ 입주 기업 간 정기 교류회를 통한 분야별 커뮤니티 형성
◦ 예비창업자의 경우 LINC 3.0 사업단, RIS(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등 타 사업 연계 참여 기회 제공
4. 심사 및 평가  |  
          
□ 심사방법
1) 서류심사 : 제출된 사업계획서 등을 토대로 평가
2) 면접심사 : 서류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선정심사기준에 의해 평가
※ 선발예정 인원에 대해 심사기준에 따른 심사결과 고득점순으로 선발함
※ 심사위원의 심사기준 미달 시 선발예정 인원과 관계없이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
◦ 세부일정
1. 모집 공고  |  
            |  
          2. 신청ㆍ접수  |  
            |  
          3. 서류 및 면접 평가  |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  
         ||
2023.12.28  |  
          2023.12.28.~2024.01.14  |  
          2024.01.15.~01.25  |  
         ||
4. 결과발표  |  
            |  
          5. 타 정부지원사업 중복수혜 확인  |  
            |  
          6. 입주계약 및 입주시작  |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  
          대전 서구청  |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  
         ||
2024.01.26  |  
          2024.01.26  |  
          2024.01.29~  |  
         ||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붙임 1. 입주신청서 1부(신청서식).
2. 입주기업 모집분야 및 제외분야 세부내역 1부.
[붙임 1]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신청서  |  
         
분야구분  |  
          □ 제조 □ 지식서비스  |  
         ||||||||||||
성 명  |  
          연 락 처  |  
          핸드폰  |  
          전화  |  
          ||||||||||
생년월일  |  
          이메일  |  
          ||||||||||||
공동창업 유무  |  
          □ 유 □ 무  |  
          현재 창업유무  |  
          □ 창 업(창업일 : 년 월 일) □ 미창업(예정일 : 년 월 일)  |  
         ||||||||||
주 소  |  
          |||||||||||||
창업아이템명  |  
          |||||||||||||
입주 희망기간 (입주희망유형)  |  
          계약일 ~ 2024.12.31 □ 1인실 □ 2인실  |  
         ||||||||||||
現 사업화 단계  |  
          □ 기술개발단계 □ 상품화단계 □ 사업화단계  |  
         ||||||||||||
기 업 현 황  |  
          기업명  |  
          주요생산품  |  
          |||||||||||
법인등록번호  |  
          사업자등록번호  |  
          ||||||||||||
전년도 매출액  |  
          백만원  |  
          전년도 수출액  |  
          백만불  |  
         ||||||||||
고용인원  |  
          명  |  
          투자유치액  |  
          백만원  |  
         ||||||||||
청년창업관련 입주이력  |  
          센 터 명  |  
          ||||||||||||
입주기간  |  
          OOOO.OO.OO ~ OOOO.OO.OO (총 개월)  |  
         ||||||||||||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  
         |||||||||||||
등록 ( )개 출원 ( )개  |  
         |||||||||||||
공동사업자  |  
          성명  |  
          생년월일  |  
          연락처  |  
          담당분야  |  
         |||||||||
0000.00.00  |  
          |||||||||||||
0000.00.00  |  
          |||||||||||||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하고자 본 신청서를 제출하며 작성한 신청서 내용에 허위 사실이 있을 경우 선정 취소 및 손해배상 등의 불이익 처분에 동의합니다. 년 월 일 (대표) 신청인 : (인) 첨부 1. 사업계획서 1부. 2. 대표자 이력서 1부(자유양식). 3. 대표자 주민등록등본 1부(주소확인용). 4.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기창업자)  |  
         |||||||||||||
[1] 사업계획서
1. 창업 동기 및 추진사항
창업 동기  |  
          ◈ 창업동기 및 창업목표를 기술  |  
         
입주 중 추진사항  |  
          ◈ 입주 중 사업추진 내용  |  
         
2. 사업화 및 추진계획
제품의 개요  |  
          ◈ 기술개발의 필요성, 창업과제의 용도, 사양, 주기능, 성능 등 제품에 대한 설명  |  
         |
국내외 시장규모·전망  |  
          ◈ 현재 및 향후 3년간의 시장규모, 시장전망, 국내외 시장동향, 시장진입 조건 등 시장구조 및 특성, 주요 수요처 등  |  
         |
파급효과  |  
          ◈ 사업화 성공에 따른 고용인원 창출 등 고용창출을 많이 필요로 하는 과제 우대  |  
         |
[2] 확약서  |  
         
확 약 서 당사는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으로 계약 후 계약기간 동안 대표자 주민등록등본 주소지 혹은 사업장 주소지를 대전광역시 서구로 유지 할 것을 확약하며, 입주 시 주소지가 대전광역시 서구가 아닌 (예비)창업자의 경우 입주 후 2개월 이내에 대표자 주민등록등본 주소지 혹은 사업장 주소지를 대전광역시 서구로 이전 할 것을 확약합니다. 이를 어기거나 제출된 서류에 허위가 발견될 시, 당 사업의 참여 제한 및 향후 수행하는 여타 사업의 참여 제한에 대하여 당사가 감수할 것을 확약합니다. 
 년 월 일 신청기업 : 대 표 자 : (인)  |  
         
[3] 개인정보제공동의서
개인(기관)정보 제공 동의서  |  
         
대전광역시 서구청은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사업」과 관련하여 「개인정보보호법」제15조 제1항 제1호, 제17조 제1항 제1호, 제23조 제1호, 제24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에 관하여 귀하의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  |  
         
1. 수집․이용에 관한 사항
□ 수집·이용 목적
○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 사업」과 관련하여 운영·관리를 목적으로 합니다.
□ 수집·이용할 항목
○ 필수항목
- 개인식별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e-mail 등)
□ 보유․이용기간
○ 위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 보유목적 달성 시 또는 정보주체가 개인정보 삭제를 요청할 경우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 단, 사업 종료일 후에는 향후 이력관리만을 위하여 보유․이용되며 기간은 3년입니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동의를 거부할 권리 및 동의를 거부할 경우의 불이익
○ 위 개인정보 중 필수항목의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는 본사업의 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므로 이에 동의하셔야 이후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동의하지 않으시는 경우 본 운영사업에 신청이 불가합니다.
□ 위와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는 것에 동의합니까?
고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  
          ( ■동의함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  
          필수항목 : 개인식별정보  |  
          ( ■동의함 □동의하지 않음 )  |  
         
2.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
□ 제공받는 자
○ 타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 제공받는 자의 이용 목적
○「대전광역시 서구 청년창업지원센터 운영 사업」관련 평가, 만족도 조사, 정책자료 활용 등
□ 제공할 개인정보의 항목
○ 수집·이용에 동의한 정보 중 위탁업무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정보에 한함
□ 제공받은 자의 개인 정보 보유․이용 기간
○ 위 개인정보는 제공된 날부터 3년간 보유·이용되며 보유목적 달성 시 또는 정보주체가 개인정보 삭제를 요청할 경우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 동의를 거부할 권리 및 동의를 거부할 경우의 불이익
○ 위 개인정보의 제공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동의를 거부 시 본 운영사업에 신청이 불가합니다.
□ 위와 같이 귀하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동의합니까?
고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  
          ( ■동의함 □동의하지 않음 )  |  
         
개인정보  |  
          필수항목 : 개인식별정보  |  
          ( ■동의함 □동의하지 않음 )  |  
         
년 월 일
대표 : (서명)
[붙임 2] 모집분야(1. 모집분야 세부내역 2. 제외분야 세부내역)
[1] 입주기업 모집분야 세부내역
청년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유망산업 분야  |  
         
□ 제조업과의 융합발전 및 고용창출 기여 등
대분류  |  
          중분류  |  
          세세분류  |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  |  
          2611, 2621, 26120,26221, 26222, 26299, 26294, 26410, 26429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27112, 27192, 27193, 27199  |  
         |
전기 장비 제조업  |  
          28111  |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29272, 2922  |  
         |
전자상거래업  |  
          47911  |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58221 58222  |  
         
통신업  |  
          61210, 61220, 61229, 61291, 61229  |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  
          62010, 62021, 60222  |  
         |
정보서비스업(자료처리,DB구축,스트리밍,포털 등)  |  
          6311, 63120, 63991  |  
         |
금융 및 보험업  |  
          그 외 기타 금융지원 서비스업  |  
          66199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연구개발업 (R&D지원,기초/응용연구,실험개발)  |  
          70113  |  
         
교육서비스업  |  
          온라인교육  |  
          85709  |  
         
* 해당업종의 분류는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름
□ 미래유망 신산업 분야
대분류  |  
          중분류  |  
          세세분류  |  
          비고  |  
         |
제조업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전기장비 제조업  |  
          28111, 28202  |  
          ICT 융복합  |  
          미래형자동차 (전기자동차, 스마트카)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30320, 30392, 30399, 30121, 30110, 30121, 30122,  |  
         |||
의료, 정밀, 광학긱기 및 시계 제조업  |  
          27211  |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31310  |  
          산업용무인기  |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29280  |  
          지능형로봇  |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6422, 26429  |  
          웨어러블디바이스  |  
         ||
의료, 정밀, 광학긱기 및 시계 제조업  |  
          27112  |  
         |||
출판업  |  
          58221  |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6511, 26519, 26521, 26299  |  
          스마트홈  |  
         ||
전기장비 제조업  |  
          28511, 28512, 28519, 28422  |  
         |||
제조업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전기장비 제조업  |  
          28202, 28119  |  
          에너지  |  
          ESS  |  
         
태양광  |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20129  |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6120  |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29272  |  
         |||
스마트그리드  |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20129  |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6120  |  
         |||
전기장비 제조업  |  
          28111, 28909  |  
         |||
통신업  |  
          61210  |  
         |||
제조업 /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21101, 21102, 21210  |  
          바이오헬스  |  
          바이오의약  |  
         
연구개발업  |  
          70113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21300,  |  
          스마트 헬스케어  |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22299  |  
         |||
의료, 정밀, 광학긱기 및 시계 제조업  |  
          27111, 27112, 27199, 27213, 27219, 27329, 27191, 27192, 27193, 27199  |  
         |||
출판업  |  
          58221, 58222  |  
         |||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  
          62090  |  
         |||
연구개발업  |  
          70113  |  
         |||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13213  |  
          첨단 신소재  |  
          첨단신소재 (탄소섬유, 마그네슘, 타이타늄)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20303  |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23999  |  
         |||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20433  |  
          기타  |  
          고급소비재 (화장품)  |  
         
* 해당업종의 분류는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름
[2] 입주기업 제외분야 세부내역
< 청년(기업) 범위에서 제외되는 업종 (1인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시행령 별표 1 참고) >
구 분  |  
          해당 업종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광업  |  
          석탄, 원유 및 천연가스 광업  |  
          05  |  
         
금속광업  |  
          06  |  
         |
비금속광물 광업; 연료용 제외  |  
          07  |  
         |
광업지원서비스업  |  
          08  |  
         |
제조업  |  
          담배제조업  |  
          12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19  |  
         |
1차 금속 제조업  |  
          24  |  
         |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35  |  
         
수도사업  |  
          36  |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37  |  
         
폐기물 수집운반, 처리 및 원료재생업  |  
          38  |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39  |  
         |
건설업  |  
          종합건설업  |  
          41  |  
         
전문직별 공사업  |  
          42  |  
         |
도매 및 소매업  |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  |  
          45  |  
         
도매 및 상품중개업  |  
          46  |  
         |
소매업; 자동차 제외(전자상거래업은 제외한다)  |  
          47  |  
         |
운수업  |  
          육상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  
          49  |  
         
수상 운송업  |  
          50  |  
         |
항공 운송업  |  
          51  |  
         |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  
          52  |  
         |
숙박 및 음식점업  |  
          숙박업  |  
          55  |  
         
음식점 및 주점업  |  
          56  |  
         |
금융 및 보험업  |  
          금융업  |  
          64  |  
         
보험 및 연금업  |  
          65  |  
         |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그 외 기타 금융지원 서비스업은 제외한다)  |  
          66  |  
         |
부동산업 및 임대업  |  
          부동산업  |  
          68  |  
         
임대업; 부동산 제외  |  
          69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보건업  |  
          86  |  
         
사회복지 서비스업  |  
          87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  
          9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기타 개인 서비스업  |  
          96  |  
         
비고: 해당 업종의 분류는 「통계법」 제22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