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붙임2) 2024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신구대비표(최종).pdf

닫기

background image

-  9  -

번호

내용

현행

개정안

비고

23 무시험합격

기준

86,

95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86 무시험검정 합격기준

구분

2013~2020학년도 

입학자

※  2015~2022학년도 

편입학자  및 

재입학자  포함

2021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  2023학년도  이후 

편입학자  및 

재입학자  포함

2024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  2026학년도  이후 

편입학자  및  재입학자 

포함

 
교직
과목

⦁ 22학점  이상

 - 교직이론  12학점(6과목)  이상

 - 교직소양  6학점(3과목)  이상

 - 교육실습  4학점  이상

⦁ 22학점 이상

  -  교직이론 

12학점(6과목)  이상

  -  교직소양 

6학점(4과목) 이상

  -  교육실습 4학점 이상

유치원  및 

초등·중등·특수학

교  등의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세부기준 

개정(‘23.3.29), 

교직과목에 

디지털  교육

반영

24

교원양성

기관  정원 

운영  지침

89 ‣2017학년도 편입학  전형부터는 신입학  시 ‘정원 외’ 허용  범위 

10%  안에서  ‘정원  외’  입학생을  채우지  못한  경우,  여석을  ‘정원 
외’  편입학생으로  충원할  수  없음

    ☞  (예시)  ○○교육과  입학정원  60명  기준으로  ’21학년도  정원외 

신편입학  가능  수는  총  6명이며,  1학년  정원의  신입학생을 
4명  선발했다면,  2년  후(’23학년도)  3학년  정원외  편입학생 
4명  중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전형으로  ‘정원  외’  편
입학으로  충원  가능.  다만,  ‘21학년도  ’정원  외‘  신입학  결
원인  2명은  충원  불가)

89 ‣2017학년도  편입학  전형부터는  신입학  시  ‘정원  외’  허용  범위 

10%  안에서  ‘정원  외’  입학생을  채우지  못한  경우,  여석을  ‘정원 
외’  편입학생으로  충원할  수  없음

  ☞  (예시) ○○교육과  입학정원  60명 기준으로 ’21학년도 정원외 신

편입학  가능  수는  총  6명이며,  1학년  정원의  신입학생을  4명 
선발했다면,  2년  후(’23학년도)  3학년  정원외  편입학생  4명  중 
결원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전형으로  ‘정원  외’  편입학으로 
충원  가능.  다만,  ‘21학년도  ’정원  외‘  신입학  결원인  2명은 
충원  불가)

모든  사례를 

포함하는  예시가 

아니므로  삭제

25

교직과목 

면제

112 3) 교직과목의 면제

  ①  교직이론 및 교직소양 영역: 학부 또는 대학원에서 이수한 교직

과목은  면제(실기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경우  이수한  「교육학

개론」은  면제  가능)

112 3) 교직과목의 면제

  ①  교직이론 및 교직소양 영역: 2급 이상의 교사자격을 소지한 자가 

교육대학원에서  교사자격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교직과목을 

면제할 수 있다(실기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경우 이수한 「교육학

개론」은  면제  가능).

고시에  근거한 
내용으로  수정

26

교육경력 

범위

119 가.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 교육경력의 범위: 「교원자격검정령」 제8조 참조(기간제 교사 가능, 

종일제 강사  인정불가)

119 가.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 교육경력의 범위: 「교원자격검정령」 제8조 참조(기간제 교사, 순회 

교사  가능,  종일제  강사  인정불가)

순회교사  포함 


background image

-  10  -

번호

내용

현행

개정안

비고

27

자격취득 

예정 

증명서 

발급

120 가.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3)-④-㉡

※ 전문상담교사(1급) 자격 취득예정 증명서가 필요한 경우 양성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 예정자의  소속 시․도교육청에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이수 예정 증명서, 졸업 예정 증명서, 
성적증명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20 가.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3)-④-㉡

 ※ 전문상담교사(1급) 자격 취득예정 증명서는 대학에서 발급이 불가

하며,  필요한  경우  양성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 
예정자의 소속 시․도교육청에 전문상담교사(1급) 양성과정 이수 예정 
증명서, 졸업 예정 증명서, 성적증명서를 제출하고, 시·도교육청에서 
발급한다.

자격취득  예정 

증명서  발급 

관련  안내

28

128  ⑦ 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기본이수과목에서 특수교육교육과정론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중등  특수  표시과목  관련  전공과목에는 

특수교육교육과정(기본  교육과정  교과(군)*)  7학점(3과목)  이상을 
포함하여  이수해야  한다.

128   ⑦  2021학년도  입학자부터  기본이수과목에서  특수교육교육과정론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며,  중등  특수  표시과목  관련  전공과목에는  특수

교육교육과정(기본  교육과정  교과(군)*)  7학점(3과목)  이상을  포함 
하여  이수해야  한다.  2020학년도  이전  입학자가  위의  교과목을 수강했을 
경우에는 모두 특수교육 관련 전공학점으로 인정된다.

2020학년도  이전 

입학자  관련 

안내

29

특수학교 

교사  중복 

인정  학점 

및 

검정기준

56

131

2)  중복  인정  학점  및  검정기준

  ※ 2021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자격종별

검정기준

특수학교

(초등) 

정교사(2급)
(초등특수교

육과)

  ・초등교육  관련  전공과목  38학점
    (기본이수과목  21학점/7과목,  교과교육영역  8학점/3과목 

이상  포함)

  ・특수교육  관련  전공과목  42학점
  ・교직과목  22학점
  ・교직과목  성적  평균  80점  이상  /  전공과목  성적  평균  75점 

이상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판정  2회  이상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2회  이상
  ・성인지  교육  4회  이상

131 2) 중복 인정 학점 및 검정기준

  ※

2021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자격종별

검정기준

특수학교(초등) 

정교사(2급)

(초등특수교육

과)

  ・초등교육  관련  전공과목  38학점
    (기본이수과목  21학점/7과목,  교과교육영역  8학점/3과목 

이상  포함)

  ・특수교육  관련  전공과목  42학점
    ※  기본이수과목  특수교육공통영역에서  특수교육교육과정론 

필수 이수

  ・교직과목  22학점
  ・교직과목  성적  평균  80점  이상  /  전공과목  성적  평균  75점 

이상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적격판정  2회  이상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2회  이상
  ・성인지  교육  4회  이상

2021학년도  이후 

입학자, 

기본이수과목 

특수교육공통영역 

특수교육교육과

정론  필수  이수 

내용(누락)  추가

30

특수학교

(1급)자격

취득

예정증명서 

발급 

135 ② 자격증 부여 및 표기방법

136 ② 자격증 부여 및 표기방법

    ※  특수학교  정교사(1급)  자격  취득  예정  증명서는  대학에서  발급이 

불가하며,  필요한  경우  양성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 예정자의 소속  시도교육청에 특수학교 정교사(1급) 양성과정 
이수 예정 증명서, 졸업 예정 증명서, 성적증명서를 제출하고, 시도
교육청에서  발급한다.

특수학교

(1급)  자격

취득

예정증명서  발급 

안내

31

교사자격 

취득예정 

증명서

383 [서식  17]  교사자격  취득  예정  증명서

371 [서식  17]  교사자격  취득  예정  증명서  양식

본  문서는  교원자격  취득예정  증명서로서  목적  외  사용을  금지하며, 

교원자격증 원본은 무시험검정 자격 기준에 의거 서류 검정 후 발급됩니다.

교사자격 

취득예정  증명서 

관련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