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중독
2018014 김현철 - 자료조사, 자료정리
2218022 남죠이 - 자료조사, PPT제작
2218059 정은구 - 자료조사, 발표
2218074 조한주 - 자료조사 , 자료정리
2218066 진정연
● 정신건강사회복지론
2조
목차
1. 알콜중독 실태
(현재 상황 및 문제점)
2. 정신건강 분야
현재 상황 및
정책 서비스
3. 정신건강 분야
상황 및 정책
서비스
현재 부족한 점
5. 앞으로 정책 및
서비스 개선 방안
4. 외국에서 잘
되고 있는 정책 및
서비스 소개
알코올중독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로 인해 음주에 대한 조절능력을 상실하고
, 심리적·생리적 내성과
금단이 발생하여 일상생활
, 대인관계, 직업기능 및 수행능력 등 중요 생활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만성 질환
'알코올 중독'이란?
알코올 중독 특징
<알코올 증상 특징>
1. 강한 음주갈망: 술에 대한 갈망이 일어나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술을 마심
2. 집착: 인생에서 술이 가장 중요하여, 다양한 사회적 관계 및 활동을 포기
3. 내성: 종전과 같은 만족을 경험하기 위하여 더 많은 양의 술이 필요
4. 금단증상: 알코올 중단 시 식은땀, 불면, 초조, 불안, 우울, 무력감, 오심,
구토
, 일시적인 환각(환시, 환촉, 환청) 경험
5. 조절능력 상실: 한번 음주를 시작하면 몸 상태가 극도로 상할 때까지 마심
기능저하술로 인해 신체적
, 심리적, 사회적 활동에 장애가 생김
<알코올이 뇌에 미치는 영향>
술을 오랜 기간 많이 마시게 되 경우
, 뇌 쪼그라듬 증상
뇌의 위축은 기억력 저하와 성격의 변화뿐만 아니라 치매를 일으킴
알코올 남용 및 의존은 한 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 심리-사회, 유전적, 행동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생김
. 개인의 차이도 있음
1. 알콜중독 실태
(현재 상황 및 문제점)
-알코올 사용장애는 알코올 자체가 아닌 술을 먹는 패턴의 문제로 조절력 상실과 술을 마시는 행동이 우선시되는 질환임
-우리나라는 진당에 대해 민감성이 낮은 편, 술을 마시고 다치거나 돈을 쓰거나 지각을 하거나 하는 일을 누구나 있을 법한
무용담으로 취급함
- 술로 인해 문제에 허용적인 문화를 가진 한국은 문제 발견 시가가 늦어지고, 시대가 변해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지고
전통 규범이 모호해지면서 남성의 음주 문화가 여성에게도 그대로 적용하여 소주의 도수를 낮추고 향을 넣는 등 젊은
여성을 마케팅의 목표가 됨
2. 알콜중독 실태
(현재 상황 및 문제점)
현재
, 일상생활 기능에 문제가 없다는 측면에서 알코올 사용 장애에 해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술을 계속 마시다 보면 언젠가는 내성이 생겨
기능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화학물질이 들어오면 뇌세포에선 반대되는 반작용이 생겨 똑같은 알코올의 진정 효과나
평안한 효과를 누리려면 술의 양도 계속 늘어나 내성이 생기면서 술을 먹는 양과 횟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생기지만
, 한국처럼 술로 인한 문제에 허용적인 문화를 가진 곳은 다른
나라에 비해 문제 발견 시기가 좀 늦어질 뿐이지
, 실제로 중독이
아니라고 볼 수는 없음
전 세계적 동양권에서는 여성의 음주율이 남성보다 낮아 알코올성 간질환
, 음주로 인한
문제는 여성에게서 적게 나타났지만
, 시대가 변하면서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고 전통
규범이 모호해지면서 남성의 음주 문화가 여성에게도 그대로 적용됐으며
. 주류회사들은
도수를 낮추거나 향을 넣는 등 젊은 여성을 마케팅 목표로 삼아 월간 음주율이나 월간
폭음률 추이를 봐도 남성은 이전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반면
,
여성 음주는 약
10년 전부터 늘어나고 있음
2021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선 30대 여성의 1년 알코올 사용장애 유병률이 남성을
앞지르는 이변이 생김
. 30대에서 알코올성 간경변 발생률도 여성이 남성을 앞지름. 여성은
똑같은 양의 술을 마시더라도 남성보다 알코올중독이나 다른 장기 손상이 올 가능성이
적게는 두 배
, 많게는 다섯 배까지 높음
3. 현재 정신건강 분야
정책 및 서비스
제
1조(목적)
제
2조(기본이념)
제
4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정 신 질 환 의 예 방 ㆍ 치 료
,
정
신
질
환
자
의
재 활 ㆍ 복 지 ㆍ 권 리 보 장 과
정 신 건 강 친 화 적 인 환 경
조 성 에 필 요 한 사 항 을
규 정 함 으 로 써 국 민 의
정 신 건 강 증 진
및
정신질환자의 인간다운 삶을
영 위 하 는 데 이 바 지 함 을
목적으로 한다
.
모든 국민은 정신 질환으로부터 보호 받을
권리가 있다
.
모든 정신질환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으며 최적의 치료를
받 을 수 있 고 부 당 한 차 별 대 우 를 받 지
아니한다
.
미 성 년 자 의 경 우 특 별 히 치 료
, 보 호 및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
정신질환자에 대한 입원 또는 입소는 자신의
의지에 따른 입원 또는 입소해야 한다
. .
① 국 가 와 지 방 자 치 단 체 는
국 민 의
정 신 건 강 을
증 진 시 키 고
, 정 신 질 환 을
예 방 ㆍ 치 료 하 며
,
정 신 질 환 자 의 재 활 및
장애극복과 사회적응 촉진을
위 한
연 구 ㆍ 조 사 와
지도ㆍ상담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의 관한 법률 제 1장>
3. 현재 정신건강
분야 정책 및 서비스
온라인 정신건강 서비스
: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정신건강 상담 및 치료를 제공
, 비 영리 단체는 디지털 피어
서포트 서비스
, 온라인 상담, 정신건강 교육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힘
청소년 및 아동 정신건강 서비스
: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별
, 집단 상담,
심리검사
, 부모 상담, 학교 방문 프로그램 등이 포함됨
온라인 정신건강 서비스
청소년 및 아동 정신건강 서비스
구체적 서비스로는
BetterHelp, Talkspace, Calm 등이 대표적인 예시.
이러한 플랫폼들은 온라인 상담
, 치료, 명상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자료 등을 제공함
구체적 서비스로는
TeenCounseling (틴컨슬링) 온라인 상담 플랫폼으로,
청소년을 위한 전문 상담가들과의 온라인 상담 제공청소년들은 텍스트
, 음성 또는
비디오 채팅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고
, 심리적, 정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음
3. 현재 정신건강
분야 정책 및 서비스
초중고대학교에서 상담실 운영
, 이곳에서는 개인, 집단 상담과
심리검사
, 정신건강 교육 등을 제공함으로 학생들의 스트레스나
대인관계 문제
, 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곳
학교정신건강 서비스
정신질환 예방
, 치료, 재활 등 종합적인 서비스 제공 - 입원, 외래 진료,
심리 치료
, 재활 프로그램, 심리적 응급처리 등을 포함하고 우울증과
조현병 환자를 위해 온라인 교육
, 심화 교육을 진행
국립정신건강센터
구체적 서비스로는 학교 정신 건강 센터에서 학교 내에 상담사나 심리학자가
상주하여 학생들의 정신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 필요한 경우 상담과 치료를
제공함
, 학교 상담실에서는 학교 내에 상담실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학
업
, 가정, 대인관계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상담을 받을 수 있음, 학교
상담사는 학생들의 심리적
, 정서적 어려움을 듣고 지원함
구체적 서비스로는 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 계획
, 기능개선, 고도화 사업 기술지원,
시스템 개선 사항 등 발굴 및 검토
, 시스템 사용 표준 가이드라인 마련,
시스템 사용자 교육 운영
, 시스템 관련 협의체 운영, 시스템 데이터의 질 관리를 함
3. 현재 정신건강
분야 정책 및 서비스
정신건강복지센터
: 전국 각 지역에 위치한 센터는 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상담과 서비스
, 프로그램 제공하고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며 위기 상황에서는 긴급 개입
서비스 제공
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 조기 발견 및 개입서비스
, 중독질환 관리사업, 중독질환
가족지원사업
, 중독 폐해 예방 및 교육사업, 중독질환 가족지원사
업
, 지역진단 및 기획을 지원함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구체적 서비스로는 대전광역시정신건강복지센터
, 대전광역시자살예방센터
진행하는 알코올 중독으로 도움을 찾는 분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서로에
대한 격리와 조언을 통해 건강하게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자조모임과 단주모임
, 알코올중독자 가족들의 모임인 가족친목(Al-Anon)이
있음
동기증진면담
, 인지행동치료 ,12단계 촉진치료, 센터프로그램, 외래치료
병원에서 진행하는 외래집단치료 및 의사면담을 통해서 지속적 관리를 하며
,
알코올중독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임을 가짐
3. 정책 및 서비스 부족한 점
우리나라에서 술은 국민 보건을 위협하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며
, 알코올 중독에서 나타나는 재발의 원인은 음주 갈망이
있으며 알코올 섭취에 대한 간절한 욕망을 의미
, 사전적인 의미는 일반적이고 경계가 모호해 연구자마다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 차이가 있는 요인으로 연구자들에게 만만치 않은 문제점을 제기했고 갈망의
모호하고 부정확한 정의는 오해를 부르는 점으로 알코올 중독자가 경험하는 알코올 갈망을 제대로 이해하기는 부족하다는
것이 있음
알코올 갈망이 약물 남용의 재발과 지속적인 약물을 사용해서 중요한 요소
, 치료와 재발 방지를 위한 임상 방법의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어 집중적인 연구를 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 실험연구, 조사연구, 척도개발연구와 같은 양적 연구가 이루고 있어 연구 주제에
대한 실체와 개인이 경험하는 주관적이지만 독특한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데엔 한계가 있으며
, 욕구나 기대와 어떻게 다른지, 알코올
중독 환자의 음주 갈망은 어떠한 차이가 있고
,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어 심층적으로 탐구해보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나 질적 연구의
수가 부족하다는 점이 있음
경제 협력 개발 개발 기구 국가 중에서 한국의 알코올 정책은 최하위
, 중독 관리 통합지원센터가
전국에
50여 개 밖에 없으며 음주폐해 예방관리사업 예산은 2008년 23억
5800만원에서 2023년 12억 5500만원으로 감소함
4. 외국에서 잘 되고 있는
정책 및 서비스 소개
'주류 가용성 제한', 술을 파는 시간, 술을 팔고 먹는 장소에 대한 제한이 하나도 없음
미국만 해도 맥주와 와인은 슈퍼마켓에서 팔지만 고도주는 지정된 주류판매점에서만 판매함
일본
미국
일본 후생노동성은 올해
2월 19일 ‘건강에 배려한 음주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공표함 해당
가이드라인은 음주에 따른 위험성에 대한 인지도 확대와 일반 국민들이 주류 섭취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적절한 음주량
, 음주행동에 판단을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고 밝힘
현재 대한민국은 언제
, 어디서든, 누구든,
얼마든지 음주를 광범위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 으 며 이 는 곧 음 주 로 인 한 폐 해 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음
. 이 외에도 알코올의
이용가능성을 포괄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관련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함
.
현대에 들어서면서 매체는 다양해지고 시공간을
초월하며
, 모든 연령대의 접근이 가능해진 결과
미래 세대의 주인공인 청소년이 주류 마케팅에
무방비하게 노출이 되고 있음
, 주류
마케팅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주류
광고가 제한되는 매체를 방송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확대되어야 함
국제적으로도 가격 정책은 시행이 되고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세금 부과
, 주류 판매 등
주류산업과 관련된 주세법을 위주로 가격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상태라 주류에 건강증진부담금을
부과해 알코올 소비량의 감소
, 음주로 인한 질병
예방 및 사망 감소 등을 유발 할 수 있어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은 뿐만이 아닌 사회
· 경제적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국민들에게 이러한 음주 폐해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 등 사회적 위험성의 심각성을 알리고
, 재원
마련을 통해 국민의 건강증진과 음주폐해를
사전에 예방에 대한 대안이 같이 검토되어야 함
5. 앞으로 정책 및 서비스 개선방안
<주류 광고 및 음주 장면 방송에
대한 마케팅 규제 필요
>
<알코올 이용가능성 규제를 강화를
위한 법령 등 제도 개선 시급
>
<주류 가격 정책의 실행 필요>
알코올 위험군의 경우 가족
, 직장,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고 정신건강 상태가 안좋은
것으로 나타나 알코올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알코올 중독 문진표 등을 국민건강
검진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묘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알코올 중독 위험군에 때해서는
알코올 습관에 관한 치료뿐만 아닌 정신건강
상담 등 복합적인 상담과 치료가 필요해 알코올
중독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 해야함
알코올 중독과 관련하여 상담받을 수 있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사회복귀시설 등이
있지만 서비스 이용자 및 환자 수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고 설치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가 미약해 서비스 제공의
지속성과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및 사회복기시설을
확층하여야 함
알코올 중독 관련 전문 인혁 양성을
위한 법적인 규정이 없어서 인력
양성 교육은 수련 및 양성과정에서
편차가 매우 커서 질적 수준을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 안정적인
인력확충과 중독상담 전문요원
양성을 위한 표준화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
5. 앞으로 정책 및 서비스 개선방안
<센터의 부족한 실정>
<알코올 중독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 필요
>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영상 자료
영상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vsmdRNmes5c
참고자료
-한겨레21 기사-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4981.html
-알코올중독자가 경험하는 갈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양근영, 2022)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
cn=JAKO202207545467052&oCn=JAKO202207545467052&dbt=JAKO&journal=NJOU00564359
-보건복지부- https://www.bgnmh.go.kr/bgnmh/board/bgnmhHtmlView.jsp
menu_cd=BM_02_04&no=320
-달서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https://www.dcamc.or.kr/03_sub/02_sub.html
-알코올 중독 관련 요인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진욱, 2015)
https://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16000/1/2015.11.No.229.02.pdf
-알코올 중독 관련 요인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정진욱, 2015)
https://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16000/1/2015.11.No.229.02.pdf
-온라인 정신건강 서비스 홈페이지-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61852
-흥천군 정신건강복지센터-https://www.hongcheon.go.kr/mental/contents.do?key=937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https://www.smhrc.kr/business/professionalVisitSchoolSupport?tabMode=center
-대전서구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http://www.djsaddiction.or.kr/html/sub03_1.html
-대전광역시정신건강복지센터/대전광역시자살예방센터 -https://www.djpmhc.or.kr/sub.php?menukey=47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센터-https://www.ncmh.go.kr/mentalhealth/html/content.do?depth=mp&menu_cd=02_0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