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음미마 2025-1.pptx

닫기

background image

음악과미술마주보기
- 삶과 죽음으로 예술을 바라보다

3.13  김지민 교수


background image

예술을 통한 생명존중 레포트평가

 레포트 제출기한 : 

5.18 (일) 자정까지

제출방법 

: dmaalak@naver.com 메일로 제출할것, 

제목페이지 제외 

3페이지 이상

한글파일

/ 표지1매+ 내용3매  full 이상+ 참고문헌페이지 / 글자크기 10(글자체무관)/ 

줄간격 

160%, 장평100%, 자간 0%/ 용지상하좌우여백 20mm

대주제 

: 예술을 통한 생명존중

부주제

: 자유롭게 정할것

     (어떠한 관점과 시각으로 접근했는지 알수 있는 주제)

성찰과정

, 결론에대한 도출이유.본인의 주관적 의견과 주장, 비판이 최대한 들어가도록 작성

표지페이지

1+내용페이지 3매  full 이상+참고문헌페이지1이상(공공예술사례조사를 위해 

방문한 경우 교통비

,입장권등을 증빈자료로 붙일것)


background image

삶과 죽음을 음악으로 바라보다

삶과 죽음을 음악으로 바라보다 

-  삶의 아름다움을 음악과 공공예술로 

탐구하기

   ■

수업내용 

1.캔디 창(Candy Chang)의 Before I Die 프로젝트 사례 탐구
     - 프로젝트의 배경, 메시지, 전 세계에서의 반응 분석
2.학생 개별 활동: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3가지를 작성해 공유 (
네이버카페 협동조합 한국청년예술가

)

3.음악 감상: 베토벤 환희의 송가 (1~2분 주요 부분)
    -음악이 전하는 희망과 생명력의 메시지 분석
4. 삶을 통해 죽음을 묻다 : 공공 예술의 시선


background image

죽음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죽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예술 

단순한 종말이 아닌, 변화와 새로운 시작의 과정임을 보여줌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 죽음은 우주 순환의 일부로 표현된다. 화면 속 나무와 별은 죽음과 

생명의 끊임없는 순환을 상징하며

, 이를 통해 죽음이 단순한 종말이 아닌 새로운 시작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토마스 만의 소설 

<버덴브룩스>  : 가문의 몰락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탄생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죽음이 삶의 필연적인 일부이자 변화와 성장의 과정임을 보여준다

.

영화 분야에서는 

<코코> : 은자의 날에 고인을 위해 마을에 돌아와 편히 놀다갈 수 있게끔 축제를 

준비해주기도 하고

, 죽은뒤에도 새로운 인생을 살아가며 여전히 잘 지내고 있는 캐릭터들을 

보여주면서 죽음이 그저 무겁고 진중하기만하지 않은 존재라는 것을 표현해내고 있다

.


background image

Candy Chang 소개

'Before I Die' 프로젝트를 기획한 아티스트, 디자이너, 도시 계획자

공공 공간을 활용한 참여형 아트 프로젝트 진행

'Before I Die' 프로젝트란?

• 사람들이 자신이 죽기 전에 이루고 싶은 목표를 적는 벽
• 공공 공간에서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젝트
• 전 세계적으로 확산

《뉴스G》 죽기 전에

..나는?


background image

전 세계 반응 및 사례

전 세계 다양한 도시에서 실행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

, 현재까지 70개국 이상에서 2,000개 이상의 'Before I Die' 벽이 세워졌다. 

사람들은 이 벽을 통해 자신의 희망과 열망을 공유하며

, 지역 사회와의 연결성을 

느끼고 있다

.

사람들이 적은 메시지를 통해 희망

, 꿈, 목표를 공유

 - 조지아주 사바나에서는 '나 자신을 즐기는 법을 배우고 싶다'는 글이 
 - 칠레 산티아고에서는 '아무것도 부족하거나 남김없이 느끼고 싶다'는 글이 적혔있다. 
 - 이처럼 각 지역의 벽에는 그 지역 사람들의 독특한 소망이 담겨 있으며, 이는 지역 
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합니다

.

 - 'Before I Die'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일상에서 잠시 멈춰 서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

,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개별 활동

자신의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3가지 작성

 - 인생 목표
 - 소중한 가치
 - 미래의 꿈

'Before I die, I want to ______.‘ 적어보기


background image

'환희의 송가'란?

• 베토벤 교향곡 

9번의 마지막 악장

• 인간의 자유와 평등

, 희망을 찬양하는 곡

• 유럽연합

(EU) 공식 국가


background image

베토벤교향곡 

9번의 생명의 메세지

1.

인류애와 형제애

"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된다"라는 가사 속 표현, 국경과 인종, 계층을 초월한 인류 공동체의 이상을 담고 있음.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할 때 더 나은 세상이 만들어짐을 시사. 

2.

기쁨과 희망

"

기쁨이여, 신의 아름다운 불꽃이여"라는 구절, 기쁨을 신성한 힘으로 비유하며 인간 내면의 긍정적인 

 에너지를 강조.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기쁨과 희망을 찾는 것이 인간 존재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 

3.

자연과 조화

"

모든 존재가 기쁨을 마시네"라는 표현,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우주까지도 조화롭게 존재함을 의미. 

인간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4.

삶의 숭고함

베토벤이 귀가 들리지 않는 상태에서도 이 작품을 완성했다는 사실, 강한 생명력과 인간 정신의 위대함을 상징. 

그의 음악, 절망을 극복하고 더 나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는 용기를 불어넣음.



background image

구분

죽음을 통해 삶을 묻는 공공예술

삶을 통해 죽음을 묻는 공공예술

중심

주제

죽음

질문의 

방향성

죽음이라는 현실을 통해 삶의 가치를 

묻는다

삶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죽음의 본질을 

탐구한다

주요 

표현 

방식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

, 상실과 

유한성의 강조

일상적 순간

, 관계, 순환을 통해 

간접적으로 죽음을 표현

대표적 

사례

캔디 창의 

Before I Die, 

데스 카페

마리나 아브라모비치의 

The Artist Is 

Present, 

Capsula Mundi


background image

삶을 통해 죽음을 묻다 

: 공공 예술의 

시선

이삶의 다양한 경험과 모습을 통해 죽음이라는 궁극적인 질문을 탐구

. 주로 일상의 순간들, 관계, 시간의 

흐름을 통해 죽음의 본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냄

.

주요 사례

소피 칼 

- Take Care of Yourself

-작가가 헤어진 연인의 이메일을 다양한 사람들에게 해석하도록 요청한 프로젝트로, 삶에서 이별과 상실의 
의미를 탐구한다

.

-상실의 경험이 죽음을 연상시키며, 죽음을 삶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게 한다.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 The Artist Is Present

-관객과의 침묵 속 교감을 통해 관계와 존재의 본질을 탐구한다.
-삶 속에서의 고독과 연결을 통해 죽음과의 관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윤리적 장례 예술 

- Capsula Mundi

-삶의 흔적을 나무로 이어가는 장례 시스템으로, 삶이 자연과 순환하며 죽음을 초월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죽음을 새로운 생명의 시작으로 보며, 삶과 죽음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