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자주하는 질문들.hwp
자주 하는 질문들
□ 지원 자격
ㅇ 연구교수인 경우에도 지원이 가능한가요?
- 박사 졸업 후 2년이 초과하지 않은 소속대학 계약직 신분의 연구교수는 지원 가능합니다. 그러나 전임교원인 경우에는 지원 불가합니다.
ㅇ 졸업 후 3년이 경과한 박사후연구원 / 석사후연구원은 지원이 가능한가요?
- 지원 요건은 대학 또는 대학원 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자로, 3년이 초과한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ㅇ 산학협력 프로그램 차원에서 대학원생이지만 출연(연) 및 기업에 소속되어 급여를 지급받는 경우에는 지원이 가능한가요?
- 불가합니다. 타 기관의 재직자 신분(4대보험 가입 등)이기 때문에 해당 프로그램의 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ㅇ 저희는 4인이 아니라 3인으로 팀을 구성하려고 합니다. 지원이 가능한가요?
- 불가합니다. 4인으로 팀을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팀 구성원 중 장애 학생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ㅇ 4인이 모두 같은 학교, 같은 연구실 소속이어야 하나요?
- 아닙니다. 연구팀은 자율적으로 구성하실 수 있습니다.
ㅇ 소속된 랩의 교수님 말고 다른 분을 지도교수님으로 하여 지원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국내 소재 4년제 대학 소속 조교수 이상)
ㅇ 연구팀원 중 외국인을 포함시켜도 되나요?
- 한국어로 진행되는 교육, 멘토링, 팀 프로젝트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다면 포함시켜도 무방합니다.
□ 신청서
ㅇ 신청서에 산학협력단장님의 서명을 꼭 받아야 하나요?
- 그렇습니다. 산학협력단은 추후 계약 체결, 연구비 지원, 정산 등 주요한 업무를 지원해 주실 예정이기에, 반드시 산학협력단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 연구팀 소속이 다양할 경우, 연구책임자(대표학생) 소속 대학의 산학협력단을 기준으로 계약을 진행합니다.
ㅇ 주요 연구 실적에는 최근에 저술한 논문을 모두 작성하는 것인가요?
- 아닙니다. 장애-비장애 학생 팀 프로젝트 프로그램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과제와 관련성이 높은 최근 5년간 실적만 작성하시면 됩니다.
□ 선정평가
ㅇ 당락 여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 각 평가 단계별로 합격팀과 불합격팀에게 모두 메일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ㅇ 발표 평가는 어디에서 진행되나요?
- 발표 평가는 Zoom을 활용하여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서면 평가 합격팀에 한해 접속 주소가 안내됩니다.
ㅇ 발표 평가 시 연구책임자가 반드시 발표를 해야 하나요?
- 가급적 연구책임자가 발표하시는 것을 권장드리고 있으나, 부득이한 사정 발생 시 연구팀원이 발표하시는 것도 무방합니다.
ㅇ 프로그램에 선정될 경우, 모든 일정에 참여해야 하나요?
- 네, 공고문에 기재된 전체 온/오프라인 일정에 참여를 전제로 합니다. (불참 할 경우 해당 월의 연구수당이 감액되는 패널티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