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음미마 2025.4.10.pptx

닫기

background image

음악과미술마주보기

(김지민교수)


background image

476년 서로마 제국의 멸망 : 중세의 시작

세 계 관   

:   기독교의 시대

영     토    

:   유럽 국가의 탄생

중세의  음악 

신을 향해 엄격한 율법을 지키며 그 속에서 자유를 갈구

   ★★    그레고리오 성가    ★★
    (6세기 교황 그레고리오1세에 의해 만들어짐)

(5) Kyrie Eleison | Gregorian Chant - Canto Gregoriano - YouTub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혁명과 예술

1789년 – 혁명의 서막과 예술의 응답

프랑스 혁명 발발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절대왕정의 붕괴

모차르트 (음악)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후기 고전주의 음악의 정점

자크 루이 다비드 (미술)

  마라의 죽음, 테니스 코트의 서약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1832년 – 레미제라블의 시대

1832년 – 혁명 후의 민중, 그리고 위고의 시선

1832년 6월 봉기

레미제라블의 역사적 배경

왕정 회복 이후 민중의 좌절과 저항

빅토르 위고 

(문학)

레미제라블, 1832년 봉기를 배경으로 한 서사

베를리오즈 

(음악)

환상 교향곡, 혁명 감정의 음악적 표현

들라크루아 

(미술)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1968년 – 5월 혁명과 저항의 예술

1968년 – 거리로 나간 예술과 음악

프랑스 

5월 혁명

학생 시위

, 노동자 총파업

반전

, 반체제 운동

음악

, 포크 (밥 딜런, 존 레논)

"음악으로 저항하다"

미술

포스터 아트

, 낙서, 거리 예술

이미지 추천

:

1968년 프랑스 시위 포스터 (예: "Sous les pavés, la plage")

밥 딜런

, 비틀즈의 반전 콘서트 사진

Black Power Salute 장면 사진 (톰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인간상의 변화 

: 중세 –르네상스-바로크

중세 

(~15세기): 신 중심의 인간

정신 구조

: 인간은 신의 피조물, 

개인보다는 공동체와 신의 질서 우선

.

사회 구조

: 봉건제, 신분제, 교회 권력 

중심

.

예술

/문화: 종교화, 성당 음악, 

인간보다는 

'영혼의 구원'이 주제.

요약 키워드

신 앞에서 평등하지만

현실에서는 평등하지 않음”

르네상스 → 바로크 

(~17세기): 

인간의 발견과 감정의 분출

르네상스 

(14~16세기): 고대의 인간 

중심 사상 부활

, 개인의 가능성 인식.

바로크 

(17세기): 감정, 권위, 극적 

표현 강조 – 절대 왕정 시대

.

사회 변화

: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이행, 그러나 권력은 여전히 집중.

예술

/문화: 미켈란젤로, 바흐 – 인간의 

아름다움

, 신과 인간의 융합.


background image

인간상의 변화 

: 고전주의-혁명

고전주의 

(~18세기 중반): 이성과 

질서의 시대

시대 정신

: 계몽주의 –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다

.”

예술

/문화: 모차르트, 하이든 – 균형, 

구조

, 조화 강조.

사회 구조

: 절대왕정에 균열, 시민의식 

성장

.

중심 개념

개인의 이성과 보편적 질서

1789 프랑스 혁명: 평등 의식의 폭발

정치적 의미

: 신분 해체, 인간의 자유와 

평등 선언

.

의식의 변화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평등하다.”

예술

/문화: 혁명의 상징화를 통한 시각적 

전달 

(다비드, 민중 중심 오페라)


background image

인간상의 변화 

: 1832-1968

(레미제라블의 시대): 실패한 혁명, 
그러나 포기하지 않은 인간

사회 배경

: 혁명 이후의 실망, 새로운 

체제에 대한 갈망

.

의식의 변화

: “우리는 여전히 평등하지 

않다

.” → 

정의에 대한 열망

예술

/문화: 낭만주의 – 개인 감정, 억압, 

사랑

, 고통

1968 (5월 운동): 체제 전체에 대한 
의문

정신 구조

: 기존 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

, 평등과 자유를 다시 묻다.

특징

: 정치적 해방뿐 아니라 개인의 해

, 젠더, 인종, 성적 자유 등도 포함.

예술

/문화: 포스터 아트, 즉흥 연극, 

반전 음악 등 

예술이 직접 저항의 도구가 


background image

삶과 죽음

, 궁핍 속의 예술

삶의 한계와 죽음의 그림자 속에서 꽃핀 창조성

경제적

·심리적 고통을 겪었지만 인류에게 위대한 예술을 남긴 인물들

‘생명 존중’이라는 큰 주제 아래

, 고통 속에서도 인간의 가치를 드러낸 이들


background image

모차르트 

(1756–1791)

천재음악가였지만 마지막 몇 년은 빈곤과 병에 시달림

1789: 프랑스 혁명 시작, 그는 이 시기 궁핍한 투어로 생계를 이어감

죽음

: 1791년, 35세 – 미완성 유작 

레퀴엠

의미

: 죽음을 직면한 음악, 삶의 마지막 고백이 담긴 예술

“내게 죽음은 진정한 친구와 같다

.” – 모차르트


background image

음악 추천

:

레퀴엠 d단조 K.626 중 "Lacrimosa"
→ 죽음을 앞둔 모차르트의 고백. 슬픔과 숭고함이 공존.

감상 포인트

: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 안에서 빛나는 생명을 느껴보자.“

그림 추천

:

모차르트의 죽음 (작자 미상, 낭만주의 화풍)
→ 침대에 누운 모차르트를 둘러싼 친구들의 모습.


background image

빈센트 반 고흐 

(1853–1890)

생전

: 생전 단 한 점의 그림만 판매

: 정신 질환, 외로움, 가난 – 동생 테오의 지원에 의존

죽음

: 37세, 자살 추정

의미

: 생명을 소중히 여긴 시선, 

해바라기, 별이 빛나는 밤에 같은 작품에서 

생명의 환희와 고통을 동시에 표현

“나는 내 슬픔으로 그림을 그린다

.” – 고흐

:


background image

그림 추천

:

별이 빛나는 밤에
→ 고통 속에서도 별빛을 보는 시선

, 삶의 의지.

까마귀 나는 밀밭
→ 그의 유서 같은 그림

, 죽음을 앞둔 절박함.

감상 포인트

:

"고흐는 죽음을 향해 가면서도 자연과 생명을 그렸다."

음악 연결 

(배경음악):

Don McLean – Vincent (Starry Starry Night)
→ 반 고흐를 위한 헌정곡. 가사도 함께 감상하면 좋아.


background image

루트비히 반 베토벤 

(1770–1827)

청력 상실, 가정불화, 고립

삶: 청력을 잃은 후에도 작곡, 연주 활동 지속

의미: 가장 고통스러운 조건 속에서 

운명 교향곡, 합창 등 인류 최고의 음악 

창조

“고통을 뚫고

, 나는 나 자신을 극복한다.” – 베토벤


background image

음악 추천

:

교향곡 제5번 (운명) 1악장
→ 

"운명이 문을 두드린다"는 베토벤의 말과 함께 소개.

교향곡 제9번 중 "환희의 송가"
→ 청력을 완전히 잃은 후 쓴, 인간애와 평등을 찬양한 음악.

감상 포인트

:

"절망을 넘어선 기쁨, 인간의 존엄을 외치다."

그림 추천

:

베토벤의 초상 (Joseph Karl Stieler)
→ 어두운 눈빛 속 결의와 고독이 함께 있는 초상.


background image

질문 제시

“예술은 고통 속에서 생명을 노래한다

.”

“당신은 삶의 고통을 어떻게 예술로 

바꿀 수 있을까요

?”


background image

라 보엠 

1막

이 오페라는 무엇을 말할까

?

-

라 보엠은 가난하지만 꿈이 있는 예술가들의 삶과 사랑 이야기야.

-특별한 영웅도 없고, 대단한 사건도 없어.
하지만 그 안엔 삶의 진짜 온기

, 사랑, 외로움, 죽음이 담겨 있어.

-특히 오늘 들을 1막은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 그 떨림과 따뜻함을 그려


background image

이야기 속 ‘삶’은 어떤 모습일까

젊고 가난한 시인 로돌포는 차가운 다락방에서 혼자 글을 쓰고 있다

.

연탄도 없고

, 불도 꺼지고, 배도 고프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그는 꿈을 꾸고

, 시를 쓴다.

어느 날

,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있다.

미미

.

병약하지만 조용하고 따뜻한 사람

.

그녀가 촛불을 빌리러 왔다

.

둘은 어둠 속에서 손을 마주 잡는다

.

그리고 그 순간

, 사랑이 시작된다.

크고 격렬한 불꽃이 아니라

,

작고 조용한 불빛처럼
살며시 마음에 들어온다

.


background image

왜 이 음악을 들어야 할까

라 보엠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이 작품은 이렇게 말하고 있는 듯하다.
“삶은 이렇게도 소중하다.”
가진 게 없어도,
추워도,
아파도,
사랑하고,
함께 있고,
노래할 수 있다면
그건 이미 충분히 아름다운 삶이다.
이건 바로
‘생명을 존중하는 감각’이다.
우리가 지금 살아 있다는 사실,
그 자체가 작은 기적일지도 모른다.


background image

음악을 듣기 전에 마음에 담아두고 싶은 
문장

“세상은 찬바람이 불고, 현실은 춥지만, 사람은 그 안에서도 사랑을 한다.”
이제,
그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을 함께 들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