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해석학 강의자료(3월 30일).hwp
<구약성서해석학> 강의 자료(3/30)
Ⅳ. 19-20세기에 등장한 여러 해석(비평) 방법론
Ⅰ) 본문비평(Textual Criticism)
1. 전제(presupposition):
2. 목표(goal) 혹은 목적(aim)
◾ Ralph W. Klein: to recover the original copy
◾ J. A. Thompson: determining the biblical text best supported
◾ Ernst Würthwein: to ferret out all the alterations
◾ J. H. Hayes: the reconstruction of the text in its most authentic and original form
종합:
3. 본문비평을 위한 자료와 보조물(Materials and Aids)
1) 원어(히브리어)로 된 본문의 전승
(1) 마소라 본문
A. 서기관(마소라 학자들)의 활동
A) 토라(율법) 안의 글자 수, 낱말 수, 문장 단락 수 및 특정 단어나 어구의 빈도 수 계산
B) 문단의 단락 설정
* 작은 규모는 개방단락과 폐쇄단락으로
개방단락(פ)<페투하>:
폐쇄단락(ס)<세투마>:
* 큰 규모는 세다림과 파라쉐로
세다림(ס):
파라쉐(פרש):
* 세다림이나 파라쉐는 모두 1주일 용 읽을 분량임
C) 서기관수정(Tiqqune Soperim): 약자는 Tiq Sop로 표기
D) 세비린(Sebirin): 약자는 Seb로 표기(“아마도 무엇일 것이다”는 의미로 변경을 암시한다.
E) 케티브와 케레(Kethib: 쓰여진 와 Qere: 읽혀진): 약자는 K와 Q
F) 난외주기(마소라)
a. 난외 마소라(maginal Masora): 난외 마소라는 다시 ‘소(小)마소라’(Masora parva)와 대(大)마소라(Masora magna)로 구분 된다.
소 마소라:
대 마소라:
b. 종결 마소라(final Masora)
G) 본문의 모음화
서부의 티베리아 식 모음체계 채택
벤 아셰르 학파(○)
벤 답달리 학파
B. 중세의 중요 마소라 사본들
A) 카이로사본(카이렌시스코덱스)<Codex Cairensis>: AD 895.
B) 알렙포사본(알랩포코덱스)<The Aleppo Codex>: AD 10세기 전반
C) 레닌그라드사본(레닌그라드코덱스)<Codex Leningradensis>: AD 1008.
BHK와 BHS의 본문의 모본
(2) 사마라아 5경
주전 4세기 경 사마리아 공동체가 예루살렘 유대 공동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사마리아공동체는 자신만의 5경을 소지하고 있었다.
(3) 사해사본
-1947년부터 쿰란동굴에서 발견된 단편들
-주전 3세기-주후 1세기의 사본들로 추정
-가장 오래된 사본
결론: 주전 2세기에는 3개의 중요 비평 본들(마소라본문, 사마리아5경, 사해사본)이 있었음이 입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