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문서종교개혁사 2-2.pptx

닫기

background image

2 )   개혁파  교회

- 1 -

루터파

종교개혁이 학문적  맥락을 가진 반면

,  

개혁파 교회는 좀 더 성서적인 형태에 따라
교회  의 교리와도덕과

예배를

개혁하고자 한 시도에  근거하고있다

. [실천적인

특징

]


background image

츠빙글리 같은 초기 개혁파신학자들은 취리히

,

베  른

, 바젤과 같은 도시들의

교회에 관심을

가졌다

.  루터가  칭의론이  자신의사회적,

종교적 개혁

프로  그램에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확신한 반면

,

초기 개혁파 신학자들은 상대적으로 교리에는
별로  관심이 적었다

.

이들의

개혁

프로그램은 제도적

,

사회적

,

윤리적 성격

지녔으며

,

많은

점에서 인  문주의 운동에서

나온

개혁요구와

유사했다

.

- 2 -


background image

공고화와 결집은

,

- 3 -

츠빙글리

개혁파

교회의 

 

( 15 3 1년 죽음)

후계자 하인리히 불링거의

도하에 취리히 개혁의  안정

,  그리고  1550 년 대   

제네바의 개혁자 칼빈이 등장함으로 이루어졌다

.

우리는 개혁파를 칼빈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 칼빈주의 라 함은 

개혁파의 신학이 본질적으로 칼빈의 사상에 기초  한 것임을 
의미한다

.

그러나 

16세기 말의 개혁신학은 칼빈의 사상 자체라기보

다는 다른 원천과 칼빈 후계자들에 의해 수정된 것이다

.


background image

독일의
정치적

- 4 -

- > 칼빈주의라는 용어의 탄생은 
 상황과 관련된다

.

가톨릭간의
충돌로

15 4 0 년대, 15 5 0 년대 독일은
루터파와  심각한

동요가 있었다

.

결국 아욱스부르크 화약

(1555년  9월)을  통해 독일에서는 어  떤 

지역들은  루터파에

,  어떤 지역들은 가톨릭에  넘겨짐으로써  종교적 

문 제 를  해 결 했 다

.  이 것 이  “ c u i u s   r e g i o ,   e i u s    

r e l i g o ” ( We s s e n  

G e b i e t ,  

d e s s e n  

R e l i g i o n .   통  치자가 자기 통치지역의 종교를 결정한다)라는 
유명한 원칙이  다

.


background image

개혁파의 신앙을 위해서는
어떤

- 5 -

규정도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     사실상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

이것은 독일내 개혁파의
존재를  다

.

그러나 

1563년  2월 하이델베르크 신조가 출판되었는데, 이것  은 

개혁파의 신학이 독일 루터파 지역에서 견고한 발판을 마련  한 사실을 
의미한다

.

이 교리문답은 루터파에 의해 즉시 “칼빈주의적

(즉  외국적)”인

용어는

새로운  문서에

대해 불

것으로 공격을 받았다

. 즉 칼빈주의적

이라는  교리문답을

비애국적인 것으로

암시하면서 이  신을 표현하기위해
사용했던

것이다

.


background image

개혁파는 특히 영어권 세계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  17

세기와  그  이후 중요성을  띤  청교도주의가  개   혁파 
신앙의 한 유형이었다

.

- 6 -


background image

3 )   급진적 종교개혁(재세례파)

급진적  종교개혁은  근본적으로  재세례파를  의미  

하지만

,  또한 열광주의자 칼스타트와  뮌처,  츠빅  

카우의 예언자들도 포함한다

.

재세례파는

츠빙글리가 자신의 개혁원칙에

충실
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 대표적  그레벨  

K o n r a d   G re b e l ) 이   주축이다. 그레벨은 츠  
빙글리가   “오직   성경”이라는   원칙을   고백했지만

,

- 7 -


background image

성경에 나오지 않는 유아세례

, 교회와 정부와의  밀접한 

관 계

,  그리스도인의  전쟁참가  등을  고수했   다고 

비난했다

.

재세례파는 스위스와 독일에서 일어났지만

, 나중  에는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 이들은 세속정부  의 박해를 

받았다

.

- 8 -


background image

다양한

형태들 속에서 이들 운동의 공통적인 

 요소들

:

-

외적인

권위에 대한 일반적인 불신

(내적권위을 중시-성령)

-

성인세례의

옹호와 유아세례의 거부

( 공중앞에서 개인적으로 신앙고 

 백을 한 자만이 세례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

)

-

재산의

공동소유

-

평화주의와

무저항에 대한 강조

= > 이런 이유 때문에 재세례파는 종교개혁의 좌익
( R. H . B a i n t o n ) ,     급진적

종교개혁

( G. H . Wi l l i a m s ) 라고

불린다

. 급진적 종교개혁은

터파 및 개혁파와 동일시한 “관주도적 종교개혁”과 대조되는 의미이다

.

- 9 -


background image

4 )   가톨릭 개혁

1545년 트렌트 공의회 이후로 로마 가톨릭 내부에서 

이루어진 개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  다

.  과거에는 

반종교개혁이라고 불렸다

.

오늘날 가톨릭 개혁운동은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본다

.

-

개신교 개혁운동의 반작용 

- >  반종교개혁

-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개혁운동

- 10 -


background image

가톨릭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트렌트

공의회는 

 혼란을

야기하는

가톨릭 가르침을 명확히

규정하  고

, 성직자들의 행위,

교회의

규율

,

종교교육과  선교활동과 관련해 많은 개혁조치를
도입했다

.  또한 가톨릭 개혁운동은

많은

수도회를 개혁

, 특  히

예수회

( So c i e t a s

I e s u ,

설립자 

I g n a t i u s

v o n

L o y o l a ) 를

설립했다

.

- 11 -


background image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 12 -


background image

루터의 종교개혁 이전에 이미 종교개혁 시도를 
 한 개혁자들이 있다

(사전 종교개혁자들).  

보름스에 가면 유명한 루터의 기념 조형물이 있 
 는데

, 여기에루터이전에 있었던 ( 파문당한) 네 

 명의 개혁자들이있다

.

- 13 -


background image

- 14 -


background image

1. 발도(Waldo, 왈도, 
발데스

)

- 15 -

-

리옹의

 부유한 상인

, 자신의 재물을 내어놓고 예수

그리  스도와

사도들의

삶을

뒤따르고자 함

[청빈이상을

쫓음

].

-

교회의

권위와 질서를 무시하고 교황의 허락없이

설교  함

.

-

성경

일부분을 자신들의 언어로 번역하여 사용

.

-

“리옹의 가난한 이들”이라

불린 이들은 교회의

화려한  의식

,

면죄부

,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

등을

비판함

.

-

1184년

이단으로 파문당함

(Lucius I I I 교황).


background image

2 . 위클리프( Wy c l i f,
13 2 0 - 13 8 4 )

= >

‘종 

교개혁의 아침 별’

- 16 -

-

옥스퍼드대학

교수

, 개혁운동

-

1381년

농민전쟁을 부추겼다는 누명으로

1382년 교수직

박탈

.

-

위클리프는

라틴어 성경만이 공식 허용되던 당시에 성경을

영어로  번역

-

“가난한  성직자”로  불리는  유랑전도자들을 파견하여  복음을  증거하  
였는데

,  이것이  롤 라 드 파 (Lollards.  -   특별히  존  위클리프의  

가르침을  따르는  자들로 영어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한 경멸  적 
별명이었음

)의 기원이다.


background image

-

가르침

:

토지에 세속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교회의 권한에 의문을 제기

.  

부도덕한  사제는 성사를 집행할 권리를 박탈당한  것이라 봄

.

그러므  로하나님이 구원하기로

예정해 놓으신

의인의

공동체라는

교회의  가장 참된 의미에 따라

부도덕한

사제는

교회에서

배제하는 것이 가  능하다고

주장

.

-

교황권에

대한 비판과 투쟁으로 이단으로 정죄

, 파문을 당함.

- 17 -

-  위클리프의

 저작 상당수가

체코  스퍼드에서

공부한

어떤

이들이

학자들에게 

 그 작품을

인기가

많았는데

,

옥  필사하여
프라하로 가

읽고
감명

받은 사람가운데
하나가

져갔고

, 이 위클리프의 책을 

 후스였다

.


background image

3 . 후스(Hus, 1 3 6 9 ? -
1 4 1 5 )

- 18 -

-

프라하

대학 교수

, 개혁 주도

-

1402 년  대학학장 선출, 베들레헴 교회에서 설교하며 면죄부  판매 
비판

[교황청의  파문을 받은 가장 큰  이 유 ],  성직매매,  교  황의 

부도덕함을 비판함

.

-

모국어로

설교하고 성경도 모국어로 번역함

.

-

진정한

교회란 예정된 신자들의 공동체라고 주장

( 위클리프의

글  포함

).

이에

파문당하고

1414년 콘스탄츠

공의회에 소환됨

.

-

지기스문트

( S i g i s m u n d ) 왕은

보호를 약속했지만

보호하는데
실패함

.

후스는 정죄당한 위클리프의 이단적 사상을

주장한다는


background image

혐의를 받음

. 14 15 년 7월 6 일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

, 화형당함.

- 19 -

글씨

: “진리를 사랑하

프라하 구 시가지 후스 동상 밑에 새겨진 
 고

, 진리를 말하고,진리를 행하라”(후스)

“그들이

거위

[ 체코어로 후스] 를 구워버릴

10 0 년뒤 그들은 그들이 참아내야 할 한 마리의 백조의

것이다

. 그러나

노래를

듣게 될 것이다

.”

- > 후스가 이런 예언을 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러나 루터의 추종 
 자들은 이 예언이 루터를 통해 이뤄졌다고 확신함

.


background image

4 . 사보나롤라( G i r ol a mo
S a v on a r ol a ,     1 4 5 2 - 9 8 )

- 20 -

-

도미니크회 수도사

, 피렌체의 산마르코 수도원 원장  으로 

파격적인 내용과 직설적인 표현의 설교로 피렌  체 시민의 
마음을 사로잡음

.

-

참회설교가와

예언자로서 교회의 개혁을 추구함

.

-

교황청의

타락과 시민의 향락에 물든 삶을 비판

.

-

매우

금욕적인 삶의 규정을 근거로하여 종교적인

민  주주의를

세우고자

.


background image

-

“허영의

장작불”

-

14 9 7년 사치품과

이교도의  상징들을

장작불에

불태운

사건

.

-

교황

알렉산데르

6 세의 부도덕을 비난,

알렉산더는  사보나롤라를

파문

.

-

그의

도덕정치는 역효과를 낳아 처형당함

.

- 21 -


background image

* * * 네 명의 종교개혁자들이 루터의 전신으로
형상화  한데는 이유가

있다

.

독일의

종교개혁가

루터와 공통

- 22 -

삶을 개혁하고자 내놓은 제안들의

점이 많았다

.

-  그리스도인의 

거는 성경

.

-

일반인도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성경을

모국어로  번역하는 것을 지지

.

-

예수의

가르침과 초대교회의 모습은 그들의

이상향

.

-

성직자들의

행동을 비판하고 교황의 권위에

도전

.


background image

*   조형물 앞쪽 모퉁이에 독일 개신교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정치지도자들이 서 있다

. -   헤센  의 백작 필

, 작센의 선제후 프드리드히.

- 23 -

-

선제후 프리드리히와

그의 후계자들이 루터를

보호해  주지

않았다면

루터는

살아남을수

없었을 것이다

.

-

초기

복음주의 운동의 옹호자였던 필립이 군사와

정치  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았다면

종교개혁을 멈추려

는 칼

5세 황제의 공격에 저항하지 못했을 것이다.


background image

*   독일의 세 도시 막데부르크, 슈파이어, 아욱스부르  크를 

나타내는  알레고리로  서  있는  세  인 물

.  -   제국   의 

자유도시로서 종교개혁을 공인하고 그 뒤를 든든하  게 받쳐준 
세 도시의 결정적 역할을 상징함

.

-   1530 년  아욱스부르크에서 루터파는 자신들의 신앙  

고백

[아욱스부르크 신앙고백서]을 제출했지만 황제  에 

의해 거부당함

. 1555년에 합법적인 지위를 부  여받음.

- 24 -


background image

* 조형물 뒤쪽
모퉁이에

- 25 -

, 루터파 종교개혁을 한 멜란히톤과,

히브리어

루터의 동료이며 헬라어 학

,  멜란히톤의 멘토인  로이힐린(J. Ru c h l i n ) 이   있  

. -   독일 인문주의가 종교개혁에 끼친 영향을 대변  함.

*   조형물에  붙어 있는  메달에는 종교개혁 운동과 확산  에 
필수적인  네  사람의 초상이  담겨  있다

. -   부겐하   겐 , 

요나스

, 츠빙글리, 칼빈.


background image

비텐베르크

- 26 -

시교회 목사

. 교회조직의

-

부겐하

:    

교개혁가

.

-

유스투스

요나스

: 루터의 작품을 번역하고 여러

시에서

개혁을 이끔

.

-

츠빙글리

:

취리히에서 종교개혁을 일으킨

개혁파

.

-

칼빈

:

제네바에서 종교개혁을 한 개혁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