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이공계 장애 석‧박사 대학원생의 전문연구역량을
개발하고
, 독립연구자로서 과기계 진출을 도모하고자 2023년도 『포용성장
전문연구인력 양성사업』의 연구수행자를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
2023년 6월 7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장 직무대행 정해관
1. 사업 목적
ㅇ 이공계 장애 석‧박사 대학원생 대상 자체 연구수행 지원을 통해 우수한
연구인력 조기 발굴 및 전문연구인력으로서 필요한 역량 개발 제고
2. 사업 내용
가
. 지원분야 : 최소 3개월(240시간) 이상 최대 5개월까지 개인연구 지원
나
. 신청자격 : 이공 및 의학 분야 장애인 대학원생 또는 미취업자
ㅇ
(장 애 인) 장애유형과 장애수준 무관, 장애인 등록증 보유자
ㅇ
(대학원생) 자연계열, 공학계열, 의학계열 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
ㅇ
(출연연계약직) 정부 출연(연) 소속 인턴, 포닥, 위촉연구원 중 장애인
ㅇ
(재지원자) ‘22년 포용성장 전문연구인력양성사업 선정 연구수행자
다
. 선정 규모 : 0명
라
. 신청 기간 : 2023년 6월 7일(수) 10:00 ~ 2023년 6월 16일 18:00
바
. 연구주제 : 자유주제
ㅇ 전문연구인력양성사업의 목적에 따라 본인이 직접 연구주제 선정
및 연구계획 수립
ㅇ 어떤 형태든 기 발표 및 발표 예정인 연구주제는 불가
2023년도 포용성장 전문연구인력양성사업
연구수행인력 모집 공고(2차)
- 2 -
사
. 연구수행 : 외부전문연구기관(필수) + 대학
ㅇ 사업 특성상
, 연구기간 중 반드시 국공립 연구소, 정부 출연(연) 등
외부전문연구기관에서 일정기간 연구수행 필수
(Default)
ㅇ 재학생의 경우
, 외부 전문연구기관과 대학에서의 공동 연구수행 인정
ㅇ 졸업생의 경우
, 외부 전문연구기관에서의 연구수행만 인정
<외부 연구기관 매칭>
- (사전지정)신청자가 전문연구기관 및 연구자와 연구지도 협의 완료시,
연구계획서에 연구지도자 명기
- (사후지정)신청자가 응모시 전문연구기관을 지정할 수 없는 경우, 전문연
구기관에서 수행할 연구 내역만 연구계획서에 명기 후 제출 가능
※ KIRD 매칭 지원 예정
아
. 연구지도 형태
ㅇ
(재학생) 대학+출연(연) 공동 연구지도형
- 대학 교수와 외부전문연구기관 연구자가 공동으로 석·박사생 연구
수행 지도
ㅇ
(졸업생 등) 출연(연) 단독 연구지도형
- 수료생 및 졸업생 등 학적이 없는 경우, 외부 전문연구기관 연구자가
연구초기부터 종료시까지 연구수행 지도
자
. 지원내용
ㅇ
(연구비) 최대 2,000만원 이내에서 인건비, 연구지도수당, 연구개발비
등 지급
ㅇ 연구자 인건비
- 석사생 : 최대 900만원(일 5시간, 주 5회, 5개월 기준)
- 박사생 : 최대 1,200만원(일 5시간, 주 5회, 5개월 기준)
ㅇ 연구지도수당
- 지급기준 : 시간당 5만원 × 지도시간
- 지도수당 : 연구지도(최대 250만원) + 결과보고서 지도(40만원)
- 3 -
ㅇ 연구개발비
- 연구장비 사용료, 재료비, 시제품 제작비 등 연구개발에 필요한 항
목에 대해 지원
ㅇ 기타 지원
- 연구기간 내 상해보험가입
- 장애보조 장비 등 연구수행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속인성
비용 지원
ㅇ 전문
R&D 교육
- KIRD 운영 R&D전주기, R&D 법정과정(안전,보안,윤리) 무료 교육
- 이공계 석·박사 경력설계 교육 무료 지원
3. 선정 평가
가
. 평가절차
ㅇ 신규지원자
- (평가절차) 사전검토, 연구계획서 중심 서면평가 및 발표평가, 최종
적격자 선정을 위한 종합심사 등
4단계 평가
- (사전검토) 신청 부적격자에 대해서는 탈락 처리
- (서면평가) 연구계획 충실성, 연구내용 타당성, 연구기간 및 연구비
산정의 적정성 등 평가
- (발표평가) 연구필요성, 연구결과의 활용, 연구의지 등 평가
- (종합심사) 서면평가와 발표평가 점수를 고려하여 적격자 선정
① 사전검토
② 서면평가
③ 발표평가
④ 종합심사
서류 검토 및 신청
자격 검증
전문가 온라인
평가
지원자 발표 평가
(온라인 화상 심사)
서면+발표평가 심의
최종선정 발표
※ 서면 평가는 신청자 현황 및 KIRD 내부사정에 따라 발표평가에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음
- 4 -
ㅇ 재지원자
- (평가절차) 연구실적평가, 서면평가 및 발표평가, 최종 적격자 선정을
위한 종합심사 등
4단계 평가
- (연구실적) ’22년 완료 연구성과 및 ‘23년 진행 연구성과를 정량계산,
합산점수
4점 이상자에 한해 평가(CUT-OFF)
*학술지 논문게재 및 발표 등 성과항목 11개(상세내용 신청요강 참조)
- (서면평가) 연구계획 충실성, 연구내용 타당성, 연구기간 및 연구비
산정의 적정성 등 평가
- (발표평가) 연구필요성, 연구결과의 활용, 연구의지 등 평가
- (종합심사) 서면평가와 발표평가 점수를 고려하여 적격자 선정
① 연구실적평가
② 서면평가
③ 발표평가
④ 종합심사
‘22~’23년
연구실적평가
(4점이상 통과)
전문가 온라인
평가
지원자 발표 평가
(온라인 화상 심사)
서면+발표평가 심의
최종선정 발표
※ 서면 평가는 신청자 현황 및 KIRD 내부사정에 따라 발표평가에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음
나
. 평가 항목 및 배점
ㅇ
(서면평가) 4개 항목, 배점 50점
평가 항목
(배점)
평가 내용
연구자 역량
(5)
- 연구자의 전공과 해당 연구수행주제가 관련성이 있는가?
연구계획 충실성
(15)
- 연구계획서는 수행할 연구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작성되어
있는가?
-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이 본 사업의 취지에 부합하는가?
연구내용 타당성
(20)
- 연구 방법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는가?
- 연구 과제의 내용과 연구 수행 계획이 적절한가??
연구기간 및
연구비의 적정성
(10)
- 연구기간은 연구수행에 적절하게 산정되어 있는가?
- 연구비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적정하게 산정되어 있는가?
- 5 -
ㅇ (발표평가) 4개 항목, 배점 50점
평가 항목
(배점)
평가 내용
연구필요성
(5)
-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신청자의 연구역량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가?
연구 역량 및
의지
(20)
- 신청자의 전공, 그간의 학업 활동을 고려할 경우, 해당 연구를 수행하기에
충분한가?
- 제안한 연구를 주도적·독립적으로 수행할 충분한 열정과 동기가 있는가?
학업 및
연구계획의
적절성 (15)
- (재학생) 학업 및 연구계획이 구체적으로 수립되고 실현 가능한가?
- (졸업생) 제안한 연구가 향후 본인의 진로와 학업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가?
연구 지도자 역량
(10)
- 연구지도교수의 지원 의지 및 연구지도 계획은 합리적인가?
다
. 동점자 처리
ㅇ
(1차판정) 발표평가 “연구역량 및 의지” 항목 다득점자
ㅇ
(2차판정) 서면평가 “연구내용 타당성” + 발표평가 “학업 및 연구계
획의 적절성 및 연계성
” 합산 후 평균점수 다득점자
라
. 선정자 발표
ㅇ
(일자) 2023년 6월 26일 (예정)
ㅇ
(게시) KIRD 홈페이지(www.kird.re.kr → 알림공간 → 공지사항)
ㅇ
(통보) 개별 문자 또는 이메일 안내
4. 신청방법
가
. 신청서류 접수방법
ㅇ 재학생(대학원 학적 보유자)
- 소속 대학 산학협력단 신청공문 첨부
*신청요강 4쪽, 14쪽 반드시 참조, 산학협력단 신청공문 없을시 반려
- 이메일(support@kird.re.kr)로 공문 및 제출서류 송부
- 6 -
ㅇ 졸업생(대학원 학적 미보유자)
- 이메일 접수(support@kird.re.kr)로 제출서류 송부
※ 이메일 접수에 애로가 있는 경우, 사전 담당자에게 문의 요망
ㅇ 접수마감
: 2023년 6월 16일(수요일) 18시 정각(서버 수신 기준)
나
. 제출서류
1) 신청서(붙임 참조) 및 장애인 등록증(사본)
2) 연구계획서 및 연구지도 확약서(첨부 양식)
※ 연구계획서 붙임 신청요강 숙지 후 작성요망, 미준수 사항은 평가시 불이익
3) 신청자 재학(졸업) 증명서, 개인정보 및 과제정보 활용 동의서
4) 재학 및 학위증명서
5. 추진 일정
일 정
세 부 내 용
비 고
‘23. 6월중순~말
사전검토(서류 검토 및 신청 자격 검증)
서면평가(1단계)
발표평가(2단계)
선정결과 발표
KIRD 홈페이지
‘23. 6월 말
연구 협약 체결 및 사전학습
외부 전문연구기관
매칭 포함
‘23. 7월 초순 ~
연구수행
6. 문의
ㅇ 인재성장정책실 유대성 연구위원
(dsryu@kird.re.kr, 043-251-7035)
ㅇ
(담당자 부재시) 김민지 연구원(mjkim@kird.re.kr, 043-251-7026)
7. 참고자료
ㅇ
’22년도 포용성장 전문연구인력양성사업 연구수행자 3인의다큐멘터리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STXpOBljY-J8HlINkbXiTqoJWMsVLaT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