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자격도 있어요」
산림기사
자격제도 변경사항&모집 안내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정보집
2024 4분기 ‘자격Q’ 발간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일정 알림
•2025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시행
일정 알림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
모바일자격증, 디지털배지 발급 방법
언론에 비친 자격
•종이 시험·답안지, CBT 전면 확대 ‘디지털 전
환’ 가속
•“따놓으면 평생 든든”⋯‘5060도 열공’ 최고
인기 자격증은
•산업인력공단, 철도·항공·자동차 분야 국가
기술자격 정보집 ‘자격Q’ 발간
2024년 12월 국가자격시험 일정
12.4.~12.10.
과정평가형 정기 제4회 외부평가
시험
12.9.~12.13.
일학습병행 정기 제4회 외부
평가 시험
12.2.~12.7.
제32회 청소년지도사면접시험
12.9.
제33회공인노무사면접시험
12.9.~12.14.
제23회청소년상담사 면접시험
12.14.
국내여행안내사·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호텔서비스사 면접
시험
국가자격 우수 사례 공모전 입상작
•엄빠와 함께한 시간
•세계적인 파티시에가 되기 위한 첫걸음,
과정평가형으로 시작
발행일
2024년 12월 18일
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능력평가기획부
구독신청 및 문의
nohsm@hrdkorea.or.kr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12
2024. December
letter
Q
「이런 자격도 있어요」
산림기사
- (수행직무) 산림과 관련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영림계획편성, 경영분석, 산림휴양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 업무 수행 및
산림 실무의 사방설계 및 시공, 임도설계, 시공 임업기계 비용, 기술 등의 직무 수행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정 현황
(최근 5년)
연도
산림기사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3
5,891
2,915
49.5%
4,429
2,525
57%
2022
5,057
2,259
44.7%
3,071
1,453
47.3%
2021
5,749
2,083
36.2%
2,364
1,626
68.8%
2020
4,778
1,669
34.9%
2,329
1,685
72.3%
2019
4,876
1,794
36.8%
2,721
1,517
55.8%
(단위 : 명)
자격 취득 방법
100점 만점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합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합격
객관식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
(과목당 30분)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60점) +
작업형(2시간 30분, 40점)
1. 조림학
2. 산림보호학
3. 임업경영학
4. 임도공학
5. 사방공학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
안전등급(Safety Level) : 1등급
시험장소 구분
실외
주요시설 및 장비
표준지 등
보호구
작업화 등
※ 보호구(작업복 등) 착용, 정리
정돈 상태, 안전사항 등이 채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험자 지참공구 목록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필기
실기
자격
02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종목 응시 현황
* 23년도 실기 응시자 기준, 단위: 명, %
사진기능사
성별
응시목적
취업
1,526명
(40.6%)
업무수행
능력향상
496명
(13.2%)
창업
진학
22명
(0.6%)
승진
93명
(2.5%)
119명
(3.2%)
학위취득
118명
(3.1%)
이직
(전직)
175명
(4.6%)
자기개발
995명
(26.4%)
자격수당
127명
(3.4%)
기타
90명
(2.4%)
시험준비 기간
3개월 미만
3개월~6개월
6개월~1년
1년~2년
2년~3년
3년 이상
시험준비 경로
학교
학원
직업훈련기관
온라인(인터넷, 카페 등)
출판물(서적 등)
기타
연령
20대
40대
50대
1,070명
(28.4%)
30대
285명
(7.6%)
510명
(13.6%)
1,070명
(28.4%)
60대
826명
(22.0%)
직업
취업자(임금근로자)
자영업자
구직자
학생
주부
군인
취업준비생
기타
1,217명
(32.4%)
2,544명
(67.6%)
983명(26.1%)
60명(1.6%)
94명(2.5%)
385명(10.2%)
563명(15.0%)
425명(11.3%)
154명(4.1%)
8명(0.2%)
686명(18.2%)
1,506명(40.0%)
34명(1.0%)
660명(17.6%)
141명(3.7%)
1,895명(50.4%)
143명(3.8%)
137명(3.6%)
785명(20.9%)
301명(8.0%)
494명(13.1%)
1,829명(48.7%)
- 산림청,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임업 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임업연구원 등에 진출 가능하고, 「산
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인구의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공익재 또는 소비재로서의 산림의 역할에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
을 뿐 아니라, 정보화 시대에 따른 종이 소비의 증가와 주거 환경에서의 목재 자원의 이용 또한 다양화되고 있
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관한 유력한 대안으로 산림이 인간의 중요한 자연환경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도산
업사회에서의 유용한 자원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산림공학은 산림과학의 한 주요 분야로서, 산림에 필
요한 공학적 기술 분야를 담당한다.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임도의 개설, 사방,
수문, 벌출이 필요하며, 산림이 종합적으로 개발되어야 인간의 생활환경에 알맞은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발휘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국토의 약 64%를 점유하는 산림국가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는 산림자원의 효
율적 이용 및 개발에 관심이 증대될 것이며, 관련 자격 취득자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진로 및 전망
※출처: 큐넷
자격
03
e e
er
산림기사란 응시 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산림기사 시험에 합격해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산림기사 자격은
산림의 공학적 분야를 총괄적으로 이해한 산림 전문가가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해 제정됐다.
2005년부터 산림경영기사, 산림공학기사 자격이 산림기사로 통합돼 시행되고 있다.
■ 산림 공학적 분야의 총괄적 이해 필수
산림기사는 산림과 관련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영림계획편성, 경영분석, 산림휴양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업무 수행 및 산림실무의
사방설계 및 시공, 임도설계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어 특정기술자격 소지자이거나 관련학과 졸업자 또는 순수 경력자이어야 한다.
특정기술자격 소지자는 ▲동일(유사) 분야 다른 종목 기사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실무경력 1년 ▲기능사 자격
취득 후 실무경력 3년인 경우 해당한다.
관련학과 졸업자는 ▲대졸(졸업 예정자) ▲기사 수준의 훈련 과정 이수자 ▲3년제 전문대졸+실무경력 1년 ▲2년제 전문대졸+실무경력 2년
▲산업기사 수준 훈련 과정 이수+실무경력 2년인 경우 해당한다. 관련학과라 함은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된 산림학과, 산림과학과,
산림자원학과, 임(산)학과, 임산공학과 등과 관련한 학과를 말한다.
순수 경력자는 동일, 유사 분야에서 실무경력 4년 이상이면 해당한다. 동일 직무 분야는 경영·회계·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안전관리, 환경·에너지 중 환경 분야를 말한다.
필기시험 과목은 ①조림학 ②산림보호학 ③임업경영학 ④임도공학 ⑤사방공학 등 5과목이며 객관식 4지 택일형의 과목당 20문항을 과목당
30분 안에 풀면 된다.
실기시험은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에 대해 복합형으로 출제되며 필답형으로 1시간 30분, 작업형으로 3시간 정도 시험을 치르게
된다.
합격 기준은 필기시험의 경우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면 통과한다.
실기시험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한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해서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자격증 취득 후에는 산림청,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임업 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임업연구원 등에 진출 가능하고,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해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에는 가산점을
준다. 농업직렬의 농화학, 식물검역 직류와 임업직렬과 환경직렬의 전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 8급 이하일 경우와 6·7급,
[50·60 노후설계 프로젝트 155]
‘산림기사’, 자연생태계 보존 위한 전문 인력
2024년 11월 8일, 일요서울 장휘경 기자 hwikj@ilyoseoul.co.kr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사랑벌레’나 수돗물 유충인 ‘깔따구’ 등의 곤충들이 도심 곳곳을 습격하고 있어 많은 사람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받고 있다.
현시대는 지구온난화 현상 때문에 곤충들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조건이다. 이에 자연생태계 보존을 위한 전문 인력을
꾸준히 양성하고 있는 가운데 5060 사이에서도 관련 자격증인 산림기사 자격증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양상이다.
자격
04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기능직 기능 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이 외에 산림기사 자격취득자는 산림경영지도원 자격으로 인정되며(산림자원의조성및관리에관한법률 시행령) 수목원 전문관리인 기술인력
자격요건으로도 인정된다(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산림기사는 자격 취득 후 동일 직무 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산림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산림조합중앙회, 산림조성·관리 전문가 양성
일요서울은 산림기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5060 세대를 위해 근로자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중 고용노동부가 3년 인증한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에 대해 살펴봤다.
경상남도 양산시 삼동로에 소재한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은 현재 영림과정 훈련생을 모집 중이다.
훈련 시간은 총 180시간으로 6회차 강의가 지난 11월 4일 개강해 오는 12월 13일 종강 예정이다. 7회차 강의 수강 희망자는 12월 13일 이후
수강 신청하면 되며 참고로 수강생 평균 연령대는 62세다.
훈련비는 사실상 127만 8,000원이나 고용노동부가 발급하는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수강신청하면 19만 1,700원만 자비 부담하게 된다.
이 훈련과정은 산림 분야 종사를 희망하는 실업 인력을 대상으로 산림에 대한 소양 및 전문기능·기술 교육을 시행해 전문임업기능인으로
양성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더불어 산림사업(숲 가꾸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숲 가꾸기 작업 요령 및 임업 기계조작 사용 실습을 통해
숙련된 기능인력으로 양성하는 것 또한 목표이다. 이 훈련 과정을 이수하면 산림 분야 인증 자격증인 산림경영기술자 기능 2급 자격증을
취득(수료 시 발급)하게 되고 국가기술자격인 산림기능사 및 산림기사 등의 자격 취득 기회가 제공된다.
또한 이 훈련 과정 이수자는 임업 후계자 요건의 기준고시에 의거 임업 후계자 지정 시 교육 이수실적으로 인정되며 귀농·귀촌 시에는 필요한
교육 이수시간 100시간의 실적이 인정된다.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은 장거리 훈련생을 위해서 본원에 위치한 생활관을 유료로 제공하며 식당이 있어 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시설이 구비돼 있다. 구광수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장은 “우리 기관은 1975년도 한국·독일 산림경영기구로 출발해 독일의 선진
임업 기술을 우리 실정에 맞게 개발하고 보급하는 등 국토녹화의 주역인 산림기술자 양성에 주력해 왔다”며 “최근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및
산주·임업인과 일반인 모두가 행복한 ‘산림르네상스’시대로 나아가기 위해 산림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요구하고 있어 다변화하는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은 1984년 4월 한독기구양산사업소가 산림조합중앙회로 기구가 이관됨으로써 설립됐다. 이후 1994년 1월
산림조합중앙회 임업기술훈련원, 2023년 1월 산림조합중앙회 양산교육원으로 개칭돼 우리나라 산림을 조성·관리하기 위한 전문 임업기술자
및 기능인을 양성하는 교육훈련전문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자격
05
e e
er
QR코드를 스캔하면 2024 4분기 ‘자격Q’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자격 Q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작하여 자격 관련 사회적 동향과 이슈를 파악해 유용한 자격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술자격정보집
▶ 2024 4분기 자격
•“철도, 항공 및 자동차” 분야 국가기술자격 19종목
※ 본 자료집 조사의 기준 시점은 2023년 12월이며,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에 대한 고용보험 및 고용24 데이터 연계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격 종목을 선정하여 제작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기술자격정보집
2024 4분기 ‘자격Q’ 발간
자격
07
e e
er
08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자격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 정기검정 시행일정
1) 기술사
2) 기능장
2025년도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일정 알림
회별
필기시험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응시자격
심사기준일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자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제135회
1. 6.(월)~1. 9.(목)
2. 8.(토)
3. 12.(수)
2. 10.(월)~3. 21.(금)
2. 8.(토)
3. 17.(월)~3. 21.(금)
*3.18.(화) 제외
4. 19.(토)~4. 30.(수) 5. 9.(금)
제136회
4. 7.(월)∼4. 10.(목)
5. 17.(토)
6. 25.(수)
5. 19.(월)∼7. 4.(금)
5. 17.(토)
6. 30.(월)∼7. 3.(목)
8.2.(토)∼8.13(수)
9. 5.(금)
제137회
7. 14.(월)∼7. 17.(목)
8. 23.(토)
9. 30.(화)
8. 25.(월)∼10. 16(목)
8. 23.(토)
10. 13.(월)∼ 10. 16.(목) 11.15.(토)∼11.26.(수) 12. 12.(금)
회별
필기시험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응시자격
심사기준일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자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제77회
1. 6.(월)∼1. 9.(목)
1. 25.(토)
2. 6.(목)
1. 27.(월)∼2. 17.(월)
1. 25.(토)
2. 10.(월)∼2. 13.(목)
3. 15.(토)∼4. 2.(수)
1차 4.11.(금)
2차 4.18.(금)
제78회
6. 9.(월)∼6. 12.(목) 6. 28.(토)
7. 16.(수)
6. 30.(월)∼7. 25.(금)
6. 28.(토)
7. 28.(월)∼7. 31.(목)
8. 30.(토)∼9. 17.(수)
1차 9.26.(금)
2차 9.30.(화)
자격
09
e e
er
4) 기능사
※ 자세한 일정 및 종목은 Q-Net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3) 기사(산업기사·서비스분야)
회별
필기시험
응시자격
서류제출
(필기합격자결정)
응시자격
심사기준일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예정)자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제1회
1. 13.(월)
∼1. 16.(목)
2. 7.(금)
∼3. 4.(화)
3. 12.(수)
2. 7.(금)
∼3. 21.(금)
3. 4.(화)
3. 24.(월)
∼3. 27.(목)
4. 19.(토)
∼5. 9.(금)
1차 6. 5.(목)
2차 6. 13.(금)
제2회
4. 14.(월)
∼4. 17.(목)
5. 10.(토)
∼5. 30.(금)
6. 11.(수)
5. 12.(월)
∼6. 20.(금)
5. 30.(금)
6. 23.(월)
6. 26.(목)
7. 19.(토)
∼8. 6.(수)
1차 9. 5.(금)
2차 9. 12.(금)
제3회
7. 21.(월)
∼7. 24.(목)
8. 9.(토)
∼9. 1.(월)
9. 10.(수)
8. 11.(월)
∼9. 19.(금)
9. 1.(월)
9. 22.(월)
∼9. 25.(목)
11. 1.(토)
∼11. 21.(금)
1차 12. 5.(금)
2차 12. 24.(수)
회별
필기시험
면접시험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원서접수
(휴일제외)
시험시행
합격자
발표
제1회
1. 6.(월)∼1. 9.(목)
1. 21.(화)∼1. 25.(토)
2. 6.(목)
2. 10.(월)∼2. 13.(목)
3. 15.(토)∼4. 2.(수)
1차 4. 11.(금)
2차 4. 18.(금)
제2회
3. 17.(월)∼3. 21.(금)
*3.18.(화) 제외
4. 5.(토)∼4. 10.(목)
4. 16.(수)
4. 21.(월)∼4. 24.(목)
5. 3.1.(토)∼6. 15.(일)
1차 6. 27.(금)
2차 7. 4.(금)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 등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일반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불가)
5. 19.(월)∼5. 22.(목)
6. 14.(토)∼6. 24.(화)
1차 7. 18.(금)
2차 7. 25.(금)
제3회
6. 9.(월)∼6. 12.(목)
6. 28.(토)∼7. 3.(목)
7. 16.(수)
7. 28.(월)∼7. 31.(목)
8. 30.(토)∼9. 17.(수)
1차 9. 26.(금)
2차 9. 30.(화)
제4회
8. 25.(월)∼8. 28.(목)
9. 20.(토)∼9. 25.(목)
10. 15.(수)
10. 20.(월)∼10. 23.(목) 11. 22.(토)∼12. 10.(수)
1차 12. 19.(금)
2차 12. 24.(수)
10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자격
QR코드를 스캔하면 씨큐넷(CQ-Net)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25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시행일정
2025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시행일정 알림
회차
구분
응시회차신청
원서접수
종합결과신고
외부평가 시행
합격자 발표
1차 시험일
2차 시험일
-
접수 시작일의 2주 전 월요일까지
시험일 5주 전 화~금
1차 시험일 7일 전까지
(휴일 제외)
-
주말 제외
시험 종료일로부터
15일
정기 1회
‘24.12.30.(월)까지
1.14.(화)~1.17.(금)
2.13.(목)까지
2.24.(월)
2.25.(화)~2.28.(금)
3.19.(수)
정기 2회
5.7.(수)까지
*5.5.(월)~5.6.(화)
어린이날 및 대체휴일 제외
5.20.(화)~5.23.(금)
6.16.(월)까지
6.25.(수)
6.26.(목)~7.1.(화)
7.16.(수)
정기 3회
7.7.(월)까지
7.22.(화)∼7.25.(금)
8.18.(월)까지
8.27.(수)
8.28.(목)∼9.2(화)
9.17.(수)
정기 4회
10.13.(월)까지
10.28.(화)~10.31.(금)
11.24.(월)까지
12.3.(수)
12.4.(목)∼12.9.(화)
12.24.(수)
※ 자세한 일정 및 종목은 Q-Net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
모바일자격증, 디지털배지 발급 방법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했다면? 큐넷 전자지갑 내 디지털 배지와 모바일 자격증을 발급받으세요!
클릭 몇 번이면 발급 가능! 언제 어디서든 나의 자격 취득내역을 증빙할 수 있어요!
1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_ 모바일자격증
2 모바일 큐넷 전자지갑 활용하기_ 디지털배지
자격
11
e e
er
2024년 11월 27일 경향신문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종이 시험·답안지,
CBT 전면 확대 ‘디지털 전환’ 가속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지난 7일 제48회 국가생산성대회 4차 산업 선도기업 부문에서 NFT기반의 국가자격 디지털배지 시스템 구축 공로
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인 대상을 받았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일하는 방식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존 종이 시험지와 답안지 중심으로 치르던 필기시험이 컴퓨터 기반 시험(CBT) 방식으로 전면 전환된다. 2020년 기능사·기능장 등 234종목을 시작으로
2023년 기사·서비스 등급까지 418종목의 자격시험에 179만여 명의 수험자가 CBT 방식으로 응시했다. 올해부터는 필답형 실기시험, 기술사 필기시험
종목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6년까지 전면 CBT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CBT 시험방식은 기존 흑백 지면 인쇄로 인해 제한돼 있던 평가가 3D 시뮬
레이션, 색상 등으로 다양한 평가가 가능해 더욱 공정하고 신뢰도 높은 시험을 시행할 수 있게 한다. 또 시험장 부족에 따른 수험자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전용 시험장인 국가자격디지털시험센터(DTC)를 올해 9개에서 12개로 확대하고 2026년까지 32개로 늘릴 예정이다. 이우영 이사장은 “공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디지털 기반으로 혁신해 전 국민 평생직업능력개발 시대를 열어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자격
13
e e
er
14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자격
2024년 11월 27일 한국경제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채용 시장에서 가장 우대받은 국가기술자격은 지게차운전기능사
와 한식조리기능사 등으로 조사됐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7일 정부 취업포털 고용 24에 올라온 지난해 기업
채용공고 167만 4,560건을 분석한 ‘국가기술자격 채용시장 활용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채용공고 중 국가기술자격을 채용요건으로 정하거나 우대하는 공고는
12만 7,612건(7.62%)이었다. 이 중 ‘기능사’ 자격 채용 활용 건수가 5만 9,976건
(47.0%)으로 가장 많았고, 기사(3만 6,847건), 산업기사(1만 9,773건), 서비스
(9,434건) 순으로 나타났다.
채용 우대 요건 자격 중 상위 20개 종목을 살펴보면 지게차운전기능사가 1만
7,108건(13.4%)으로 가장 많았다. 한식조리기능사(1만 3,361건, 10.5%), 전기
기사(6,910건, 5.4%)가 그 뒤를 이었다.
지게차운전기능사가 인기 끄는 이유로는 취득 용이한 데 비해 취업 시장에서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중량 3톤 이상 지게차는 면허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토목공사업체, 금속제품 제조, 운송·창고
업체 등으로 취업할 때 유리한 자격증으로 알려져 있다. 시험도 수시로 있고
실기시험 합격률도 50%에 육박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기업 취업 시 자격증이 있다면 무조건 유리하다”며 “추가
수당 받기 위한 재직자들의 도전도 많으며, 젊은 직원들과 경쟁해야 하는
중장년에게는 필수 자격”이라고 덧붙였다.
분야별로는 건설 분야 국가자격이 30.2%를 차지했다. 뒤이어 전기·전자
분야(18.3%), 음식서비스 분야(10.9%)였다.
등급별로 채용 수요가 가장 많은 종목은 △품질관리기술사 △조리기능장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직업상담사2급이다.
이우영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이번 채용공고 정보 분석을 통해 국가기술
자격이 실제 채용시장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점을 확인했다”며 “자격 취득
자들이 편리하게 취업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 연계를 확대
하고, 취업에 도움 되는 자격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따놓으면 평생 든든”
⋯‘5060도 열공’ 최고 인기 자격증은
2024년 12월 10일 데일리안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QR코드를 스캔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격
15
e e
er
산업인력공단, 철도·항공·자동차 분야
국가기술자격 정보집 ‘자격Q’ 발간
최근 5년간 필기시험 응시 현황·2023년 응시자 설문 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은 10일 철도, 항공과 자동차 관련 산업 동향과 해당 분
야 19개 종목의 응시 현황이 수록된 국가기술자격 정보집 4분기 ‘자격Q’를
발간했다.
올해 4분기 ‘자격Q’는 ▲철도(5개 종목) ▲항공(6개 종목) ▲자동차(8개 종목)
분야에 대한 종목별 자격 취득 방법, 취득 및 응시 현황, 진로 및 전망 등을
담고 있다.
자격 Q에 따르면 철도, 항공과 자동차 분야 필기시험 응시자 인원은 최근 5년
(2019~2023년) 연평균 9.1% 감소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철도 분야 필기시험 응시인원은 연평균 6.5% 증가했다.
이는 철도 인프라 확장과 철도 안전 및 기술 표준 강화에 따라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분야 필기시험 응시인원은 연평균 6.6%씩 감소했다. 이는 전통적
인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내연기관 정비인력에 대한 수요가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항공 분야 필기시험 응시인원은 연평균 17.1%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분야 관련 자격시험 응시자의 대부분은 10대 학생들인데 학령인구 감소
와 코로나 시기 항공 산업의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2023년도 철도, 항공 및 자동차 분야 21개 종목 필기시험 설문을 분석한
결과 응시인원의 95.4%는 남성이었으며 20대 수험자가 전체 응시자의
38.8%를 차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주요 응시목적은 취업(39.6%), 자기개발(25.9%), 업무수행능력향상(11.7%)
으로 나타났으며, 항공 분야의 경우 학위취득(17.3%), 진학(7.3%)이 타 분야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우영 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국가기술자격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공단은
적합한 자격 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 역량 총합의 증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격Q’는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큐넷 → 고객지원 → 가치드림방에 접속하시면 가치드림서비스 제공 업체 전체 목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국가기술자격 & 국가전문자격 시험일정
향후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니 큐넷(Q-net)을 통해 최신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큐넷(Q-net) 국가자격 월간 시험일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2월 December
SUN
MON
TUE
WED
THU
FRI
SA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1
2
3
4
제23회 사회복지사 1급 필기시험 원서접수(12.02.~12.06.)
제32회 청소년지도사 2차 시험(12.02.~12.07.)
과정평가형 정기
제4회 외부평가 시험(지필형), (12.04.)
기술사 제134회 면접시험
합격자 발표(12.04.)
기능사 제4회 실기시험
1차 합격자 발표(12.04.)
제12회 행정사
2차 합격자 발표(12.04.)
과정평가형 정기 제4회 외부평가 시험(실무형), (12.05.~12.10.)
과정평가형 정기 제4회 외부평가 시험(실무형), (12.05.~12.10.)
일학습병행 정기 제4회 외부평가 시험(12.09.~12.13.)
제33회 공인노무사 3차 시험(12.09.)
제23회 청소년상담사 2차 시험(12.09.~12.14.)
기사 제3회 실기시험
2차 합격자 발표(12.11.)
기능사 제4회 실기시험
2차 합격자 발표(12.11.)
제24회 소방시설관리사
2차 합격자 발표(12.11.)
제27회 주택관리사보
2차 합격자 발표(12.11.)
국내여행안내사·호텔경영사·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2차 시험(12.14.)
관광통역안내사
2차 합격자 발표(12.18.)
과정평가형 정기
제4회 외부평가 합격자 발표(12.24.)
일학습병행 정기
제4회 외부평가 합격자 발표(12.26.)
제26회 경비지도사1, 2차 합격자 발표(12.26.)
제33회 공인노무사 3차 합격자 발표(12.26.)
국내여행안내사·호텔경영사·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2차 합격자 발표(12.26.)
제25회 박물관및미술관준학예사
합격자 발표(12.26.)
제32회 청소년지도사
2차 합격자 발표(12.26.)
제23회 청소년상담사
2차 합격예정자 발표(12.31.)
자격
17
e e
er
“엄마, 아빠는?”
“어! 같이 나왔는데, 에효. 이 양반 또 담배 피나부다... 쯧쯧...”
아침 8시. 두 달 전 큐넷을 통해 나의 아내와 70이 넘으신 울 엄마 아빠는
건축도장기능사 시험에 도전하기로 합의(?)를 보고 접수를 했다.
오늘은 바로 전원 합격을 목표로 건축도장학원에 실기수업을 받는 날!
모닝 담배를 거나하게 태우신 아빠가 소리 소문 없이 내차 조수석 문을
열더니 타시자마자 출발하자고 재촉하신다. 나는 아빠의 입안에 남은 담배
연기를 흡입하며 눈살을 찌푸린 채 엑셀을 힘차게 밟았다.
“엄마! 오늘 수업 하루 종일이야! 당 떨어질 수도 있어, 뭐 좀 챙겼어요?”
“아유.. 초코바랑 물은 챙겼는데.. 오후 여섯 시쯤 끝난다고 했지? 내가
그때까지 버틸 수 있으려나 모르겠다.. 윤호 이놈은 이런 걸 접수해가지고
애미를 힘들게 해! 지나 하지!!”
“ㅎㅎ 형도 다 생각이 있으니까 그런 거지, 암튼 우리 4명! 시험 접수비랑
학원비, 준비물 재료까지 형이 130만 원 정도 투자했는데 보답은 해야지,
떡하니 붙자고 다 같이!! ㅎㅎ”
“뭐가 어렵다고! 그냥 어, 대충 칠하면 되는 거 아녀?!”
가만히 듣고 계시던 아빠가 아빠답게(?) 한 소리 하셨다.
“이 양반아! 어제 정호가 유튜브 영상 보여준 거 못 봤어? 센치 길이도
정확하게 맞춰야 되고 물감이냐, 뭐냐?”
“페인트.”
“어, 페인트 색깔도 맞추고 할 게 얼마나 많은데, 그냥 하면 되는 줄 아나 봐
네 아빠는⋯. 쯧쯧..”
“하면 다 돼!! 고깟 뺑끼칠 하는 게 뭐 어렵다고! 그냥 대충 하면 되지!!”
아빠의 큰소리는 70이 넘으신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힘차고 우렁찼다.
“아유⋯. 난 몰라! 그렇게 자신 있으면 정호랑 윤실(아내)이랑 당신이랑 셋이
따면 되겠네! 나는 몰라 시험 보다가 쓰러질까 겁난다⋯.”
“엄마! 떨어져도 돼. 부담 갖지 마! 형도 기대 안 해. 지금까지 살면서 엄마랑
아빠 시험 같은 거 본 적 없잖아? 심지어 운전면허증도 없잖아. 그냥 이거
자격증 따서 꼬옥 써먹으라는 의미보단 엄마 아빠도 이런 국가 자격증도
따보고! 성취감, 뭐.. 이런 거 느껴보면 또 삶이 달라 보인다니까... 형은 그걸
느껴보라는 의미로⋯.”
“알았어!! 시끄러워!! 다 알어!! 운전이나 똑바로 해!”
나의 기나긴 레퍼토리가 지겨우셨던지 아빠의 주특기! 버럭 소리에 순간
조용해졌고 우리는 건축도장학원에 도착할 때까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학원은 생각보다 쾌적했고 선생님은 이해하기 쉽게 잘 가르쳐 주셨다.
시간이 넘는 기나긴 수업이 끝날 무렵 드디어 실기 작업의 결과물이 나왔다.
엄마는 결국 체력 문제로 마지막 도형을 완성하지 못한 채 주저앉으셨고,
큰소리 떵떵 치셨던 아빠는 마무리 단계까지는 훌륭하게(?) 마치셨으나
문자, 도형, 그라데이션⋯. 등등 전체적으로 통일성 있게(?) 지렁이 부대가
훑고 지나갔다. 어질어질 삐뚤빼뚤 한눈에 봐도 실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가족 네 분이 오시는 경우는 보기 드문데, 보기 좋으시네요. ㅎㅎ
오늘 하루 종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드디어 선생님의 평가가 시작되었다.
“일단 어머님은 차분하게 잘하셨는데 마지막 도형을 못하셔서 바로 실격이
엄빠와
함께한 시간
2023년도 국가자격 취득자 우수사례 공모전 입상작, 이정호 님(건축도장기능사)
자격취득자 수기
19
e e
er
되는 상황이고요. 아버님은 5mm 이상 벗어난 게 너무 많으셔서 이런
상태면 감점 처리가 많아서 탈락이에요.. 댁에 가셔서 시험일까지 많이
연습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성급하게 하지 마시고 천천히 해보시고⋯.”
선생님의 애정 어린 말씀에도 아빠는 기분이 언짢으신 건지 창피하신 건지
정확하게 알 순 없지만 듣는 둥 마는 둥 담배를 태우러 복도로 나가셨고,
이어서 나와 아내의 작품을 피드백하셨다.
“두 분은 이렇게만 하시면 합격하실 것 같아요. 침착하게 잘하셨네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수고하셨습니다.”
이렇게 시험 전 학원 수업은 끝이 났다.
며칠이 흘러 시험을 일주일 앞두고 엄마의 전화가 울렸다.
“정호야! 너 퇴근하고 엄마 아빠 좀 가르쳐 줘. 시험 본다고 생각하니까
심장이 발랑발랑하네⋯. 계속 봐도 통 모르겠어⋯.”
“알았어요! 내가 오늘 저녁에 엄마 집으로 넘어갈게.”
학원 선생님이 알려주신 유튜브 영상과 재료들을 갖고 최대한 쉽고 천천히
엄마 아빠에게 알려주리라 마음을 먹고 엄마 집에 갔다.
그러나⋯.
“아니! 휴⋯. 그러니까 선을 그으면 일단 작업이 끝난 거라고! 다시 38선을
넘으면 안 돼요! 이해했어요 아빠?”
“어, 그러니까 일루 가면 안 된다고?”
“그치그치, 절대 안 돼!! 바로 집에 가세요래!! 탈락! 실격이라고!!”
“응 알았어! 그럼, 이거는 왜 이렇게 크기가 다른 거냐?”
“휴⋯. 여기 봐봐. 시험 날 어떤 유형의 도안과 길이가 나올지 모른다고
했잖아. 그날 그 유형에 맞춰서 길이와 도안을 하면 되는 거예요 아빠.”
“그니까⋯. 알겠는데.. 왜 서울이냐고?”
“하⋯. 서울은 그냥 우리가 서울 사니까 임의로 해본 거고, 자! 시험 전까지
어떤 글자가 나올지 모르니 울산, 광주, 강원, 충남, 인천 모두 다 해봐야
된다고!! 이해했어요 아빠?”
“응 그러니까⋯. 내말은⋯. 왜 이거는 긋는 거냐고⋯.?”
하⋯. 총체적 난국이었다⋯. 엄마는 그나마 옆에서 나의 이런 노력이
안쓰러우셨는지 고개를 끄덕이며 이해하시는 척 하셨지만, 사실 엄마나
아빠나 도긴개긴이었다.
그날 학원에서는 다 같이 하는 분위기이기도 했고 선생님도 거들어 주시다
보니 수월했으나, 역시 70이 넘으신 엄마 아빠에게 도안을 정확히 이해하고
길이를 재며 색을 칠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은 어쩌면 당연히 어려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이대로 포기할 수는 없었다.
다음날 퇴근 후에도 엄마 집으로 달려갔고 여전히 이해가 잘 안되시는 엄마
아빠를 어르고 달래며 정성을 다하여서 가르쳤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나의 영혼만 탈탈 털렸다. 그런 상호 간의 스트레스가 쌓여서일까(?) 결국
폭발했다. 엄마 아빠는 서로 다투고 짜증을 내며 언성을 높이셨고 그런
상황을 마냥 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결심이 선 나는 형에게 전화를 걸었다.
“형! 아무래도 엄마 아빠는 힘드실 것 같아. 괜한 일을 만들어서 스트레스
주는 것 같기도 하고, 심지어 오늘은 서로 싸우시기도 했어. 그냥 나랑
와이프만 시험 볼까 봐.”
“내가 엄마 아빠한테 전화해서 물어볼게. 네 말 뜻은 알겠어. 암튼 네가
고생이 많다. 고마워!”
“뭘! 내가 고맙지⋯. ㅎㅎ 덕분에 국가고시자격증시험도 보고⋯. 나도 40
넘으니까 여러 가지 마음이 싱숭생숭했는데 이거 준비하면서 왠지 모를
즐거움이 있네. 당장 나한테 돈 벌어다 주는 일은 아니지만⋯. ㅋㅋ”
“그래! 좋게 생각하니 좋다 형도! 엄마 아빠는 내가 전화해 볼 게 수고해라!”
그다음 날 엄마 아빠는 학원비와 접수비를 내준 형한테 미안했는지
떨어지더라도 시험장 가서 부딪혀 보겠다고 말씀하셨다고 한다. 그 후
엄마 아빠의 근거 없는 자신감 때문에 결국 나는 두 번 더 가정방문 수업을
진행해야 했다.
아침부터 비가 세차게 왔다. 비가 오면 페인트가 잘 안 마르니 드라이로 잘
말려줘야 한다는 학원 선생님의 말씀을 떠올리며 오늘 나와 함께 시험장에
들어가는 전우들(엄마, 아빠, 아내)을 싣고 비장한 마음으로 고덕동
시험장으로 향했다.
시험장에는 이미 4~5명 정도의 감독관들이 분주하게 안내 중이었고,
생각보다 많은 응시자들이 대기하고 있었다. 시험을 보는 배치도는 1분단,
2분단, 3분단으로 나뉘어 5열로 총 15명이 시험을 볼 수 있는 구조였다.
뽑기를 통해 아빠는 1분단 끝 열, 엄마는 3분단 2열, 나는 2분단 2열에
배치되었고, 아내는 3분단 끝 열이었다. 시험 시작을 알리는 메인 감독관의
소리가 들렸다.
30분이나 흘렀을까⋯. 불안해하시던 어떤 60대 남성분이 중도 포기하셨고,
뜻하지 않게 30대 젊은 남성분도 실격이 되었는데, 그런 분위기가 시험장의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키며 국가고시라는 위엄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었다.
창밖의 빗소리가 더 강하게 내리고 있을 무렵 뒤쪽에서 탄성이 들렸다.
그건 바로 1분단 끝 열에 위치한 아빠가 밑줄을 잘 못 그으시면서 실격
20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자격취득자 수기
처리로 아쉬워하는 소리였다. 그런 아빠의 탈락 소식을 안타까워하던 찰나
갑자기 누군가가 나를 계속 쳐다보는 듯한 인기척을 느껴 돌아봤는데 눈이
딱 마주친 건 엄마였다. 나는 알 수 있었다. 엄마의 간절한 눈빛을⋯. 시험
시작부터 곁눈질로 나의 작업을 용케(?)도 따라 하시며 애쓰셨던 엄마의
모습을 상상하니 안쓰러우면서도 피식 웃음이 새어 나왔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굉장히 아슬아슬하게 느껴지는 순간들이었다. 자칫
엄마를 신경 쓰다가 나까지 망칠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런저런 생각을
할 때쯤 역시나 엄마도 실격이 되셨고, 나는 시험시간 5분을 남기고 시험
과제를 겨우 마칠 수 있었다. 시험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는 길은 생각보다
유쾌했다.
엄마는 아빠보다 무려 1시간 20분이나 더 늦게 탈락 되셨다며 좋아라
하셨고 어떻게 시험 시작하고 한 시간도 안 되어서 탈락을 하냐며 아빠를
놀리셨다. 그렇게 버럭 하시던 아빠도 시험이 끝나고 시원섭섭(?)하셨는지
허허 웃으시며 시험장에서 벌어진 일들을 회상하셨고 그 뒤로도
화기애애한 분위기는 계속되었다.
그리고 한 달 후 합격자 발표가 났다. 나와 아내는 커트라인 점수에 간신히
턱걸이를 하며 투자(?)해 준 형에게 보답을 할 수 있었고, 엄마 아빠도
진심으로 축하를 해 주셨다.
“이정호 님, 건축도장기능사 합격을 축하드립니다.”
핸드폰에 찍힌 문자를 보고 생각했다. 지금까지 살면서 엄마 아빠와
무언가를 함께 한 시간이 있었던가⋯.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건축도장기능사 자격증을 통해 우리는 서로를 더 알 수 있었고 최선을
다했으며 서로 사랑하고 있다는 걸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엄마, 아빠! 비록 자격증은 얻지 못했지만 70이 넘으신 나이에도
노력하시는 모습 너무 멋지셨고, 정말 고생하셨어요!
앞으로도 오래오래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요.
자격취득자 수기
21
e e
er
빵순이였던 나, 과정평가형 제도에 푹 빠지다
제 기억 속 첫 번째 빵은 시장 갈 때마다 사 먹던 500원짜리 완두 앙금 빵입
니다. 저는 유년 시절부터 빵을 좋아했지만 가정 형편이 어려워 마음껏 빵을
먹지는 못했습니다. 초등학교 등굣길에 있던 파리바게뜨의 케이크는 말 그대
로 그림의 떡이었고, 빵을 좋아하는 저를 위해 할머니는 가끔 지역복지센터
에 들어온 파리바게뜨의 빵을 챙겨 주시곤 했습니다. 그때 먹던 소시지 빵의
맛이 아직도 기억납니다.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된 계기는 전국 최초 호텔 특성화 고등학
교라는 타이틀이 좋았고, 학교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다 보면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서였습니다. 고등학교 입학 후, 선생님으로
부터 과정평가형 국가기술 제과기능사 과정에 대한 얘기와 함께 홍보 영상
을 보게 되었습니다.
영상 속에는 윤기 나는 빵과 먹음직스러운 과자들, 수업 내내 즐거워 보이는
선배님들의 모습이 담겨있었습니다.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증에 무지했
던 저는 열정적으로 수업을 가르치는 선생님과 즐거워 보이는 홍보 영상 속
선배님들의 모습에 푹 빠져버렸습니다. 그렇게 저는 과정평가형 제과기능사
반의 학생이 되었습니다.
전문적인 교육과 실습으로 실력 급상승
과정평가형 제과기능사 반은 이수 과목에서 꽤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주
2회 제과 수업을 들어야 했고, 이론 수업도 다른 반 친구들보다 전문적이고
어려운 내용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우리 반은 다른 조리반 친구들보다
칼질 숙련도와 조리에 대한 기본 지식이 얕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혹시 다른
반 친구들보다 실습 과정에서 뒤처지는 것은 아닐지 걱정됐지만 지금 배우
는 것들은 아무나 배울 수 없는 귀중하고 값진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무엇보다 실습 시간, 이수 내용 등이 전부 제 자격증에 기록되고 객관적인 지
표가 된다는 생각에 1, 2학년 때는 열심히 제과 수업에 임했습니다. 물론 매일
반복되는 실습과 끝나지 않는 이론 수업과 복습, 수행평가 등은 열일곱 살인
저에겐 버거운 과정이었습니다. 하지만 개별 수행평가와 이론 수업은 앞으로
제가 업장에 나가서 일을 할 때, 기존 레시피에서 변형을 주거나 레시피를 개
발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담당 선생님들 또한 큰 열정으로 저를 도와주셨습니다. 구움 색을 고르게 내
는 법과, 무게를 잴 때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 등 실무에서 도움이 되는 조언을
많이 해주셨습니다. 한번은 제가 슈를 완전히 망친 적이 있는데, 그때 제가 호
화를 덜 시켰고(슈 반죽을 한번 볶아주는 단계), 오븐 온도가 낮았으며, 팬닝
간격이 너무 가까웠다는 지적을 해주셨고, 저는 선생님의 가르침대로 다시
슈를 만들어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나의 땀과 노력이 자격증에 새겨지다
실습 외에 이론 수업도 함께 공부하면서 실기에서 배운 내용과 이론이 합쳐
져 배움의 깊이가 점점 커짐을 느꼈습니다. 교과서를 읽다가 모르는 것이 있
으면 그때그때 선생님께 여쭈어보았고, 혼자 찾아보기도 하면서 이론 지식을
쌓았습니다.
1학년 때는 수행평가에 큰 부담을 가져 실수를 많이 하거나 반대로 너무 긴장
하지 않아 실수가 잦았지만 2학년 때는 능숙하게 해냈습니다. 우리 반은 다
른 호텔조리학과 친구들과 달리 제과 중심의 수업이었기에 3년 내내 같은 반
이었습니다. 저는 이런 형태의 반 구성이 단점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마냥 그렇지만도 않았습니다.
세계적인 파티시에가 되기 위한 첫걸음,
과정평가형으로 시작
2023년도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우수사례 공모전 입상작, 박은성 님(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제과기능사)
22
국가자격정보 뉴스레터 Q-letter
자격취득자 수기
과정평가형 제과기능사 반은 면접을 통해 제과에 관심이 많은 학생을 선발
합니다. 제과라는 공통점으로 모인 친구들이라 경쟁자이자 협력자로 도와주
며 배울 수 있어 다른 반과 달리 확실한 동기부여가 되어주었습니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서로에 대한 믿음이 커져 평생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소중
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합격하던 날의 기쁨 잊을 수 없어
마지막 외부 평가를 준비할 때는 확실히 1, 2학년 때와는 다르게 힘들었습니
다. 물론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증 시험도 다른 기능사 자격증처럼 2년 안
에 재시험을 볼 수 있었지만, 우리 반 전원 다 합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모
두 시험 준비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방학 때도 학교에 나와 이론 수업을 들었고 실습을 반복하며 시험 준비를 한
끝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3학년 5반은 1차 응시에 전원 합격하였습니다.
합격 날 아침 9시를 저는 평생 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걱정하던 우리 반
청일점 남학생 두 명도 합격하자 다들 수업 시간인 것도 잊고 함성을 질렀습
니다.
반장으로서 그리고 같은 시험 응시생으로서 선생님과 친구들이 얼마나 준비
하고 노력했는지 알았기에 합격 문자를 받았을 때 눈물이 나왔습니다. 무엇
보다 2년 내내 우리를 위해 성과 열의를 다해 가르쳐주신 담당 선생님들의
가르침과 노력에 감사한 마음이 컸습니다.
앞으로 제과기능사 자격증에도 도전하며 계속 발전하고파
저는 과정평가형 수업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 품목을 토대로, 학원을 다니지
않고 제과기능사 시험 실기와 필기에 모두 합격했습니다. 자격증은 다다익선
이기에 과정평가형 자격증 외에도 기능사 자격증까지 취득하고 싶어 준비하
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제과점 유리창 너머 빵을 보며 자랐던 저는 이제 자라서 파티
시에가 되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주위 어른들은 여자가 하기엔 힘든
일이라고 제과업에 종사하는 것을 반대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누가 뭐라고
해도 베이킹이 좋고 제가 만든 빵과 디저트로 특별한 하루를 선사해 주는 파
티시에가 되고 싶습니다. 제과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배운 2년간의
경험과 배움을 토대로 저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증 제도를 만들고 합격할 수 있게 도와주신 모든
분께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나만의 취업 성공 전략
➊ 파티시에 꿈을 이루기 위해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에 입학
➋ 과정평가형 제과기능사 반에 들어가 2년 동안 공부
➌ 함께 배우고 익히여 반 전원이 합격
➍ 세계적인 파티시에가 되기 위해 계속 도전하자
Tip
자격취득자 수기
23
e e
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