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수강신청안내.hwp

닫기

2020학년도 제2학기

수 강

편 람

수강신청 : 2020. 08. 18(화) ~ 21(금)

개 강 : 2020. 08. 31(월)

수강변경 : 2020. 08. 31(월) ~ 09. 04(금)

교 무 처

학사지원과

1. 2020학년도 2학기 학사력

M

S

M

T

W

T

F

S

학 사 일 정

9

SEP

1

2

3

4

5

8.31(월)

개강

8.31(월)~9.4(금)

수강신청 변경기간

6

7

8

9

10

11

12

9.7(월)~9.18(금)

2021학년도 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이수자 학교현장실습 신청서 제출기간

13

14

15

16

17

18

19

9.11(금)

수강과목 포기 마감일(2주)

9.21(월)~9.25(금)

2020학년도 전기 졸업예정자 교원자격무시험검정원서 제출기간

20

21

22

23

24

25

26

9.26(토)

제16회 전국 어린이 미술 실기대회

27

28

29

30

9.29(화)~10.5(월)

제 46회 미술디자인대학 교수작품전

10

OCT

1

2

3

10.2(금)

개강일로부터 5주

10.5(월)~10.14(수)

2020-2학기 목원 사회봉사주간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0.19(월)~10.23(금)

중간고사 기간

18

19

20

21

22

23

24

10.23(금)

개강일로부터 8주

25

26

27

28

29

30

31

10.26(월)~10.30(금)

역량강화주간

11

NOV

1

2

3

4

5

6

7

11.6(금)

개강일로부터 10주

11.9(월)~11.13(금)

2020학년도 후기 졸업예정자 졸업논문계획서 제출기간

8

9

10

11

12

13

14

11.16(월)~11.19(목)

추수감사 예배주간

15

16

17

18

19

20

21

11.17(화)

성탄목점등 예배

11.23(월)~11.27(금)

계절학기 수강신청 기간 / 계절제 인턴십 신청기간

22

23

24

25

26

27

28

11.30(월)~12.4(금)

학부입학자 1전공 배정지원서 제출기간

29

30

12

DEC

1

2

3

4

5

12.1(화)~12.3(목)

계절학기 수강신청 변경기간

12.14(월)~12.17(목)

보강기간

6

7

8

9

10

11

12

12.7(월)~12.30(수)

강의평가기간

12.9(수)~12.11(금)

계절학기 등록기간

13

14

15

16

17

18

19

12.18(금)~12.24(목)

기말고사 기간

12.24(목)~12.28(월)

성적입력기간

20

21

22

23

24

25

26

12.28(월)

동계방학 및 계절학기 개강

12.30(목)~1.4(수)

성적열람 및 이의제기기간(해당교수)

27

28

29

30

31

12.31(목)

종무예배

2021

1

JAN

1

2

1.4(월)

시무예배

1.4(월)~1.8(금)

2021-1학기 재입학 신청기간

3

4

5

6

7

8

9

1.18(월)~1.22(금)

계절학기 성적입력기간(성적열람 및 이의제기기간 포함)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1.25(월)~1.29(금)

1학기 전과, 복수전공, 부전공, 융·복합전공 신청기간

24

25

26

27

28

29

30

1.25(월)~2.26(금)

1학기 휴학, 복학 신청기간

31

2021

2 

FEB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8(목)

2020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

21

22

23

24

25

26

27

28

학사일정은 교내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수강신청 안내

1. 수강신청은 다음 안내사항을 필히 숙지한 후 작성하여야 합니다.

2. 수강신청은 온라인(인터넷)으로만 시행됩니다.

3. 수강신청에 관한 문의 : 학사지원과(829-7097, 7105)

가. 교양 : 스톡스대학 교학과(829-7255)

나. 전공 : 해당 학과(부)

4. 수강과목 포기는 9월 11일(금)까지만 가능(수업일수 2주)

5. 외부대학 사이버 강좌 : 학점교류 체결에 따라 강좌 개설

CNU(대전충남이러닝) 9개 강좌 / 각 강좌당 수강인원 20명제한

SDU(서울디지털대학) 2개 강좌 / 각 강좌당 수강인원 40명제한

KCU(한국대학가상교육연합) 3개 강좌 / 각 강좌당 수강인원 40명제한

6. 수강신청 시 각 학과(부) 지도교수에게 졸업학점 등 수강신청에 관한 지도 및 상담을 반드시 받으시기 바랍니다.

가. 수강신청

1) 개강일자 : 2020년 8월 31일(월)

2) 수강신청 기간

2020년 8월 18일(화) 09:00 ~ 8월 21일(금) 23:59 - 짝수(18일), 홀수(19일)

장애학생은 8월 17일(월) 09:00부터 수강신청이 가능함

3) 수강신청 절차 및 방법

가) 졸업에 필요한 학점 확인 : 학칙시행세칙 제27조

나) 홈페이지 종합정보시스템 ⇨ “2020학년도 2학기 학부생 수강신청” ⇨ 수강신청시스템 로그인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을 메뉴별로 검색하여 신청하면 자동수강신청 방지코드를 입력한 후 수강신청이 이루어집니다.

과목명클릭 : 강의계획서 정보, 수강코드클릭 : 과목에 대한 정보

다) 신청이 완료된 학생은 수강신청 한 내용에 이상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

4) 기간내 수강신청이 이루어지지 않은 과목은 개강일부터 결석처리 됩니다.

5) 본인의 수강신청 · 변경 · 포기한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가) 방법종합정보시스템 로그인 학사행정 강의정보 수강신청내역조회

나) 확인사항

당초 본인이 수강신청 · 변경 · 포기한 내용과의 일치 여부

신청한 과목 중 강의시간 변경수강과목 중복 / 폐강 / 분반조정등에 의하여 수강이 불가능한 과목이 있는지 여부

종합정보시스템 성적조회에서 영역별 이수학점을 확인하여 부족한 학점 확인

나. 수강신청 변경

1) 변경기간 : 2020년 8월 31일(월) 09:00 ~ 9월 4일(금) 23:59

2) 변경절차

가) 수강신청 변경사유가 발생한 경우 본인이 수강신청 변경기간 내에 수강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강과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나) 수강신청 변경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폐강 또는 수업시간 중복 등 수강신청 오류자를 제외하고는 변경 할 수 없습니다.

다) 본인의 실수로 수강신청을 변경한 경우 해당기간은 결석 처리되며, 폐강과목, 시간중복 등 수강 오류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여 수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다. 수강과목 포기

수강과목을 계속 이수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는 2주 이내에 담당교수, 교무처장의 승인을 얻어 그 과목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1) 수강과목 포기기간 : 개강일 ~ 2주【2020년 9월 11일(금) 17:00

2) 수강과목 포기 절차

수강신청 변경기간 지난 후 수강과목 포기 -> 위 기간(수업일수 2주)중에 학사지원과 수업지원계에 비치된 수강취소원 작성 -> 학사지원과 수업지원계로 제출

3) 수강과목을 포기하였을 때에는 다른 과목으로 대신 신청할 수 없으며, 학점 이월 대상에서 제외된다.

라. 수강신청 학점의 상한

1) 학기당 수강신청 학점 상한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1학년은 20학점까지

나) 2,3,4학년 및 건축학전공(5년제)은 17~19학점까지

다) 4-2, 건축학전공(5년제) 2학기는 21학점까지

라) 직전학기 평점평균이 4.25 이상인 학생은 24학점까지

2) 최저 수강신청 학점은 9학점입니다(단, 수업연한 초과자는 예외)

4) 직전학기 학사경고자는 신청학점을 15학점까지로 제한하지만 대학교육개발원에서 시행하는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18학점까지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5) 성적장학금을 받을 수 있는 수강신청 학점은 17학점 이상(정규 최종학년은 14학점 이상)

※ 1~3학년(건축5년제는 4학년) : 17학점이상 취득, 2학년부터 전공학점 8학점이상 취득

4학년(건축5년제는 5학년) : 14학점이상 취득, 전공학점 5학점이상 취득

해당학기 평점평균이 3.5(B+)이상이어야 함.

과목 F(채플포함) 수강신청 오류로 인해 과목 F 발생시 장학금 대상에서 제외

(학교홈페이지> 대학생활> 장학안내> 교내장학금> 재학생장학금 참조)

성적장학금을 제외한 등록금을 지원하는 국가 및 교내 등록금성 장학금은 직전학기 취득학점이

12학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마. 학점이월

1) 직전학기에 신청 가능한 학점에서 미사용한 학점 중 2학점 범위 내에서 다음 학기에 한하여 추가로 수강 신청을 할 수 습니다. 단, 이월학점을 포함해 한학기 수강신청 학점은 21학점을 초과할 수 없으 며, 다음 대상자는 학점이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가) 2020-1학기 학사경고를 받은 자

나) 2020-1학기 성적평점 평균이 4.25이상인 자

다) 2020-1학기 수강과목중 한 과목 이상 포기한 자

라) 본교 개설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재학생

2) 다음 학기로 이월된 학점을 미신청한 자의 경우 자동 소멸됩니다.

바. 유의사항

1) 수강신청 과목의 시간중복, 이중신청, 이전취득 등 오류가 발생한 과목을 이수할 경우 성적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동일한 과목을 이중 신청한 경우는 교무처장의 직권으로 임의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학기당 수강신청 가능학점을 초과하여 신청하였을 경우 초과된 학점만큼 교무처장의 직권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채플은 학년, 학기 구분 없이 4학기를 이수하되, 채플과 채플 대체 과목을 동시에 신청할 수 없습니다. 신학과는 채플 및 교회실습을 8학기를 이수하여야 합니다.

4) 최종학기 재학생은 졸업논문’, ‘졸업시험’, ‘졸업연주’, 졸업작품 필히 수강신청 하여 졸업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졸업논문(시험, 작품, 연주)은 반드시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함.

5) 기 취득한 교과목의 성적이 C+ 이하인 경우에만 재수강할 수 있습니다.

재수강을 한 경우 재수강하여 취득한 성적이 반영되지만 기 취득한 성적도 성적증명서에 기재되며, 기 취득 성적에 의한 학사경고 등의 조치사항은 재수강을 통한 학점 취득 후에도 변경되지 아니한다.

6) 음악대학은 전공실기 8학기, 연주발표 6학기를 이수하되, 학년학기 구분 없이 이수할 수 있습니다.

7) 신학과는 지정학점인 전공 27학점(2011학번 까지 24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8) 교양선택 과목 중 제6영역의 대전의 재발견과 제3영역 인문학의 향기 과목은 외부시설(대전 시민대학)을 이용하는 교과목으로 시간표 작성 시 이동시간을 참고하여 수강신청 하시기 바랍니다. (학점있는 P과목)

9) 교직과정이수자는 각 학과(부)에서 지정하여 개설되는 기본이수영역 과목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합니다.

10) 외부사이버강좌(http://cyber.mokwon.ac.kr)는 대학교육개발원(T.829-7244~6)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이버강좌(교내·외 포함)은 학기당 6학점 초과(재학 중 총 24학점 초과)할 수 없습니다.

11) 2011학년도 이전 입학생 중 7영역 학점이(2012∼2017학년도 교양핵심 및 교양선택 5영역 이수학점 포함) 부족할 경우 테크노과학대학 MSC교과에서 보충할 수 있습니다.

14) 교양필수 영어는 입학년도에 관계없이 4학점만 이수하면 됩니다.

15) 교양필수 국어과목인 독서와표현1,2를 이수하지 못한 학생은 토론과글쓰기1,2를 이수하여야 한다.(단, 2011학번까지는 국어관련 과목 2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됩니다.)

16) 특성화 채플로는 영어채플(수7,8)이 진행되며, 야간은 알파채플(목7,8/ 목10,11)로 진행됩니다.

채플에 관한 문의는 교목실(T.829-7021~2)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7) 교수의 자녀는 부모(교수)의 강의를 수강신청할 수 없으며, 부득이 수강하여야 할 경우 교수 자녀 수강신청 신고서2020년 9월 7일 (월)까지 학사지원과[829-7105]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사. 유의사항(편입, 전과, 복수전공, 부전공 등)

1) 편입

가) 일반 학과(부)로 편입한 경우 전적대학 학점을 68학점(사범대학 및 정보통신융합공학부 72학점)까지 인정하며, 졸업에 필요한 나머지 학점을(전공 50학점, 채플 2회, 기독교의 이해, 교직 등 포함)취득해야 합니다.

나) 신학과로 편입한 경우 채플 4회 및 교회실습 4회, 신학입문, 성서통독 중에서 한 과목과 학과에서 지정한 27학점을 이수해야 합니다.

다) 음악대학으로 편입한 경우 전공실기 4회, 연주발표 4회를 이수해야 하며, 음악교육과로 편입한 경우 전공실기 4회, 연주발표 3회를 이수해야 합니다.

2) 전과

가) 신학과로 전과한 2011학번까지는 잔여학기에 맞추어 채플 및 교회실습을 이수해야 하며, 전공졸이수학점 중 학과에서 지정한 24(신학영어 제외)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2012학번부터는 잔여학기에 맞추어 채플 및 교회실습을 이수해야 하며, 전공졸업 이수학점 중 학과에서 지정한 전공필수 27학점 (신학영어 포함)을 이수해야 한다.

나) 음악대학으로 전과한 경우 잔여학기 만큼 전공실기를 이수해야하며, 연주발표는 4회 이수하여야 한다. 음악교육과로 전과한 경우 전공실기는 잔여학기 만큼 이수하고, 2학년으로 전과한 경우 연주발표를 4회, 3학년으로 전과한 경우 연주발표를 3회 이수해야 합니다.

3) 복수전공/부전공자

음악대학 소속 학과(부)를 복수전공/부전공하는 경우 전공실기 4회, 연주발표 4회를 이수해야 하며, 음악교육과를 복수전공/부전공하는 경우 전공실기 4회, 연주발표 3회를 이수해야 합니다.

아. 강의실 건물명 약자

A : 신학대학

B : 인문대학

C : 테크노과학대학

D : 공과대학

E : 사회과학대학

F : 음악대학

G : 미술·디자인대학

I : 캠퍼스타운

O : 건축도시연구지원센터

P : 체육관

R : 콘서트홀

T : 채플

U : 사범대학

M : 중앙도서관

N: 학생회관

01: 창업진흥센터

J : (구) 신학관

V : 신축생활관

대리 수강신청은 불허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모든 불이익은 본인이 책임져야 합니다.

3. 졸업 이수학점 기준

[학칙시행세칙 제27조(졸업에 필요한 교과별 학점) 반드시 숙지할 것]

가. 교양필수

1) 2015~2019학년도 입학자

과 목 명

이수학기

학점 및 시수

- 기독교의 이해

(신학대학)

1・2학기

3/3

- 신학입문(2), 성서통독(1)

(신학대학 학생)

- English 1(2

1학기

4/6

- English 2(2)

2학기

- 토론과글쓰기 1(2)

1학기

4/4

- 토론과글쓰기 2(2)

2학기

채플

1・2학기

P-4

합 계

11/13

2) 2020학년도 입학자

과 목 명

이수학기

학점 및 시수

신학입문(2), 성서통독(1)

(신학대학 학생)

1・2학기

3/3

중복수강 불가

기독교의 이해

(신학대학 및 외국인 유학생 제외)

진리사랑봉사

(외국인 유학생)

English 1(2)

1학기

4/6

English 2(2)

2학기

토론과글쓰기 1(2)

1학기

4/4

토론과글쓰기 2(2)

2학기

창의적 사고와 코딩 (1학기 전 학과(부) 동일)

1학기

2/3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 코딩 (인문신학 계열, 수교, 유교)

오디오비쥬얼 감성 코딩 (예체능계열, 음교, 미교)

데이터분석을 위한 창의 코딩 (사회과학 계열)

피지컬 컴퓨팅 인터랙션 (자연공학계열)

2학기

2/3

채플

1・2학기

P

합 계

15/19

채플이수 : 재학 중 채플은 4학기(편입생 2학기)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단, 신학과는 채플 8학기( 편입생 4학기)를 이수해야 하고, 조기졸업자인 경우 수강 학기수와 동일한 채플 학기수를 이수해야 한다.

기독교의 이해를 이수하지 못한 외국인 유학생은 진리사랑봉사로 대체할 수 있다.

기독교의 이해」, 「신학입문, 성서통독」, 「진리·사랑·봉사의 중복이수는 불허한다.

교양필수 영어는 교과목명 또는 학점의 변경 및 입학년도와 무관하게 English 1・2를 이수하여야 한다.

나. 교양핵심 · 교양선택

1) 2015~2017학년도 입학자

교양핵심

배분이수교과

1. 언어와 표현

- 7개 영역 중 4개 영역 이상에서 16학점 이상

2. 역사와 문화

3. 문학과 예술

4. 사회와 세계

5. 과학과 기술

6. 생활과 실용

8. 융복합

학점소계 : 16학점

교양선택

자유이수

1. 언어와 표현

- 8개 영역(0 영역제외) 중 3학점 이상 자유 선택

2. 역사와 문화

3. 문학과 예술

4. 사회와 세계

5. 과학과 기술

6. 생활과 실용

9. 컴퓨터자격증 과정

0. R.O.T.C

A. 평생교육과정

학점소계 : 3학점

2) 2018~2020학년도 입학자

교양핵심

배분이수교과

1. 언어와 표현

- 8개 영역 중 4개 영역 이상에서 16학점 이상(단, 건축학부는 2개 영역이상에서 6학점, 사범대학 및 교직이수자는 2개 영역 이상에서 8학점)

2. 역사와 문화

3. 문학과 예술

4. 사회와 세계

5. 과학과 기술

6. 생활과 실용

8. 철학과 융복합

9. 취업과 실무

학점소계 : 16학점

교양선택

자유이수

1. 언어와 표현

- 8개 영역(0 영역제외) 중 3학점 이상 자유 선택(단, 스포츠건강관리학과를 제외한 테크노과학대학, 사범대학 및 교직이수자 제외)

- 공과대학 2학점 이상 자유 선택

2. 역사와 문화

3. 문학과 예술

4. 사회와 세계

5. 과학과 기술

6. 생활과 실용

8. 철학과 융복합

9. 취업과 실무

0. R.O.T.C

학점소계 : 3학점

테크노과학대학(단,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제외) 2017학년도 입학자까지 교양선택 9학점을 이수하지 못한 학생은 MSC과목에서 잔여학점을 이수하여야 하며, 2001학년도 입학자까지 7영역 이수 학점이 부족할 경우 MSC과목에서 이수해야 한다. 이 경우 교양선택 이수학점과 MSC과목 이수학점을 합산하여 인정한다.

다. 전공과목

1) 단일전공자 : 75학점 이상(건축학부 5년제 123학점 이상)

2) 복수전공자 : 39학점 이상(사회복지학과 42, 사범대학 및 교직이수자 50)

사회복지학과 2020년부터 51학점

3) 재입학자 : 재입학 학년에 해당하는 학번의 이수학점 기준을 따른다.

4) 편입학자 : 50학점 이상

2015학년도 이후 입학자는 체험교과목 (지정된 교양 또는 전공 교과목)을 8학점(사범대학 및 교직 이수자는 3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단, 편입생 및 재입학자는 제외)

라. MSC과목(구 공학기초)

1) MSC과목 (mathematics, science, computer) 표기

2) 전과생, 편입생 및 복수(부)전공자 제외

3) 2017학년도 입학자부터 도시·환경·화학공학과는 30학점 이상

4) 2018학년도 입학자부터 테크노과학대학은 9학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는 6학점 이상

바. 학과(부)별 이수학점 기준표

【2015-2017학년도 입학자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 공

과 목

MSC

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교양필수

교양핵심

교양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신학

대학

신학과

11

16

3

30

72

0

0-30

132

문 화

콘텐츠대 학

영어영문학과

16

3

30

75

0

0-27

132

역사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문화학과

TV·영화학부

연기전공

TV·영화전공

테크노과 학

대 학

수학과

16

9

36

75

0

0-21

132

화학·화장품학부

화학전공

화장품공학전공

의생명·보건학부

의생명공학전공

보건관리학전공

기술마케팅학과(지식재산학과)

소방안전관리학과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16

3

30

75

0

0-27

공 과

대 학

건축학부

건축학(5년)전공

9

4

24

123(102)

12

0-6

165

건축공학전공

75(36)

0-21

132

융합컴퓨터·미디어학

컴퓨터공학전공

0

6

17

75(36)

30

0-10

132

융합미디어전공

전자공학과

6

0

17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

0

7

18

0-18

140

스마트모바일전공

지능로봇공학과

6

0

17

75

24

0-16

132

신소재화학공학과

0

7

18

30

0-18

140

도시공학과(도시·환경·화학공학과)

6

0

18

30

0-18

132

사 회

과 학

대 학

경영학과

16

3

30

75

0

0∼27

132

서비스경영학부

경영정보전공

관광경영전공

금융보험부동산학과

무역학과

경제학과

마케팅정보컨설팅학과

중국학과

광고홍보언론학과

행정학과

경찰법학과

음악

대학

성악·뮤지컬학부(과)

성악전공

16

3

30

75

0

0∼27

132

뮤지컬전공

작곡·재즈학부

작곡전공

재즈전공

관현악학부

관악전공

현악전공

건반악학부(피아노과)

국악과

미 술·

디자인대 학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16

3

30

75

0

0∼27

132

서양화전공

기독교미술전공

조소과

만화·애니메이션과

시각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섬유·패션디자인학과

도자디자인학과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공

MS

C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필수

핵심

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사 범

대 학

국어교육과

11

12

0

23

75

(22)

0-20

140

영어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유과

유아교유과

수학교육과

【2018~2019학년도 입학자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 공

과 목

MSC

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교양필수

교양핵심

교양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신학

대학

신학과

11

16

3

30

72

0

0-30

132

문 화

콘텐츠대 학

영어영문학과

16

3

30

75

0

0-27

132

역사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문화학과

TV·영화학부

연기전공

TV·영화전공

테크노과 학

대 학

수학과

16

0

27

75

9

0-21

132

화학·화장품학부

화학전공

화장품공학전공

의생명·보건학부

의생명공학전공

보건관리학전공

지식재산학과

소방안전관리학과

미생물소재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16

3

34

75

0

0-23

공 과

대 학

건축학부

건축학(5년)전공

6

2

19

123(102)

12

0-11

165

건축공학전공

75(36)

0-26

132

융합컴퓨터·미디어학

컴퓨터공학전공

0

13

30

0-14

132

융합미디어전공

전자공학과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

0-22

140

스마트모바일전공

지능로봇공학과

75

24

0-20

132

도시·환경·화학공학과

30

0-14

사 회

과 학

대 학

경영학과

16

3

30

75

0

0∼27

132

서비스경영학부

경영정보전공

관광경영전공

금융보험부동산학과

무역학과

글로벌경제학과

마케팅빅데이터학과

중국학과

광고홍보언론학부

광고홍보전공

언론미디어전공

행정학과

경찰법학과

음악

대학

성악·뮤지컬학과

16

3

30

75

0

0∼27

132

공연예술학부

작곡전공

실용음악전공

관현악학부

관악전공

현악전공

피아노과

한국음악과

미 술·

디자인대 학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16

3

30

75

0

0∼27

132

서양화전공

기독교미술전공

조소과

만화·애니메이션과

시각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섬유·패션디자인학과

도자디자인학과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공

MSC

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필수

핵심

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사 범

대 학

국어교육과

11

8

0

19

75

(22)

0-24

140

영어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유과

유아교유과

수학교육과

6

(22)

0-18

【2020학년도~ 입학자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 공

과 목

MSC

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교양필수

교양핵심

교양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신학

대학

신학과

15

16

3

34

72

0

0-26

132

문 화

콘텐츠대 학

영어영문학과

16

3

34

75

0

0-23

132

역사학과

사회복지학과

국제문화학과

TV·영화학부

연기전공

TV·영화전공

테크노과 학

대 학

수학과

16

0

31

75

9

0-17

132

화학·화장품학부

화학전공

화장품공학전공

의생명·보건학부

의생명공학전공

보건관리학전공

지식재산학과

소방안전관리학과

미생물소재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16

3

34

75

0

0-23

공 과

대 학

건축학부

건축학(5년)전공

6

2

23

123(102)

12

0-7

165

건축공학전공

75(36)

0-22

132

융합컴퓨터·미디어학

컴퓨터공학전공

17

30

0-10

132

융합미디어전공

전자공학과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정보통신공학전공

0-18

140

스마트모바일전공

지능로봇공학과

75

24

0-16

132

도시·환경·화학공학과

30

0-10

사 회

과 학

대 학

경영학과

16

3

34

75

0

0∼23

132

서비스경영학부

경영정보전공

관광경영전공

금융보험부동산학과

무역학과

글로벌경제학과

마케팅빅데이터학과

중국학과

광고홍보언론학부

광고홍보전공

언론미디어전공

행정학과

경찰법학과

음악

대학

성악·뮤지컬학과

16

3

34

75

0

0∼23

132

공연예술학부

작곡전공

실용음악전공

관현악학부

관악전공

현악전공

피아노과

한국음악과

미 술·

디자인대 학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16

3

34

75

0

0∼23

132

서양화전공

기독교미술전공

조소과

만화·애니메이션과

시각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섬유·패션디자인학과

도자디자인학과

대 학

학 부(과)

교 양 과 목

전공

MSC교과

(교직

필수)

자유선택

합계

필수

핵심

선택

복수(부)전공, 교직포함

사 범

대 학

국어교육과

15

8

0

23

75

(22)

0-20

140

영어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유과

유아교유과

수학교육과

6

(22)

0-14

4. 문화예술교육사

가. 개 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 역량을 갖춘 자에게 국가공인 자격을 부여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와 공신력 강화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도입한 제도(문화예술교육지원법」 2012.08.18.시행)입니다.

정부의 문화예술교육사 정책은 학교(방과 후 수업), 문화시설(센터), 학원, 평생교육시설 등 문화예술교육에 종사하는 강사들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갖추어 예술분야 교육자에 대한 신뢰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전공 졸업생들의 진출영역 다양화하는 것입니다.

나. 개설목적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시행(2012.08.18.)에 따라 관련 분야별 전공 졸업생들의 취업 및 진출 영역 확대

다. 운영방식

1) 전공별 개설과목 중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으로 대체인정 받은 과목(전공 : 15과목 30학점이상) 제외하고, 대체 인정받지 못한 과목에 한해 미술·디자인대학, 음악대학, TV·영화학부,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음악교육과에 개설하여 운영

2) 교수역량 과목 중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2개 과목은 교직과에서 교직이수와는 별도로 신규개설, 직무소양 과목 중 문화행사기획, 커뮤니케이션기법 등 교양선택 과정에 개설 공동 운영

라. 교육과정

1) 개정 전 구 교육과정(2021.03.31.까지 자격 취득 가능)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2급) 분야별 전공은 국악, 미술·디자인, 음악, 만화ㆍ애니메이션, 영화,연극 등이있으며, 교과영역별 교육과정(총 9과목 18학점 : 전공별 공통 5과목, 공통 4과목(교수역량, 직무소양각2과목)을 이수한 경우에만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 부여

2) 신 교육과정(2016.03.01.시행)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2급) 분야별 전공은 음악, 국악, 미술, 공예, 디자인, 만화ㆍ애니메이션, 영화, 연극 등이 있으며, 직무역량 교육과정(총 5과목 10학점 : 전공 공통 2과목 4학점, 분야별 3과목 6학점)을 이수한 경우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 부여

마. 졸업요건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2급) 교육과정은 졸업기준과는 별도로 자격증 취득만을 위한 것이므로 상기 교육과정 이수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모든 졸업 요건을 충족해야 졸업 가능

(문화예술교육사 과목은 D학점 이상이면 이수성적으로 인정받음-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바. 개설과목

1) 구 교육과정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문화행사기획, 커뮤니케이션기법 (교직 및 교양에 개설), 전공별-분야별 공통 5과목 (수강신청 시 해당 학과(부)에서 문화예술교과목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비고란에 문화예술교육사교육과정 표기 되어 있음. * 사범계의 경우 기존 교육학개론, 교육심리를 이수하였을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음)

2) 신 교육과정

공통과목인 문화예술교육개론,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과, 분야별 교육론, 분야별 교수학습방법, 분야별 교육프로그램개발 과목이 학기별로 분리 개설됨

문화예술교육사(2급) 교육과정

1. 구 교육과정

구 분

분 야

교과목명

비 고

공통 (교직,교양개설)

교수역량

교육학개론

1학기 개설(교직과)

교육심리

2학기 개설(교직과)

직무소양

문화행사기획

1,2학기 개설(공통과목)

예술교육상담

미술교육과 개설

커뮤니케이션기법

1,2학기 개설(공공과목)

문화정책 및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미술교육과 개설

분야별

교수역량(2)

(전공공통개설)

국 악

국악교육론

1학기 개설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이해

2학기 개설

기획 제작 및 시연

1학기 개설

창의적 방법을 통한 국악교수법

2학기 개설

국악 감상 및 비평

1학기 개설

미술·디자인

미술·디자인 교수학습 방법

2학기 개설

미술·디자인 감상과 비평

1학기 개설

미술·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1학기 개설

미술·디자인 교육론

1학기 개설

창의적 방법을 통한 미술·디자인교수법

2학기 개설

음 악

음악 감상 및 비평

1학기 개설

창의적 방법을 통한 음악교수법

1학기 개설

음악교육교재·교수개발 및 활용

2학기 개설

음악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2학기 개설

통합예술프로그램의 이해

1학기 개설

만화·애니메이션

만화·애니메이션교육론

2학기 개설

만화애니교수학습법

1학기 개설

만화·애니분석과 비평

1학기 개설

만화·애니 기획제작 및 시연1

1학기 개설

통합예술프로그램의 이해

1학기 개설

연극/영화

연극영화교과교재및연구법

2학기 개설

영화영상제작워크샵

1학기 개설

연극영화교과교육론

1학기 개설

연극기획 제작 및 시연

1학기 개설

연극영화감상및비평

2학기 개설

2. 신 교육과정

구 분

분 야

교과목명

비 고

직무역량

공 통

문화예술교육개론

(사범계, 비사범계 분리 운영)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음 악

음악교육론

(사범계, 비사범계 분리 운영)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한국음악

국악교육론

국악교수학습방법

국악교육프로그램개발

미 술

미술교육론

(사범계, 비사범계 분리 운영)

미술교수학습방법

미술교육프로그램개발

공 예

공예·디자인교육론

공예·디자인교수학습방법

공예·디자인교육프로그램개발

디자인

공예·디자인교육론

공예·디자인교수학습방법

공예·디자인교육프로그램개발

만화·애니메이션

만화·애니메이션교육론

만화·애니메이션교수학습방법

만화·애니메이션교육프로그램개발

연극/영화

연극영화교육론

연극영화교수학습방법

연극영화교육프로그램개발

사.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 이수방법 및 교부절차

1) 재학생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수

2) 재학 중 교과목 미 이수자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교육기관에서 개설되는 교과과정 이수

가) 구 교육과정

대상

이수과목

학점(시간)

신청방법

자격증교부

재학생

9과목

18학점(270시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개별신청)

문화체육관광부

(교수역량+직무소양)

나) 신 교육과정

대상

이수과목

학점(시간)

신청방법

자격증교부

재학생

5과목

10학점( 시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개별신청)

문화체육관광부

(공통+분야별)

아. 문의처

구 분

관련부서

연락처

홈페이지

학과(부)생

학사지원과 수업지원계

042-829-7105

졸업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070-7825-1460

http://acei.arte.or.kr

기타 문의사항

전공 : 해당 학과(부)

교양 : 스톡스대학 교학과(829-7255,7254)

수강 및 문화예술사 관련 : 학사지원과(829-7105)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스톡스대학_교육혁신 교육과정 신설

가. 제1전공과 상관없이 학부 재학생이면 누구나 이수 가능!

(마이크로디그리, 아트커뮤니케이션, 토픽러닝)

나. 2020학년도 이전 이수 교과 소급 적용+ 별도 신청서 불필요!

(마이크로디그리, 아트커뮤니케이션)

다. 대학혁신지원사업 지원의 해외연수 및 장학 혜택 확인!

소프트웨어 코딩 교양필수 교과 - 자세히보기 http://reurl.kr/2D89421CYU

마이크로디그리

1)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 자세히 보기 http://reurl.kr/2D89421DCR

2) GCP 마이크로디그리 - 자세히 보기 http://reurl.kr/2D89421EUS

3) 문화예술융합 전공 마이크로디그리 - 자세히 보기 http://reurl.kr/2D894220EW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학위자세히 보기 http://reurl.kr/2D894239LS

토픽러닝(Topic Learning) 자세히 보기 http://reurl.kr/2D89421FLT

스톡스 교육과정 안내영상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mfDsv-pFIfY&t=1s

[ 수강시스템 내 확인_스톡스·혁신교과 ]

1. 계열별 소프트웨어 코딩 교과목 교양필수 (2020학번부터 적용)

가. 개설목적

SW 코딩교육 교과를 개발 및 운영하고, 더 나아가 코딩교과 기반 심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ICT리터러시 역량을 제고시키고자 함

나. 운영방식

목원의 SW코딩교양 교과목은 계열별 특성에 맞게 꼭 필요한 내용을 체험 위주 교과목으로 개발하여 운영

다. 소프트웨어 교양필수 교과목

계열

교양필수 과목명

1학기(2학점)

2학기(2학점)

인문·신학

(수교·유교 포함)

창의적사고와코딩

문제해결을위한창의코딩

예술

(음교·미교 포함)

오디오비쥬얼감성코딩

사회과학

데이터분석을위한창의코딩

자연·공학

피지컬컴퓨팅인터랙션

라. 소프트웨어 심화 비교과프로그램

비교과 프로그램명

드론과정

클린코드를위한코드리뷰클리닉

코딩수학

라즈베리파이를활용한IoT프로젝트

3D프린팅 Design & Making

* 추후, 게임 제작 과정 신설 예정.

2. 교양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MD)

가. 배경 및 필요성

교양교육과정으로 편성된 마이크로디그리의 하나로, 5대 핵심역량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양 교육을 위하여 개설·운영함

나. 개설목적

학생들의 교양교과목 선택권은 보장하면서 교양 교육의 관점에서 IMAGE+ 혁신 인재가 갖추어야 할 5대 핵심역량을 균형 있게 형성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다. 교육과정

구분

교양 마이크로디그리(MD)

내용

교양교과목을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각 과정을 설계하여 운영

지정된 교양교과목 이수시 미니학위 수여

이수학점

12학점

복수학위

지정된 3개 과정 및 기독교의이해(교양필수)이수 시(총 39학점)

교양학사복수학위 인정, 졸업증명서 표기

신청방법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기타

이수증 발급 가능 (온라인)

라. 이수인정 기준

1) 지정된 교양교과목 중 12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해당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이수증 발급

2) 3개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시 복수학위 부여 및 졸업증명서 표기

제1전공과 상관없이 학부 재학생이면 누구나 이수 가능!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 2020학년도 이전 이수교과 소급 적용!

마. 기타

1)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우수 이수자에게는 장학금 혜택 기회 제공!

2) 마이크로디그리로 지정된 교과목은 기존의 교양학점으로 중복 인정

3)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증은 개인 역량을 증명하는 객관적 자료로서, 졸업 후 취업 시 유리하게 작용수 있음(이력서에 한 줄 더!)

교양교과목만 잘 챙겨들어도 미니학위+이수증+장학금+취업까지!!

바. 교양 마이크로디그리(MD) 개설과목

교양 MD 과정명

이수구분

교과목명

개설학기

학점

ICT 활용 마스터 과정

교핵

프리젠테이션과자기표현

1,2

3

교선

GTQ특강

1,2

3

교선

ITQ특강(엑셀/인터넷)

1,2

3

교선

ITQ특강(한글/파워포인트)

1,2

3

교선

MOS특강(Powerpoint/Excel)

1,2

2

교선

MOS특강(Word/Access)

1,2

2

교선

컴퓨터활용능력특강

1,2

3

교양심화영어과정

교필

English1

1

2

교필

English2

2

2

교선

네이티브발음으로영어말하기

1,2

2

교선

미디어로접하는영어표현과문화

1,2

3

교선

실무영어청취와표현

1,2

3

교선

어휘를알면보이는영어

1,2

3

교선

영문학으로쌓는교양

1

3

국어능력인증과정

교필

토론과글쓰기1

1

2

교필

토론과글쓰기2

2

2

교선

공감적말하기의힘

1

3

교선

사고력과국어능력

2

3

교선

언어이해와국어능력

1

3

교선

학술적글쓰기

2

3

국제사회와 인권전문가 과정

교핵

다문화사회의이해

1,2

3

교선

국제사회와인권

1,2

3

교선

문학속인권이야기

1,2

3

교선

미래사회와인권

1,2

3

교선

영화로보는인권이야기

1,2

3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과정

교핵

문화콘텐츠와스토리텔링

1,2

3

교선

SF판타지와스토리텔링

1,2

3

교선

로컬리티와문화콘텐츠

1,2

3

교선

문화속의원형콘텐츠

1,2

3

교선

문화콘텐츠창작기획프로젝트

1,2

3

교선

미디어로보는명작

1,2

3

교선

영화로읽는빅데이터의세계

(구 빅데이터와인문학’)

1,2

3

소프트웨어 코딩 과정

교필

데이터분석을위한창의코딩

2

2

교필

문제해결을위한창의코딩

2

2

교필

오디오비쥬얼감성코딩

2

2

교필

창의적사고와코딩

1

2

교필

피지컬컴퓨팅인터랙션

2

2

교핵

세상을움직이는IT

1,2

3

교선

생활속의스마트IT

1,2

3

교선

실생활예제로풀어보는빅데이터프로젝트

(구 안드로이드앱프로그래밍입문’)

1,2

3

교선

코딩을위한알고리즘

2

3

예술문화기획과정

교핵

세계미술산책

1,2

3

교선

공연기획

1,2

3

교선

미술체험과소통

1,2

3

교선

비주얼컬쳐

1,2

3

교선

소통하는예술기획워크숍

1,2

3

교선

영화사운드로읽는감성표현

1,2

3

융합문화지식함양 과정

교핵

사회과학적상상력으로세상보기

1,2

3

교핵

영화속의역사

1,2

3

교핵

우리문학으로소통하기

1,2

3

교선

예술과문학의인문융합적사고

2

3

교선

지역사회의역사문화바로알기

1

3

인문 상담 및 치유사 과정

교핵

생각의힘을키우는논리

1,2

3

교핵

성공하는사람들의생활과윤리

1,2

3

교핵

아케이드프로젝트

1,2

2

교선

너,나,우리의인성

1,2

3

교선

타자를위한인간학

1

3

교선

힐링인문학

2

3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과정

교선

10분뮤지컬만들기

1,2

3

교선

연출프로젝트(구 무대연기’)

1,2

2

교선

뮤지컬의이해

1,2

3

교선

스토리텔링

1,2

3

교선

무대위드라마(구 오페라,뮤지컬산책’)

1,2

2

교선

장르별보컬의실제

1,2

2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과정

교선

민속과함께하는놀이인문학

1,2

3

교선

신나는사물놀이

1,2

2

교선

옛날이야기와테마파크

1

3

교선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찾아가기

2

3

교선

춤이야기

1,2

3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과정

교필

토론과글쓰기1

1

2

교필

토론과글쓰기2

2

2

교핵

세상을움직이는IT

1,2

3

교선

발표와토의

2

3

교선

시의상상과커뮤니케이션

1

3

교선

창의적글쓰기

1

3

교선

화법과언어예절

1,2

3

콘텐츠융복합 창업 과정

(※추후 변동가능)

교선

고객검증기반창의창업계획

2

3

교선

리더십과자기개발

1,2

3

교선

문화예술융합Fun창업

1

3

교선

소셜벤처사례탐구

2

3

교선

창업과지식재산

2

3

교선

창업을위한사업계획서작성

1,2

3

교선

청년창업

1,2

3

사.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학위종별

학위종별

해당 과정

(이 중 3개 이상 이수 시 해당 학위로 복수학위 부여)

교양학사

(문화예술콘텐츠 전공)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전문가 과정

예술문화기획과정

창작 뮤지컬 제작 실습 과정

축제놀이문화 기획 전문가 과정

교양학사

(공공인문융합 전공)

국제사회와 인권전문가 과정

융합문화지식함양 과정

인문 상담 및 치유사 과정

교양학사

(커뮤니케이션 리터러시 전공)

교양심화영어과정

국어능력인증과정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과정

3. GCP(Global Challenge Pathfinder)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 MD)

가. 배경 및 필요성

교양교육과정으로 편성된 마이크로디그리의 하나로, 융화적 소통역량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개설·운영함

나. 개설목적

자기주도성 강화를 위한 글로벌 관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 운영과 GCP(Global Challenge Pathfinder) 교과모듈의 개발 및 운영을 통해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인재양성 목

다. 교육과정

구분

GCP 마이크로디그리(MD)

내용

교양교과목으로 글로벌 지역 전문가 GCP과정을 설계하여 운영

지정된 교양교과목 이수시 미니학위 수여

이수학점

12학점

복수학위

지정된 3개 과정 및 기독교의이해(교양필수)이수 시(총 39학점)

교양학사복수학위 인정, 졸업증명서 표기

신청방법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기타

이수증 발급 가능 (온라인)

라. 이수인정 기준

1) 지정된 교양교과목 중 12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해당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이수증 발급

2) 3개 마이크로디그리 이수 시 복수학위 부여 및 졸업증명서 표기

제1전공과 상관없이 학부 재학생이면 누구나 이수 가능!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 2020학년도 이전 이수교과 소급 적용!

마. 기타

1) GCP 마이크로디그리 우수 이수자에게는 해외 단기연수 기회 또는 장학금 기회 제공!

2) 마이크로디그리로 지정된 교과목은 기존의 교양학점으로 중복 인정

3)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증은 개인 역량을 증명하는 객관적 자료로서, 졸업 후 취업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이력서에 한 줄 더!)

교양교과목만 잘 챙겨들어도 미니학위+이수증+해외연수+취업까지!!

바. GCP 마이크로디그리(MD) 개설과목

GCP MD 과정명

이수구분

교과목명

개설학기

학점

북한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교핵

사진과그림으로보는역사

1, 2

3

교선

북한학교와만나기

1

3

교선

슬기로운글동무생활

2

3

교선

영화속북한의체제와사람들

1

3

교선

함께읽는북한문학이야기

2

3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교핵

초급일본어

1, 2

3

교핵

중급일본어

1, 2

3

교선

달콤한일본문학산책

1, 2

3

교선

기초JLPT일본어(구 도전,JLPT’)

1, 2

3

교선

문화를통해만나는일본

1, 2

3

교선

애니메이션일본어

1, 2

3

중국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교핵

동양의역사와문화

1, 2

3

교핵

중국어기초2

1, 2

3

교선

중국미디어의이해

1, 2

3

교선

중국사회의이해

1, 2

3

교선

중국어기초1

1, 2

3

사. GCP 마이크로디그리 학위종별

학위종별

해당 과정

(이 중 3개 이상 이수 시 해당 학위로 복수학위 부여)

교양학사

(동아시아문화 전공)

일본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북한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중국 글로벌 인재양성 과정

4. 문화예술융합 전공 CORE교과목 마이크로디그리(MD) 과정

가. 배경 및 필요성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른 전공 신설 및 기존 학과 간 연계 교육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우리 대학도 이와 같은 사회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였다.

대학 특성화 계획에서 타 대학과 차별적이면서 우리 대학의 강점인 문화예술 분야에 집중하여 학문 분야 특성화로 문화예술융합분야를 선정하였으나 대학 기준 교육체계 내에 이와 같은 문화예술융합야의 인재를 전담하여 양성하고 관리하는 조직이 없기에 문화예술융합 전공이라는 새로운 전공을 개설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나. 개설목적

문화예술콘텐츠를 중심으로 통합된 CPND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콘텐츠에 대한 기획부터 창·제작, 유통·배급, 서비스하는 전 과정을 다루는 전문가 양성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추진을 위해 특성화CORE교과목, CORE트랙을 활용한 마이크로디그리 및 자율적 학습 생태계 RGB발전소 운영

다. 운영방식

- 문화예술융합 창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4개의 핵심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인 문화예술콘텐츠기획(C트랙), 문화예술창작 제작(P트랙), 문화예술유통 배급(N트랙), 및 문화예술디지털공학(D트랙) 과정을 신설함

문화예술융합전공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학부 재학생이면 누구나 제1전공과 상관없이 이수 가능

문화예술융융합 전공 MD 과정 중 3개 트랙 이수시 연계 전공(복수학위) 인정

- 각각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은 문화예술융합 CORE교과목 총 13학점 이수

(트랙별 워크숍 교과목(4학점) 필수 포함하여 이수)

마. 교육과정

문화예술융합 MD

교육과정 운영 방향

문화예술

콘텐츠기획

C트랙

문학, 웹툰,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방송, 공연, 음원 등 각종 문화예술 콘텐츠의 원천소스이자 근간인 스토리텔링의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콘텐츠 기획을 통해 문화예술 산업의 토대 강화

문화예술

창작제작

P트랙

스토리를 소설,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영화, 게임, 미디어아트 등 콘텐츠 창작·제작 플랫폼 위에서 구현함으로써 문화예술 콘텐츠와 상품으로 만들고, 이를 통해 스토리의 가치를 높임

문화예술

유통배급

N트랙

콘텐츠 창작·제작 플랫폼 위에서 구현된 문화예술 콘텐츠와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유통·배급 경로를 구축, 관리함으로써 문화예술 콘텐츠의 이용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응용분야를 창출

문화예술

디지털공학

D트랙

문화예술 콘텐츠와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개발하거나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디바이스 기술을 개발

바. 이수인정 기준

1) 선택 트랙 교과목 13학점 이수 시 전공 마이크로디그리(MD) 수여

2) 이수자에게는 전공 마이크로디그리 이수증을 발급

3) C.P.N.D. 4개 트랙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중 3개 과정(39학점)을 이수한 경우 융합학사학위를 수 여함. 따라서 해당 학생은 기존 전공에 대한 학위와 함께 복수학위를 취득하게 됨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사. 문화예술융합 전공 마이크로디그리(MD) 개설과목

전공 MD

교과목명

교수명

개설학기

문화예술

콘텐츠기획

C트랙

현대문화예술

콘텐츠

장수경

1, 2

문화예술

크리에이티브

마인드

문윤수

1, 2

한글문화유산과

스토리텔링

신지연

1, 2

창의적발상과

표현워크숍

오연희

1, 2

문화예술창작

P트랙

몸으로 표현하는

감성&스토리

백훈기

1, 2

문화예술창작·

제작워크숍

김영교

1, 2

영상제작실험

하지욱

1, 2

음원제작실험

장영수

1, 2

문화예술

유통 및 배급

N트랙

문화예술인을

위한 저작권

양대승

1, 2

콘텐츠비즈니스

염동섭

1, 2

문화콘텐츠

기획실습

김은희

1, 2

문화예술

유통워크숍

고완선

1, 2

문화예술

디지털공학

D트랙

미디어아트

융합체험

강현욱

1, 2

빅인텔리전스와

세계의문학들

한상철

1, 2

ACA Photoshop 특강

(마이크로 콘텐츠)

현승훈

2

문화예술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특전우수 이수자에게는 해외연수 프로그램의 기회 부여

자신의 전공과 더불어 문화예술융합전공자도 되고 해외연수도 가고 장학금도 받는

무려 1석4조의 기회! 놓치지 마세요!

5.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

가. 개설목적

교양교육 학위과정으로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를 개설 및 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 문화예술 분야의 혁신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함.

나. 교육과정

구분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

내용

아트커뮤니케이션 교과로 지정된 교양교과목 이수

이수학점

39학점 (Bridge체험교양 9학점 포함)

Bridge교과목

예술 관련 체험 교과목 중 아트커뮤니케이션 Bridge 체험 교양으로 지정된 교과목 9학점까지 인정

- Bridge체험교과목? 기존 체험교양교과목 중 아트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예술체험교과목으로, 최대 9학점까지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 학점으로 인정.

다. 이수인정 기준

1) 아트커뮤니케이션 교과목 39학점 이상 이수 (Bridge 체험교양은 최대 9학점까지 인정)

2) 이수자에게는 졸업증명서에 관련사항을 표기하고 아트커뮤니케이션학사학위를 수여할 수 있음. 따라서 해당 학생은 기존 전공에 대한 학위와 함께 복수학위를 취득하게 됨. (단, 기존 전공의 졸업학점 요건은 변동없음)

제1전공과 상관없이 학부 재학생이면 누구나 이수 가능!

별도 신청서 필요없이, 해당 과정의 교과목들 이수 시 자동 이수

※ 2020학년도 이전 이수교과 소급 적용

마.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 개설과목

교과목명

이수구분

드라마연극으로만나는심리치료

교선

마임을통한마음의힐링

교선

미술치료이론과실제

교선

보드게임소통하기

교선

보드게임이해와활용

교선

색채심리컬러테라피

교선

성격심리학

교선

소통하는표현예술워크샵

교선

영상영화심리상담

교선

예술체험을통해이해하는정신분석학

교선

예술치료이론기초

교선

체험을통해학습하는놀이치료

교선

표현예술심리치료

교선

예술과함께하는세계속이야기

교선

감성커뮤니케이션

교선

놀이로소통하는미디어아트커뮤니케이션

교선

미디어언어로세상읽기

교선

장르영화로보는인간심리

교핵

대중문화로배우는성과사랑이야기

교선

일상과예술

교선

문화커뮤니케이터+자기설계

교선

마음을열어주는그림책제작의기초

교선

바. Bridge 체험 교양 개설과목

교과목명

이수구분

비고

가야금과현대의소통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감성디자인캘리그라피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고전영화느리게보기

교선

기초드로잉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누구나쉽게배우는유튜브창작실습

교선

드럼연주를통한음악의이해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레드바이올린

교선

말하기와의사소통

교핵

연출프로젝트(구 무대연기’)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디지털콘텐츠게임

교선

미술과창의-인성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미술의이해와감상

교핵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미술체험과소통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민속과함께하는놀이인문학

교선

상상충전감성디자인

교선

생생통통리더십개발

교선

세상을움직이는IT

교핵

소통-자연을읽다그리고담다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신나는사물놀이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신나는사물놀이2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연극체험-신체활동과인간심리

교선

음악과미술마주보기

교선

축제문화의이해와축제기획

교선

춤이야기

교선

음대학생 수강불가

카메라와 함께 천천히걷기

교선

통기타연주를통한음악의이해

교선

음악관련학과 수강불가

판화-나만의작품만들기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한국전통문화의 이해와 체험

교선

한국화쉽게그리기

교선

화가의달콤한미술체험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힐링아트드로잉

교선

미술관련학과 수강불가

졸업학점 (교양 과목) 채우고, 복수전공 학위도 얻어가자!

아트커뮤니케이션 교양 학위 이수자 특전우수 이수자에게는 장학금 지급 예정

6. 토픽러닝(Topic Learning)_주제중심통합교육과정

가. 개설목적

티칭이 아닌 코칭기반 학생주도형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 뿐만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을 증진시킴

학기 학년에 제약 없이 누구나, 언제든, 장소제약 없이 교양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 코칭기반 주제중심통합교육과정인 토픽러닝(Topic Learning) 과정 마련

나. 운영방식

다. 교육과정

OT 필수 참여. 필수 학습 내용(온라인 강의, 코칭, 팀별 활동 등)에 대해서 OT시 안내

- 하나의 주제당 2학점이며 수강은 사전에 구성된 3~5인의 팀 단위로 진행

(단, 수강신청은 개인별로 진행 / 2인 이하 수강신청된 주제는 개설 불가)

- 2020-1학기 시범운영 기간에는 학기당 1개 프로젝트만 수강신청 가능

라. 토픽러닝(Topic Learning) 개설과목_주제학습

토픽러닝(Topic Learning)_주제학습

이수구분

교과목명_주제명

교선

(2학점)

융복합형공연예술영상콘텐츠제작

패션트렌드와스타일링

예술의이해를통한지역문화콘텐츠개발

충청권문화예술교육지도개발

지역리서치기반예술교육

스토리텔링을통한대전의창조적이미지

K-Classic창작공연

예술축제기획프로젝트

토픽러닝 이수자 특전프로젝트별로 각 1팀에게 장학금 수혜 기회를 부여, 프로젝트 종료 후 심사를 통해 팀당 최대 100만원까지 장학금 지원할 예정

우리가 목원대학교를 다녀야하는 이유!

#목원팁 목원대학생만 누릴 수 있는 기회! 수업도 듣고 장학금도 받아가세요!!

비교과 프로그램 일정 안

No

주관부서

프로그램 명

내용

일 정

마일리지 점수

시상금

기념품

1

스톡스

대학

리딩목원

추천도서를 읽고 인증시험을 통해 마일리지를 적립, 관련교과 수강, 도서대여, 도서관 행사 참여 등을 통해서도 마일리지 적립 가능

연중

11월 인증시험

12월(우수학생선발)

연간 최대 5,000점

(다양한활동

통해적립가능)

200만

2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글쓰기클리닉

재학생을 위한 글쓰기 첨삭 프로그램

9월 7일 ~

12월 11일

-

-

3

말하기클리닉

재학생을 위한 말하기 코칭 프로그램

9월 7일~

12월 11일

-

-

4

영어클리닉

재학생을 위한 영어클리닉 첨삭지도 프로그램

9월 7일 ~

12월 11일

-

-

5

토론튜터링

토론 튜터링 운영 매뉴얼을 개발하여 튜터링 교육의 표준화 실현

9월 7일 ~

12월 11일

-

-

6

기초영어튜터링

교양영어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상시 운영을 통한 학생들의 기초영어 능력 향상에 기여

9월 7일 ~

12월 11일

-

-

7

스톡스토론대회

융복합 주제의 토론대회를 통해 학생들의 말하기·글쓰기 능력을 함양

11월 중

-

-

8

학술

정보과

도서관 좋아요

(도서관 이용교육)

도서관 제공 콘텐츠, 시설 등 이용법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능력 강화

3월 ~ 4월,

9월 ~ 10

봄인증

2점

참여자 선별 기념품 증정

9

독서토론 나눔

지도교수와 함께 책을 읽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독서토론의 장

(학기당 3권의 책, 토론 진행)

4월 ~ 6월,

10월 ~ 12

봄인증

18점

토론 책, 도시락 증정

10

빨간우체통

감명깊게 읽은 책, 선물하고 싶은 책을 사연을 적어 우체통에 쏙~ 도서관에서 그 대상자에게 해당 책을 선물로 보내주는 프로그램

학기 중 상시

봄인증

2점

-

11

학생상담센터

맞춤형 상담심리진로특강

학과별 맞춤형 진로 특강 진행

9월 ~ 12

-

-

12

또래상담 심화/보수 프로그램

또래상담자 양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

9월 ~ 12

-

-

13

학생진로개발 공모전

학생상담센터에서 주관하는 진로 및 상담 프로그램에서 참여한 학생 대상으로 참여후기 공모전 진행

9월 ~ 12

-

150만

14

학생진로개발 캠프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자기이해를 높이고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도움

1월 ~ 2

-

-

15

학생맞춤&성장형 다차원 역량 강화

예체능 분야에 재학중인 학생들에게 진로설계에 대한 로드맵 제공

9월 ~ 12

-

-

16

생명보듬이

(자살예방) 교육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기구)의 자살예방 기능 강화

9월 ~ 12

-

-

17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예방교육

'위험최소화, 기회 최대화' 를 위한 스마트폰 바른 사용 기회 확산

9월 ~ 12

-

-

18

폭력예방교육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성문제에 대한 인식개선 및 예방교육

9월 ~ 12

-

-

19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기이해와 진로 적성 탐색을 통한 진로 집단프로그램

10월 ~ 11

-

-

20

대학교육개발원

다차원 통합활동 동고동락

학생 소그룹 자율적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9월 ~ 11

(8주)

봄인증

40점

예산 범위 내에서 조율

21

학생 맞춤형 학습코칭

학습적 동기유발을 위한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

(ASEBA, U&I, MLST 검사)

8월 ~ 12

봄인증

4점

22

열!정! 프로젝트 멘토링

학사경고자, 학업부진자, 성적차상위를 위한 맞춤형 1:1멘토링프로그램

9월 ~ 11

(8주)

봄인증

40점

23

학업적응계층 대상 멘토링

편입생, 전과생, 복수전공자들을 위한 맞춤형 1:! 멘토링 프로그램

9월 ~ 11

(8주)

봄인증

40점

24

M-학습리더스

학습우수군 학생 대상 토론 활동 모임 프로그램

9월 ~ 11

(6주)

봄인증

20점

25

학습위험군 대상 맞춤형 동기 유발 워크숍

학습위험군(학사경고자) 특별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동계방학 중

-

26

DIY 오픈콘텐츠

통합 공모전

실시간 PT 경진대회

프레젠테이션 전략을 평가하는 교내 공모전

11월 중

봄인증

10점

27

DIY 오픈콘텐츠

통합 공모전

학습법 콘텐츠 공모전

/ 사이버 우수체험 수기 공모전

학습전략을 기술한 보고서를 평가하는 교내 공모전

11월 중

봄인증

10점

28

더 친절한 학생 교육프로그램

학습자 중심 맞춤형 학습지원 교육과정 프로그램

9월 ~ 11

봄인증

4점

-

29

교육강좌 배달서비스 에듀GO

맞춤형 학습법 강좌 배달 프로그램

9월 ~ 11

봄인증

5점

-

30

신입생을 위한 전공 동기유발 주간

신입생 대상 학과 및 학업 적응 독려 프로그램

10월 ~ 11

-

-

31

지역 문화예술 연계 체험활동

특성화 학과 중심의 지역 문화예술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9월 ~ 10

-

-

32

Q+클래스 2.0

학생 수준별 학습설계를 바탕으로 심화 학습 및 보충학습 프로그램

학기 중

봄인증

20점

-

공학계열 대상 공학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한 협동 학습 프로그램

33

목원 디딤돌

학기 중

봄인증

10점

-

7. 2020-2학기 수업시간표

구분

교시

시간

1교시

09:00-09:50

2교시

10:00-10:50

3교시

11:00-11:50

4교시

12:00-12:50

5교시

13:00-13:50

6교시

14:00-14:50

7교시

15:00-15:50

8교시

16:00-16:50

9교시

17:00-17:50

10교시

(야간채플)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