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공표 | |||||
통계법 제27조(통계의 공표)에 따라 『2024년 SW기술자 임금실태조사 (통계승인 제375001호)』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SW기술자 평균임금을 공표합니다. | |||||
【SW기술자 평균임금】 | |||||
(단위: 원) | |||||
구 분 | 월평균임금(M/M) | 일평균임금 (M/D) |
시간평균임금(M/H) | 포함직무 | |
① IT기획자 | 11,597,656 | 562,993 | 70,374 | ||
② IT컨설턴트 | 9,706,020 | 471,166 | 58,896 | 정보보호컨설턴트 | |
③ 업무분석가 | 8,997,359 | 436,765 | 54,596 | ||
④ 데이터분석가 | 7,751,183 | 376,271 | 47,034 | ||
⑤ IT PM | 9,145,473 | 443,955 | 55,494 | ||
⑥ IT아키텍트 | 10,147,745 | 492,609 | 61,576 | SW아키텍트, 데이터아키텍트, Infrastructure아키텍트, 데이터베이스아키텍트 |
|
⑦ UI/UX기획/개발자 | 6,727,260 | 326,566 | 40,821 | UI/UX기획자, UI/UX개발자 | |
⑧ UI/UX디자이너 | 5,176,203 | 251,272 | 31,409 | ||
⑨ 응용SW개발자 | 6,943,457 | 337,061 | 42,133 | 빅데이터개발자, 인공지능개발자 |
|
⑩ 시스템SW개발자 | 6,099,042 | 296,070 | 37,009 | 임베디드SW개발자 | |
⑪ 정보시스템운용자 | 10,154,626 | 492,943 | 61,618 | 데이터베이스운용자, NW엔지니어, IT시스템운용자 | |
⑫ IT지원기술자 | 5,058,021 | 245,535 | 30,692 | ||
⑬ IT마케터 | 11,056,617 | 536,729 | 67,091 | SW제품기획자, IT서비스기획자, IT기술영업 | |
⑭ IT품질관리자 | 9,692,094 | 470,490 | 58,811 | ||
⑮ IT테스터 | 3,570,557 | 173,328 | 21,666 | ||
⑯ IT감리 | 10,351,376 | 502,494 | 62,812 | ||
⑰ 정보보안전문가 | 9,857,100 | 478,500 | 59,813 | 정보보호관리자, 침해사고대응전문가 |
|
<본 평균임금을 SW사업대가 활용시 유의사항> ※ 본 조사결과는 SW사업에서 SW기술자 인건비 평균 값임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하며, 수·발주자간 자율적 협의에 의해서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음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소프트웨어진흥법 제46조(적정 대가 지급 등) 4항 ‘소프트웨어기술자의 인건비 기준’을 지칭함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기본급, 제수당, 상여금, 퇴직급여충당금, 법인부담금(4대보험)을 모두 포함한 결과임 * 일평균임금은 월평균임금÷`24년 평균근무일수(20.6일), 시간평균임금은 일평균임금÷8시간 으로 각각 산정함 * 월평균 근무일수는 휴일, 법정공휴일 등을 제외한 업체가 응답한 근무일의 평균이며, 이는 개인의 휴가 사용 여부와는 무관함 * SW기술자 평균임금은 전년 대비 4.2% 증가함 * 25/75 백분위수는 조사된 직무별 임금의 구간, 분포에 대한 참고 값임(백분위수 : 백분위수는 크기가 있는 값들로 이뤄진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백분율로 나타낸 특정 위치의 값을 이르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여 가장 작은 것을 0, 가장 큰 것을 100으로 한다.) |
|||||
[시행일] 2025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적용 | |||||
2024년 12월 3일 |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
【2025년 적용 SW기술자 평균임금 사분위 값】 | |||
(단위: 원) | |||
구 분 | 25백분위수 (M/D) | 75백분위수 (M/D) | 평균임금 (M/D) |
① IT기획자 | 382,762 | 861,867 | 562,993 |
② IT컨설턴트 | 245,906 | 536,687 | 471,166 |
③ 업무분석가 | 393,290 | 484,501 | 436,765 |
④ 데이터분석가 | 286,364 | 473,463 | 376,271 |
⑤ IT PM | 325,796 | 596,003 | 443,955 |
⑥ IT아키텍트 | 352,792 | 576,762 | 492,609 |
⑦ UI/UX기획/개발자 | 203,098 | 412,481 | 326,566 |
⑧ UI/UX디자이너 | 166,546 | 407,614 | 251,272 |
⑨ 응용SW개발자 | 219,087 | 449,024 | 337,061 |
⑩ 시스템SW개발자 | 198,151 | 350,864 | 296,070 |
⑪ 정보시스템운용자 | 283,779 | 783,171 | 492,943 |
⑫ IT지원기술자 | 171,544 | 282,867 | 245,535 |
⑬ IT마케터 | 345,896 | 768,806 | 536,729 |
⑭ IT품질관리자 | 340,542 | 611,823 | 470,490 |
⑮ IT테스터 | 140,339 | 189,811 | 173,328 |
⑯ IT감리 | 439,246 | 551,942 | 502,494 |
⑰ 정보보안전문가 | 337,176 | 538,271 | 478,500 |
※본 조사결과는 SW사업에서 SW기술자 임금 평균 값임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하며, 수·발주자간 자율적 협의에 의해서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음 | |||
※ 25/75 백분위수는 조사된 직무별 임금의 구간, 분포에 대한 참고 값임 (백분위수 : 백분위수는 크기가 있는 값들로 이뤄진 자료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백분율로 나타낸 특정 위치의 값을 이르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여 가장 작은 것을 0, 가장 큰 것을 100으로 한다.) |
|||
※ 일 임금 = 월 임금 ÷ 20.6(일), 시간 임금 = 일 임금 ÷ 8(시간) |
ITSQF 직무체계 및 정의 | |||||
번호 | 직종 | 조사용 직무 | ITSQF 직무 | 직무 정의 | 유관직업 예시 |
1 | IT컨설팅 및 기획 | IT기획자 | 정보기술기획 | 조직의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IT전략을 기획하고, 거버넌스, 투자성과분석, 운영 정책, R&D, 프로세스, 아키텍처 등 분야 별 전략을 수립하는 일이다. | IT기획, IT 인프라기획, IT전략 |
2 | IT컨설턴트 | 정보기술컨설팅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시각에서 조직 경영 환경을 이해하고 대상 업무 및 정보시스템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지도, 자문 및 상담을 수행하는 일이다. | IT컨설턴트, IS컨설턴트 | |
정보보호컨설팅 |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영역의 보안 요구사항과 사전 정의된 프로세스에 대해 객관적인 충족여부를 검증하고 자문하는 일이다. | 정보보호컨설턴트, 보안 컨설팅, 정보보호컨설팅 컨설턴트 |
|||
3 | 업무분석가 | 업무분석 | 조직의 비전과 목표, 구조, 정책 등의 이해를 바탕으로 업무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분석1)하여, 목적에 부합하는 대응전략 수립하는 일이다. | 업무분석가, 비즈니스분석가 | |
*타 직무에서 수행하는 분석, 설계 업무의 혼선 방지를 위해 아래의 주석을 표시함 1)분석 : 조직 내·외부의 경영 환경에 영향을 주는 고객과 경쟁기업, 산업동향, 내부 역량을 분석하는 능력 |
|||||
4 | 데이터분석가 | 데이터분석 | 데이터 이해 및 처리 기술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업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프로세스 혁신 및 마케팅 전략 결정 등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일이다. |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최고책임자(CDO), Search Developer, Data Scientist(과학자), 데이터 분석 전문가, Data Analysis,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분석/컨설팅, 금융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 및 가공, 빅데이터 처리-분석 |
|
5 | IT프로젝트관리 | IT PM | IT프로젝트관리 | IT프로젝트 인도물의 납기 준수를 위하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범위, 일정, 원가, 인적자원, 품질, 위험, 의사소통, 조달, 변경, 보안, 정보시스템 성과 등을 통합 관리하는 일이다. | IT PM, Agile Coach, 프로젝트 관리, PL, PM(Project Manager) |
6 | IT아키텍처 | IT아키텍트 | SW아키텍처 | SW의 기능, 성능, 보안 등의 품질을 보장하고 SW를 구성하는 요소와 관계를 분석, 설계하여 전체적인 SW 구조를 체계화하는 일이다. | SW 아키텍트, 솔루션 아키텍트, 웹 아키텍트, 어플리케이션 아키텍트 |
Infrastructure | 하드웨어, 미들웨어, 네트워크,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인프라를 설계, 구성하여 모든 지원들의 적합성 및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일이다. | Infrastructure아키텍트, 네트워크 아키텍트, 시스템 아키텍트, 테크니컬 아키텍트, 클라우드 시스템 엔지니어, 퍼블릭 클라우드 아키텍트 |
|||
데이터아키텍처 | 데이터를 구조적 관점에서 설계, 생성, 배치, 관리하며, 다양한 데이터 엔터티뿐만 아니라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데이터가 저장, 소비, 통합 및 관리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일이다. | 데이터 아키텍트, 데이터 모델러, 데이터베이스 설계자, 데이터베이스 아키텍트, 데이터 설계자, DW설계자, 빅데이터아키텍트, 데이터 기술자, 데이터 전략 수립 담당자 |
|||
7 | SW개발 | UI/UX 기획/개발 |
UI/UX기획 | 서비스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트렌드 분석, 사용자 이용 행태 분석 등을 통해 이해관계자 및 사용자의 요구를 발굴하고 사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UI/UX를 설계 및 검증하여 서비스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최적화 된 UI를 제공하는 일이다. | UI/UX 기획자, UI/UX분석가, 웹기획자, App 기획자, 모바일 앱서비스 기획자 |
UI/UX개발 | 사용자의 이용형태 및 기술환경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UX)의 기획 및 아키텍처를 구축하고, 프로토타입 검증, 설계 및 구현 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UI/UX를 개발하는 일이다. | UI/UX 개발자, 웹퍼블리셔, 퍼블리셔&프론트 개발자, Web&Mobile 퍼블리싱, 홈페이지 웹 퍼블리싱 |
|||
8 | UI/UX 디자인 |
UI/UX디자인 | UI/UX 디자인의 매체별 트렌드,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해 디자인 전략 및 콘셉트를 도출하고 UI 디자인 요소를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시각화하여 사용자 요구를 검증하고 매체별 최적화된 디자인과 사용성을 제공하는 일이다. | UI/UX 디자이너, 웹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웹콘텐츠 디자이너, UI/UX 설계 |
|
9 | 응용SW개발자 | 응용SW개발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응용소프트웨어의 분석1), 설계2), 구현 및 테스트, 배포 등을 통해 제품의 기능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일이다. | 응용SW 분석가, 응용SW 설계자, 모바일 개발자, 모바일 앱 개발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웹 개발자, 빅데이터 개발자, 인공지능 SW개발자, 하둡기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프론트엔드 개발, 프레임워크/미들웨어/응용 SW개발, 파이썬 웹 서버 개발자, 파이썬 기반 데이터 처리,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클라이언트 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개발, 정보시스템 개발/운영, 전산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엔지니어,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개발, 웹사이트 유지보수/개발, 웹사이트 서비스 개발, 웹 프론트 개발, 웹 프로그램 유지보수 및 개발, 웹 백엔드 개발, 영상통화 서버 개발, 에너지 데이터 분석 및 개발, 안드로이드 개발자, 솔루션개발 및 구축, 솔루션 엔지니어, 솔루션 개발(웹 개발), 솔루션 개발(서버 개발), 소프트웨어 공학 엔지니어, 서비스 Server 개발, 사업화연계연구개발자, 빅데이터 플랫폼 및 JAVA 개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개발, 뱅킹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백엔드 테크니컬 프로그래머, 백엔드 웹 개발, 백엔드 시스템 개발, 백엔드 개발자,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모바일 프론트 엔드 개발, 모바일 채널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머신러닝 엔지니어, 메시징 솔루션 개발, 딥러닝/컴퓨터 비전 개발, 딥러닝 응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딥러닝 연구 개발, 딥러닝 네트워크 모델 및 자체 프레임워크 개발, 데브옵스 개발, 금융IT 서비스 개발 및 운영, 검색 서비스 개발, Web Developer, VR/AR 개발, VB 개발자, VAN서비스개발, SW 개발 및 배포, Software Developer, SM 운영 유지보수, SDK 개발자, SAP ERP 구축/운영, Salesforce 개발, RPA 개발, REACT 개발, PYTHON 개발, PHP 웹 개발자, PHP 백엔드 개발자, PHP 및 JAVA 개발, LMS웹사이트 개발(ASP, ASP.net), Javascript Developer, JAVA/JSP 개발, JAVA 웹프로그래머, JAVA 웹개발자, IoT 플랫폼 개발, JAVA 서버/프런트 개발, JAVA 서버/웹 개발, JAVA 개발자, JAVA 개발 및 유지보수, JAVA WEB/Mobile 개발자, Java jsp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 IOS앱 개발, IOS, Android 개발, iOS Developer, Front-End 개발자, Front-end Developer, Framework 개발, ERP시스템 개발, ERP 개발 및 유지보수, DW Data Engineer, DevOps 개발, Developer, Deep Learning R&D Engineer, Data Platform Engineer, CRM 솔루션 개발, Cloud 개발, C#/ASP.NET/MVC/JAVA 개발, C# 개발자, Backend Developer, APP 서버개발, Android Developer, AI기반 개인화 추천 시스템 개발 AI 솔루션 연구개발, AI 딥러닝, 머신러닝 개발, AI 기획 및 개발, AI SW/Dataset 개발, AI Platform Engineer, .NET, C3, ASP.NET 개발 |
|
*타 직무에서 수행하는 분석, 설계 업무의 혼선 방지를 위해 아래의 주석을 표시함 1)분석 : 구현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도출, 분석, 명세화 및 요구사항 검증을 수행하는 능력 2)설계 : 요구사항 확인을 통한 상세분석 결과, SW아키텍쳐 가이드라인 및 SW 아키텍처 산출물에 의거하여 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수행하기 위해 공통 모듈 설계, 타 시스템 연동에 대하여 상세 설계하는 능력 |
|||||
10 | SW개발 | 시스템SW개발자 | 시스템SW개발 | 운영체제 환경에서 시스템 자원을 제어 및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와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플랫폼의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구현, 배포를 수행하는 일이다. | 시스템SW개발자, 시스템SW분석가, 시스템SW설계자, OS개발자, 시스템 프로그래머 |
임베디드SW개발 | 하드웨어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플랫폼별 운영체제 이식과 펌웨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등의 SW를 개발하고, 하드웨어 플랫폼 최적화를 수행하는 일이다. | 임베디드SW개발자, 임베디드SW분석가, 임베디드SW설계자, 펌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HW & 펌웨어 개발, STM32/PIC계열 등 관련 MCU개발, 인버터 펌웨어 개발, 시스템 제어 사양 개발, SW 개발(Device Driver), Embedded OS기반 응용 SW개발, SoC 플랫폼 개발 |
|||
11 | 시스템 구축 | 정보시스템 운용자 |
데이터베이스관리 | 데이터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구축, 전환하고, 최적의 성능과 품질을 확보하도록 추이분석 등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개선, 백업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일이다. | 데이터베이스 운용자, MSSQL DBA, DBA, 클라우드/DB 관리자, 데이터 엔지니어 |
NW엔지니어링 | 네트워크 환경을 분석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토폴로지, 자원관리, 품질 관리를 설계하고 구성하는 일이다. | NW 엔지니어, NW 구축, NW시스템분석가, NW시스템설계자, NW시스템개발자 |
|||
IT시스템관리 | 시스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클라우드와 가상화, 시스템과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자원의 HW, SW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 운영, 관리하여 안정적 컴퓨팅 인프라 및 정보시스템의 운용을 담당하는 일이다. | IT시스템 운용자, NW운용자, 서버운용자, 웹마스터, 웹 운용자, 정보보안관제원, IS운용자, 빅데이터엔지니어, 서버/스토리지/시스템 운영 SA, 미들웨어 운영 SA, 가상화 서버 운영 SA, 시스템 관제 운영, 시스템 엔지니어, 전산시스템 운영 및 개발, Linux/Windows 시스템운영,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 클라우드 보안 운영, 빅데이터 플랫폼 엔지니어, VDI 구축/운영, Linux 구축/운영, 인프라담당자, System Engineering Specialist, 시스템 운영 모니터링, 인프라 운영, 미들웨어 운영, 네트워크 운영, 보안관제, 서버/스토리지 Infrastructure 관리, 네트워크 관리, Cloud 시스템 구축/운영, IT-네트워크 운영, 리눅스 엔지니어, 플랫폼 운영, IDC 운영/관리, 서버 엔지니어, 리눅스 구축 및 기술개발, IT 인프라 관리, 시스템 유지보수, 메일/메신저 서버 운영, 클라우드 시스템 운영, MES 시스템 운영 |
|||
12 | IT지원기술자 | IT시스템기술지원 | 정보기술 인프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컴퓨터 하드웨어,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가상화, 네트워크 등 IT자원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과 장애처리를 지원하며 시스템 개선 및 정기점검 등을 통해 안정적인 컴퓨팅 인프라 운영을 지원하는 일이다. | 기술지원 엔지니어, IT지원 기술자, 시스템 유지관리 지원기술자, IT헬프데스크 운용자 | |
13 | IT마케팅 | IT마케터 | SW제품기획 | 기업의 경영전략을 바탕으로, SW 활용분야에 대한 기업 내/외부 환경, 요구 기술, 시장성 등을 분석하여 제품 전략을 수립하고, SW제품의 개발, 지원, 판매, 마케팅 계획을 수립, 운용하는 일이다. | SW제품 기획자, SW솔루션 기획자, Product Designer, Product Manager, Platform 기획 |
IT서비스기획 | 정보기술 환경 분석을 통해 고객과 시장의 니즈에 맞는 IT서비스를 발굴하고, 제품 및 솔루션 융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는 일이다. | IT서비스 기획자, 웹서비스 기획자, 모바일서비스 기획, 온라인서비스기획, 디지털서비스 기획 | |||
IT기술영업 | 정보기술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 관리 및 영업 전략을 수립, 사업기회를 창출하고 요구사항에 적합한 솔루션 제안으로 협상, 계약, 판매 및 사후 관리 등 IT 영업을 수행하는 일이다. | IT기술영업, IT솔루션영업, 소프트웨어 영업, 의료용 디지털 솔루션 영업, 기술영업 |
|||
14 | IT품질관리 | IT품질관리자 | IT품질관리 | IT품질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사적인 품질정책 및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품질향상을 위해 교육 및 관리활동 등을 수행하며, 프로젝트 차원에서의 품질보증 활동을 수행하는 일이다. | IT품질관리자, 데이터품질관리자, QA(Quality Assurance), QC(Quality Control), 품질관리(QAM), 게임QA, QA Engineer, 제품 QA, 모바일 QA, 개발 및 라이브 QA, 백엔드 QA |
15 | IT테스터 | IT테스트 | 테스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획, 진단 컨설팅, 계획, 환경구축, 실행, 결함관리, 문서화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일이다. | IT테스터, SW테스터, Test Case 개발, 소프트웨어 테스트 엔지니어 |
|
16 | IT감리 | IT감리 | 감리발주자 및 피감리원의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자가 정보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자의 관점에서 정보시스템의 기획, 구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이 개선 되도록 시정조치사항을 도출하고 확인 하는 일이다. | IT감리원, IT감리사, IS감리원 | |
17 | 정보보호 | 정보보안전문가 | 정보보호관리 | 조직의 비전과 미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보안정책울 수립하고 관련 법제도 준수, 보호관리 활동을 수행하며, 위험관리에 기반한 정보보호 대책을 도출하여 실행토록 관리하는 일이다 | 정보보호 관리자, 정보보호 전문가, 보안관리, 보안기술 기획, 보안관제 기획, 보안운영, 정보보안, 정보보호 |
보안사고대응 | 침해사고의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위협정보를 탐지하고, 시스템 복구와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일과 업무 및 서비스에 영향을 준 증거를 확보 후 분석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일이다. | 침해사고 대응전문가,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모의해킹전문가, 정보보호 진단분석원, IT security Engineer, 보안진단, CERT, 취약점/약성코드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