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5. 15.
구제역, AI 등 악성가축 전염병 예방을 위한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의 기능과 역할
 
     1. 기관 개요
2. 연 혁
3. 주요사업
4. 조직 및 인력
일 반 현 황
2
 
     기관 개요
▣ 기관 구분 : 기타 공공기관
▣ 주무 부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 방역총괄과 
▣ 설립 근거 : 가축전염병예방법 제9조
▣ 예산 구조 
   - 운영비 : 국비 100%(축발기금)  
- 인건비[공무직) : 국비 60% + 지방비 40%
3
 
     연 혁
▣ (사)돼지콜레라박멸비상대책본부 설립 (`99)
▣ (특)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설립 (`03)
▣ 포유류 도축검사 지원 업무 수임 [`05)
▣ 정부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 (`07)
▣ 수입식용축산물 검역검사업무 수임 (`09)
▣ 전화예찰 신고상담 콜센터 운영 (`11)
▣ 가금류 도축검사업무 수임 (`14)
▣ 농가 DB 현행화(`15) 및 축산업 허가제 사후관리 (`16)
 
     주요사업 및 위임근거
▣ 주요사업
 주요 가축전염병 검사시료 채취 및 농장예찰(방역사)
 도축장에서의 축산물 위생검사(검사원)
 검역시행장의 수입축산물에 대한 현물검사(관리수의사)
 질병예찰 및 신고·상담 콜센터(전화예찰요원)
▣ 위임근거
 가축전염병예방법 제55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4조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 등
5
 
     조직 및 인력
계
상임
이사
일반직
공무직((무기계약직)
계
방역직
위생직
검역직
유통직
740
1
48
691
291
336
60
4
6
 
     연도별 예산현황
사업명
연도별 예산
’15년
’16년
’17년
합
계
46,584,667
49,819,133
52,072,965
가축위생방역지원
30,098,000
29,689,133
30,952,800
가축질병근절
4,610,000
4,543,000
4,543,000
도축검사운영지원
11,688,667
15,395,000
16,380,333
유통이력제
188,000
192,000
196,832
※ 방역·위생직의 인건비 : 국비(축발기금) 60%, 지방비(시ㆍ도) 40%
(단위
: 천원)
 
     1. 가축방역사업
2. 축산물위생사업
3. 수입식용축산물 검역사업
4. 질병 예찰 및 신고·상담 콜센터
5. 교육 및 홍보
주 요 추 진 사 업
’
 
     9
 주요가축전염병(구제역, 소브루셀라병, 돼지오제스키병,
돼지열병, 닭뉴캣슬병) 조기발견을 위한 시료채취
 농장의 방역실태점검 및 질병의 조기검색을 위한 농장예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가금류ㆍ야생조류의
분변ㆍ혈액등 시료의 채취 및 검사의뢰 상시 운영
 축산농가 DB 현행화 및 고도화(위치 및 사진 등록)
 축산업허가제 관련 농가 사후관리(시설 및 인허가 확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임ㆍ위탁 받은 사업
1. 가축방역사업
9
 
     ㅇ구제역 : 방역기관 선정, 농가당 4두 
ㅇ소브루셀라 검진 : 신청농가, 신청두수 
ㅇ결핵검진(r-인터페론) : 브루셀라 중 무작위 
소
농 장
시료채취
ㅇ구제역 : 방역기관 선정, 농가당 8두 
ㅇ돼지열병 : 연 2회, 농가당 18두 
ㅇ돼지오제스키병 : 연 2회, 농가당 12두 
ㅇ신종플루 A : 비강 Swab 
돼지
ㅇ구제역 : 방역기관 선정, 농가당 4두
염소
닭
(오리 등)
ㅇ닭 뉴캣슬병 : 연 1회, 계군당 20~30수 
ㅇAI 상시예찰 : 인후두ㆍ비강 Swab, 혈액, 분변 등 
예찰실시
보고서
ㅇ농장 예찰과정에서 이상증상 확인시 시료채취 
  (분변, 환축, 폐사축, 산후부산물, 타액, 백신 등) 
가축방역사업 계획 및 실시요령
(가축질병 근절사업, AI 상시예찰)
10
 
     초동방역팀 투입ㆍ운영
 목 적 : 구제역ㆍAI 등 악성 가축전염병 의사환축 발생즉시  
             해당농장의 가축ㆍ차량 등의 이동을 통제하고 차단 
             방역을 실시하여 확산방지 및 조기종식에 기여 
 투입요청 : 농식품부장관, 시ㆍ도지사, 시장ㆍ군수 
 투입인원 : 2~3명(상황에 따라 1인 운영도 가능) 
 투입기간 : 의심축 신고 ~ 살처분ㆍ매몰 및 사후처리 완료 
11
 
     12
 축산물 위생검사 보조 및 검사결과 농가피드백
 전국 120개 도축장(소,돼지,닭,오리)에서 해체검사 및 지육검사
 BSE검사 시료채취 및 미생물, 잔류물질검사 등 실험실 업무수행
 해체검사 중 발견된 병변내역을 축산농가에
2. 축산물위생사업
12
 
     13
 검역시행장의 수입축산물에 대한 현물검사
 전국 66개 검역시행장에서의 수입식용 축산물에 대한 현물검사
 검역시행장의 입고ㆍ출고, 이동 및 소독 업무 지도
 검역시행장 종사원 및 관계인의 방역교육과 출입자 통제
3. 수입식용축산물 검역
13
 
     4. 질병 예찰 및 신고·상담 콜센터
 목 적 : 가축전염병 조기검색 및 확산방지체계 구축 
 인 원 : 전국 300명(전문상담요원 40명) 
 대 상 : 전국 135천호(월 2회) 
 내 용 
 농가에 가축임상증상 등 검색, 의심축 접수 및 상담 
 축산정책 및 가축방역 정책 등 홍보(농식품부, 지자체 등) 
 농장 기본정보관리(DB) 현행화 및 고도화 
14
 
     15
 가축전염병예방을 위한 농가 교육 및 홍보
 가축전염병 최소화를 위한 농가순회교육 및 축산관련단체
교육지원
 농가 자율방역의식 고취를 위한 방역위생 정보지 발행
 가축전염병 예방요령 및 발생동향 등 신속한 정보제공  
   홍보물(리후릿) 제작ㆍ배포 
6. 교육 및 홍보
15
 
     16
 가축방역사·도축검사원의 신규 양성 교육
(가축방역사 24시간 교육, 도축검사원 8시간 교육)
 현재 활동중인 가축방역사·도축검사원에 대한 최신질병
정보 및 방역기술 등 보수교육
 특정 축종이나 지역 등을 감안한 맞춤형 전문교육
 공무원 교육, 전문가 토론회 등 위탁교육
전 문 교 육
1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