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미술마주보기
25.5.8
(김지민교수)
 
     예술을 통한 생명존중 레포트평가
 레포트 제출기한 :
5.18 (일) 자정까지.
제출방법
: dmaalak@naver.com 메일로 제출할것,
제목페이지 제외
3페이지 이상
한글파일
/ 표지1매+ 내용3매 full 이상+ 참고문헌페이지 / 글자크기 10(글자체무관)/ 줄간격 160%,
장평
100%, 자간 0%/ 용지상하좌우여백 20mm
대주제
: 예술을 통한 생명존중
부주제
: 자유롭게 정할것
(어떠한 관점과 시각으로 접근했는지 알수 있는 주제)
성찰과정
, 결론에대한 도출이유.본인의 주관적 의견과 주장, 비판이 최대한 들어가도록 작성
표지페이지
1+내용페이지 3매 full 이상+참고문헌페이지1이상(공공예술사례조사를 위해 방문한 경우
교통비
,입장권등을 증빈자료로 붙일것)
 
     예술을 통한 생명 존중
: 감각 너머의
공감과 연대
1. 수업 목표
음악
, 미술, 영화 등 다양한 예술작품을 통해 생명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탐구한다
.
표현 양식이 다른 예술이 어떻게 ‘죽음’
, ‘회복’, ‘공존’, ‘희망’이라는 주제를
공유하는지 비교
·성찰한다.
본인의 전공과 연결 가능한 주제를 발굴하여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레포트를 
준비한다
.
 
     [주제1] 죽음의 순간을 바라보는 예술
 
     질문
예술이 죽음을 어떻게 존엄하게 바라보게 하는가
?
자신의 전공
(예: 만화, 영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죽음을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
 
     영화
:
코코 (Coco, Pixar)
작품 개요:
멕시코의 ‘죽은 자의 날’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죽은 이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 그들을 ‘살아 있게’ 하는 방식으로 표현됨.
죽음의 의미:
‘
기억’이라는 행위를 통해 죽은 자와 산 자가 연결됨. 죽음은 끝이 아닌, 관계의 전환.
생명 존중 메시지:
사람의 존재는 ‘기억되고 있는가’에 따라 계속 이어진다는 공감적 메시지.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
기억을 통한 죽음의 초월
-
가족과 생명의 연결고리
-
문화가 죽음을 대하는 방식
 
     음악
: 벤자민 브리튼 – War Requiem
작품 개요:
전쟁 희생자들을 위한 진혼곡. 라틴어 미사와 반전 시인의 시가 함께 어우러짐.
전통과 현대, 종교와 현실의 목소리를 병치하여 전쟁의 참혹함을 부각.
죽음의 의미:
국가나 제도의 이름으로 희생되는 무명의 죽음들에 대한 진혼.
인간 생명의 비극성과 예술의 윤리적 기능이 만남.
생명 존중 메시지:
예술은 잊힌 죽음을 다시 보게 하고, 전쟁이 아닌 공감을 촉구하는 장치.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
예술의 반전 메시지
-
희생자에 대한 예술적 애도
-
제도 속에서 사라진 생명
 감상: 
(39) Britten: War Requiem / Rattle · Rundfunkchor Berlin · Berliner Philharmoniker - YouTube
 
     미술
: 프리다 칼로 – Broken Column
작품 개요:
교통사고 후 평생 통증 속에 살았던 칼로가 자신을 해부학적 이미지로 표현.
찢어진 몸, 철심 같은 척추, 흐르는 눈물 등으로 극심한 고통과 존재의 고립을 드러냄.
죽음의 의미:
죽음보다 더 가까운 고통 속에서도 스스로를 바라보며 살아 있는 존재로 그린다는 점.
생명 존중 메시지:
몸이 망가져도, 예술은 자기 존재의 증명. 자기 고통조차 생명으로 승화시킴.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
몸의 고통과 존재의 존엄
-
자화상을 통한 생존 선언
-
여성의 몸과 생명 표현
 
    
 
     
이 작품은 죽음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죽음 앞에서 ‘예술’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나의 전공(영상, 만화, 시각디자인 등)에서는 이 메시지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주제2] 생명의 회복과 재생
 
     질문
생명 회복을 다룬 예술작품이 나에게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켰는가
?
회복이라는 키워드를 자신의 전공에서 어떻게 풀 수 있을까
?
 
     영화
: The Tree of Life (테렌스 맬릭)
작품 개요
:
한 가족의 아들 죽음을 계기로
, 생명과 우주, 고통과 구원의 의미를 성찰하는 영화.
시적인 영상
, 대사 없는 묵상적 장면으로 인간 존재의 의미를 질문함.
회복과 재생의 의미
:
개인적 상실
(아들 죽음)에서 시작해, 우주의 기원과 생명의 순환까지 확장됨.
고통은 인간을 무너뜨리지만
, 동시에 더 큰 차원의 회복으로 이끎.
생명 존중 메시지
:
인간 존재는 우주의 일부로서
, 고통을 통해 더 깊은 생명 인식을 얻음.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
고통 속에서의 회복
생명과 우주의 연결성
비서사적 영화의 감정 전달 방식
 
     음악
: 말러 – 교향곡 제2번 “부활” (Res-
urrection Symphony)
작품 개요:
말러가 죽음 이후 인간은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지를 주제로 작곡.
마지막 악장에서 합창과 오르간이 등장하며 ‘죽음의 끝은 시작’임을 선언.
회복과 재생의 의미:
죽음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넘어 부활과 재창조를 선언함.
파괴 후 재건이라는 인간적 믿음.
생명 존중 메시지:
예술은 절망을 노래하면서도 희망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될 수 있음.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음악 속의 재생 서사
  파괴 이후의 아름다움
  신앙과 예술의 만남
 
     미술
: 빈센트 반 고흐 –
씨 뿌리는 사람
(The Sower)
작품 개요:
농부가 황금빛 들판에 씨를 뿌리는 모습을 그린 작품.
태양은 지고 있지만, 그 안에는 새로운 생명이 자라고 있음을 시사함.
회복과 재생의 의미:
절망적인 상황(고흐의 말년)에서도 미래를 위한 행위를 멈추지 않음.
씨앗은 곧 생명이며, 그 뿌리기는 희망의 표현.
생명 존중 메시지:
생명은 눈에 보이지 않을 때조차 존재하고, 인간은 그 가능성을 믿고 행위함.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행위로서의 희망
  자연을 통한 생명 은유
  일상의 반복 속 생명의 가치
 
    
 
     질문 제안
이 작품은 상실 또는 고통 이후의 회복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생명의 회복을 단순한 치유가 아닌, 더 큰 확장으로 바라볼 수 있는가?
나의 전공에서 회복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주제3] 인간과 자연의 공존
 
     질문
예술이 자연과 생명의 연결을 어떻게 시각화하는가
?
공존이라는 키워드를 자신의 관심 분야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문화콘텐츠)와
연결지어보자
.
 
     애니메이션
:
원령공주 (Princess
Mononoke,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 개요:
인간의 욕망(개발)과 자연의 분노(신령들) 사이의 갈등을 다룬 작품.
자연을 단순한 배경이 아닌, 주체적인 생명으로 설정.
인간과 자연이 극단적으로 대립하지만, 결국 ‘공존’의 길을 모색.
공존의 의미:
자연을 지배 대상이 아니라, 대화하고 존중해야 할 존재로 바라봄.
해결은 승패가 아닌 균형에서 온다는 메시지.
생명 존중 메시지:
모든 생명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파괴는 곧 자기파괴임을 경고.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자연신화와 생명의 존엄
  개발과 공존의 갈림길
  자연을 인격체로 그리는 서사적 전략
 
     음악
: 류이치 사카모토 – async (2017)
작품 개요:
사카모토의 말기 암 투병 이후 발표한 앨범.
인공음과 자연음(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등)을 병치함으로써 삶과 죽음, 
인간과 자연 사이의 경계를 허물음.
공존의 의미:
음악 안에서 인간이 만든 소리와 자연의 소리가 ‘동등하게’ 존재.
죽음을 앞두고도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음악을 창조함.
생명 존중 메시지:
자연은 배경이 아닌 공감의 대상. 소리로 표현된 생명성은 침묵 속에서도 흐름을 잃지 않음.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자연음의 음악적 의미
  병과 자연을 연결짓는 예술적 시선
  침묵과 생명의 사운드
 
     설치미술
: 올라퍼 엘리아슨 – The
Weather Project (2003)
작품 개요:
테이트 모던 미술관에 설치된 대형 태양 모형.
관객은 노란 안개 속에서 ‘해’를 바라보며 자신도 작품의 일부가 됨.
환경, 빛, 기후, 존재의 감각을 일깨움.
공존의 의미:
인간이 환경을 소비하는 존재가 아니라, 환경을 함께 구성하는 존재라는 자각을 유도.
기후 변화, 자연재해 등의 이슈를 감각적 경험으로 환기함.
생명 존중 메시지:
환경의 아름다움은 우리가 지켜야 할 대상이며, 동시에 그것 안에서 존재하는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함.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부주제 예시:
  환경과 감각의 예술
  관객이 참여하는 생명 인식
  자연을 모사한 공간, 인간을 돌아보는 거울
 
     질문
이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가
?
단순한 보호가 아닌 ‘공존’을 예술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
내가 속한 전공
(영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등)에서는 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