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에 사람
, 땅의 친구
이호운
0610088 하윤미
0810078 조윤미
평남 강동군 원탄면 상리에서
부친 이민조와 모친 최일구 사이에서
3남
2녀 중 2남으로 태어났다.
만주 용정의 영신중학교를 졸업
1932년 감리교신학교에 입학하여
1936년 3월 24일 졸업과 동시에
차경화와 결혼동부연회 춘천지방
화천교회를 담임
그 후 서부연회 해주지방 옹진으로 옮겨
마산구역을 담임하다가
옹진읍교회에서 시무
1939년 3월에 준회원에 허입
연회 해산 직전인
1941년 3월 9일 목사
안수
9월 친일 교단을 반대하는 의미로
옹진교회를 사임
일본으로 건너가 동지사대학에서
청강하였으며
,
1942년 귀국하여 해방을 맞기까지
고향에서농사
이호운 목사님에 대하여
1945년 9월부터 평양
성화여학교
(
평양여자고등성경학교
)에서
교무주임으로 시무하였다
.
이듬해 교회 측의 기념예배와
동시에 진행된
3.1절
기념대회에서 폭탄투척사건이
발생했는데 이호운 목사가 그
배후로 지목되어 일경에게
체포되어 곤욕을 치르고
석방된 후 곧바로 월남하였다
.
이호운 목사님에 대하여
월남하여 쿠퍼 선교사가 서울
충정로의 옛 여자신학교
건물에서 개설한
"
보혜성경학원
"에 교사로
참여하였고
, 1947년 4월부터
서울 중앙신학교교수로
활동하다가 미감리교에서
제공하는 십자군 장학금을
받고
1949년 9월 도미하여
에반스톤 개렛신학교에서
공부하다가
1951년 9월
달라스 소재 남감리교대학교
퍼킨스신학대학원
3학년에
전입하여
1952년 6월
졸업하였다
.
이호운 목사님에 대하여
1952년 9월부터 1956년 9
월까지 감리교신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감리교사
, 교리사,
교회인물사 등 교회사 관련
과목을 가르쳤다
. 뿐만 아니라
남녀 서리 교역자와 신학을
공부하려는 평신도를 모아
신학을 가르친 전수과가
1953
년
9월 21일 설치되자
과장으로 쿠퍼 목사와 함께
전수과를 담당하였다
.
이호운 목사님에 대하여
1956년 9월 대전신학원(현
의 교수로 전임하였고
1958년
4월 11일에는 목원대학 제2대
학장으로 취임하여 농촌
목회자 양성에 전력을
다하였다
. 1968년 12월 15
일 신경성 고혈압으로
뇌출혈을 일으켜 혼수상태로
세브란스병원에 누워 있다가
40일 만인 1969년 1월 25일
세상을 떠났다
(). 1월 27일
정동제일교회에서 장례식을
가졌다
이호운 목사님에 대하여
그는 이용도 목사의 설교를
통해 은혜받고 자신을 주님께
헌신하기로 작정하였다
.
이용도 목사를 처음 만난 것은
1930년 봄 간도 용정
부흥회에서였다
. 그 후 신학교
입학을 위해 서울에 와서 몇
개월간 현저동 이용도 목사
집에 머물면서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
그의 멘토
그는
"저도 주님을 위하여 몸
받치기를 원합니다
. 평안과
영광과 칭찬을 요구하지
않사오며 주께서 지고 가는
십자가를 요구합니다
.
골고다까지라도 가기를
원합니다
. 옛 성도들이 졌던
십자가 지금 목사님이 지신
십자가를 저도 지려고 합니다
.
오로지 저도 주님을 위하여 몸
받치렵니다
. 주님 위하여
일하고 살고 죽기를 원합니
다
."(1932년 6월 25일
이용도 목사에게 보낸 편지
)
그의 멘토
이러한 그의 약속대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 갖지
않는 농촌에 들어가 주님의 십자가를 졌다
. 그리고
일제 말기에는 친일적인 어용교단이 들어서면서
그리스도에 대한 복음이 훼손되는 일이 나타나자
신앙 양심을 버리지 않기 위해 목회를 그만두고
농촌에 묻혀 농사일에 몰두하였다
. 그리고 해방
후에는 교역자 양성을 위한 후진 양성에 전념하게
된다
. 이 후진 양성도 주님을 위한 십자가를 지는
일이었다
.
농촌 목회의 시작
이것이 자신의 명예나 출세를 위한 길이 아님은
찬송시
355장 "부름받아 나선 이 몸"에 잘 나타나
있다
. 1950년 개렛신학교 유학중 주님의
부르심에 복종하리라는 신앙고백으로 지은 이
찬송은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지어진 찬송가로서
신학교에서는 교가처럼 불리던 것인데
1967년
개편찬송가에 수록되면서 일반에 보급되었다
.
찬송가
-부름 받아 나선 이 몸
나라의 존망이 위태롭고 많은 사람들이 죽어 가는
상황 속에서도 실망하지 않고 우리의 역사적 상황
속으로 보냄을 받은 존재임을 일깨워주는
"주님
중심의 신앙체계
"(민경배)를 표현한 이 찬송가는
지금도 많은 사람에게 애창되고 있다
. 그와 함께
목원대학에서 일했던 조석환 교수는 이호운 목사를
가리켜
"부름받은 몸이란 찬송가대로 사신 분"이라
했다
.
찬송가
-부름 받아 나선 이 몸
찬송가
-부름 받아 나선 이 몸
〈감리교생활〉에 교회를 빛내는 인물들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 소개된 사람들은 모두 빛도
없이 이름도 없이 주님께 헌신하는 사람들이었다
(전금주 권사, 조기호 목사, 황영호 목사, 허태행
권사
, 시율린 목사).
사람들의 평가
그리고 박대선 총장이 장례식에서 조사를 통해
"
이호운 학장은 꿈의 사람이었다
"고 표현한 것처럼
그를 아는 사람들은 모두가
'꿈을 지닌 사람'으로
그를 기억하고 있다
. 항상 학생들에게 가르칠 때에
열정적이었고
, 예언자처럼 교회의 부패상을
질타하기도 했다
.
사람들의 평가
이러한 농촌에 대한 꿈은 목원대학으로 전임하면서
서서히 실현되었다
. 그는 10년 후인 개교 10주년
기념행사 기념사에서 그 꿈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
이호운 목사의 꿈의 실현
"요한은 예수를 가리켜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 말씀이 흙에 개어져야 합니다. 우리의
이상은
'복음을 흙에 개이려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직자로 초연하고 성별된 사람들이라 해서 은근히
허세를 부리고 권위를 내세우기에 여념이 없는
교역자를 기르기보다는 민중을 이해하고 그들
속에서 그들과 함께 사는 친구와 일꾼을
기르렵니다
."(1964. 5. 5)
이호운 목사의 꿈의 실현
위의 기념사에 나타난 것처럼 그의 사상은
"꿈(
복음
)을 흙 속에 민중과 함께 생활로 드러내는
것
"(《목원신학 반세기의 발자취》, 88쪽)이었다.
이 꿈의 실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한 이호운
학장을 나는
"꿈을 가진 농촌운동가"로 표현하고
싶다
. 그는 정말 목원의 개척자로서 자신을 돌보지
않고 일했다
. "불도저"란 별명을 얻을 정도로 굽힐
줄 모르는 용기로 학교행정을 처리하여
1965
년에는 대학인가를 받아냈고
, 수십만 평의
계족산을 확보하고 거기에
35만 주의 낙엽송과
각종 나무를 심었다
.
목원대학교를 위해
성산목장
, 실습농장을 가꾸어서 목원대학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 13년간 4백여 명의 교역자를
비롯하여
5백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의
회고에서처럼
"마치 딸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마음과 성의를 학교를 위하여 시간과 지혜와
정력을 바쳤다
. 그리고 학교가 자라는 것을 보고
기뻐했고 학교가 입을 피해를 보고 슬퍼했다
.
학교는 나의 기쁨
, 슬픔, 사랑이었다. 학교와 함께
기뻐하고 슬퍼했으며 학교가 나의 재산
, 나의
영광이었다
. 나에게는 다른 욕심은 없었다."("
학교를떠나는 마음
", 〈대전신학보〉, 1968. 12)
목원대학교를 위해
《주기도문 연구
: 그 특색, 목적, 및 해설》E.F. 스칼,
대한기독교서회
, 1953. (역서)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생활》
H.F. 로울, 감리교 총리원,
1954. (역서)
《푸른 초장
, 웹박사 설교집》 L. Webb, 진리사, 1954. (
역서
)
《개신교 입문》
J.H. Nichols, 진리사, 1955. (역서)
《크리스마스 사료》이호운 편
, 감리교총리원 교육국,
1956.
《예언자 연구》존 페터슨
, 한국기독교문화원, 1957. (역서)
《기독교교육 원리》
A. 빅토 머리, 대한기독교서회, 1957
(역서)
이호운 목사 주요저서 및 역서
《신교와 구교의 다른 점》아더
G. 레이놀드,
대한기독교서회
, 1958. (역서)
《주께 바친 생애
- 쿠퍼 목사전》 이호운 저, 총리원교육국,
1960
《개신교 원리》 이호운 저
, 총리원 전도국, 1960.
《시편 설교집》 해롤드
A. 보슬리, 감리교대전신학대
출판부
, 1964. (역서)
《그의 나라와 그의 생애
- 양주삼 박사》 이호운 저,
감리교대전신학대 출판부
, 1965
《기도생활》
L. Webb, 감리교대전신학대 출판부, 1966.
(역서)
《한국교회 초기사》 이호운 저
, 대한기독교서회, 1970
이호운 목사 주요저서 및 역서
『이호운 목사의 농촌목회론 연구』
탁현균
,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1997)
『이호운과 목원신학 - 이호운의 메시지 분석을 통한
목원신학 정체성 고찰』
남재영
,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석사학위 논문, 1999)
『이호운 목사의 신학연구』
원용철
,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석사학위 논문, 2000)
『이호운 목사의 영성에 관한 연구』
김재훈
, (목원대학교 신학대학 석사학위 논문, 2001)
이호운 목사 연구 논문
『牧園의 꿈
: 이호운목사 설교. 강연. 시집』
감리교 대전신학대학 동문회 편
,
(감리교 대전신학대학, 1972)
『牧園의 꿈 농촌선교 - 흙에 사람
․
, 땅의 친구
이호운』
전성성
, (목원대학교 신학대학동문회 부설
농촌선교연구소
, 2000)
이호운 목사 관련 도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