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목원대학교헤세도서관


세계 유일의 "헤르만 헤세 전문도서관"
헤르만 헤세 사진
헤르만 헤세1887-1962

나는 궁수자리 바로 아래에 있는 목성의 밝고 온화한 빛을 받으며 세상에 태어났다. 나는 어느 여름날 해질 무렵에 아무런 두려움 없이 태어났으며,​

나의 온 삶을 통해 그 때의 따뜻함에 늘 애착을 가졌고,​ 그 따뜻함을 잃게 되면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슬픔과 비애를 느끼곤 했다.​

『요약된 이력서 Kurzgefasster Lebenslauf』 중에서

헤르만 헤세 생애와 작품
  • -1900's 생애
    10대 1877년 7월 2일,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 주(州)의 소도시 칼브 출생 헤세의 아버지는 발틱계 독일인으로 인도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다 귀국하였고, 어머니는 슈바벤 스위스 혈통으로 목사의 딸이다. 유년시절을 주로 칼브와 바젤에서 보낸 헤세는 선교사 집안의 기독교적인 분위기에서 성장하지만 일찍부터 반항적 기질을 드러낸다. 칼브에서 실업학교, 괴핑엔에서 라틴어 학교, 마울브론 신학교, 칸슈타트 김나지움 등 많은 학교를 다니지만 모두 중도에 포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은 항상 상위권을 유지하면서도 배움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2~30대 1892년, 김나지움을 중퇴하고 서점판매원이 되기 위한 수업을 듣지만 다시 그만두고 기독교서적 출판업을 하시는 아버지를 돕다가 1894년, 칼브의 탑시계공장에서 견습공으로, 1895년에 다시 서점판매원 교육을 받고 난 후, 서점판매원 및 서적분류 조수로 일한다. 1898년, 첫 시집 『낭만의 노래』를 발표하고, 1899년에 스위스 바젤로 이주하여 그 해에 첫 산문집 『한밤중 후의 한 시간』을 출간한다. 1904년 마리아 베르누이와 결혼하고 가이엔호펜의 농가로 이주하여 자유 작가로 활동한다. 1년 후 그의 첫째 아들 브루노가 태어나고, 1909년에 둘째 아들 하이너가, 1911년에 셋째 아들 마틴이 태어난다. 그러나 헤세는 결혼생활에서 많은 갈등을 겪는다. 헤세는 계속해서 여행을 계획했는데 1911년에도 인도로 여행을 떠났다. 여행에서 돌아온 그는 가족과 함께 다시 베른으로 이사한다.
    작품
    1899낭만의 노래 (Romantische Lieder)
    1899한밤중의 한시간 (Eine Stunde hinter Mitternacht)
    1901헤르만 라우셔의 유작과 시 (Hinterlassene Schriften und Gedichte von Hermann Lauscher)
    1902시집 (Gedichte)
    1904Boccaccio
    1904아시시의 성자 (Franz von Assisi)
    1904페터 카멘친트 (Peter Camenzind)
    1906수레바퀴 아래서 (Unterm Rad)
    1907이편에서 (Diesseits)
    1908이웃사람들 (Nachbarn)
  • 1910's 생애
    40대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아직 독일 국민이었던 헤세는 자원 입대하지만 시력 때문에 복무 불능 판정을 받고, 베른의 독일 포로 후생 사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한다. 1916년, 아버지의 사망, 아내와 막내 아들 마틴의 중병으로 인해 정신적인 위기를 겪고 J. B. 랑 박사에게 정신과 치료를 받게 된다. 이 시기에 헤세는 그의 새로운 출발을 보여주는 소설 『데미안』을 쓰고 1919년에 에밀 싱클레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다
    작품
    1910게르트루트 (Gertrud)
    1911도상에서 (Unterwegs)
    1912Umwege
    1913인도에서: 인도 여행의 기록 (Aus Indien : Aufzeichnungen von einer indischen Reise)
    1914동창회 (Die Heimkehr)
    1914어린시절의 추억 (In der alten Sonne)
    1914로스할데 (Roßhalde)
    1914Der Lateinschüler
    1915가는길에 (Am Weg)
    1915고독한 자의 음악 (Musik des Einsamen : Neue Gedichte)
    1915크눌프 (Knulp : Drei Geschichten aus dem Leben Knulps)
    1916Brief ins Feld
    1916청춘은 아름다워라 (Schön ist die Jugend)
    1919데미안 (Demian : Die Geschichte einer Jugend von Emil Sinclair)
    1919작은 정원 (Kleiner Garten : Erlebnisse und Dichtungen)
  • 1920's 생애
    50대 1919년 헤세는 가족과 헤어져 스위스 테신의 몬타뇰라로 이주해 카무치 별장에 거주하며 수채화를 그리기 시작한다. 1919년부터 1922년까지 리하르트 볼테레크와 공동으로 월간지 『생명의 절규 Vivos Voco』를 발간한다. 1923년에 첫 부인 마리아 베르누이와 이혼하고 1924년에 스위스 국적을 취득하고, 스위스 여류 작가 리자 루트 뱅어와 재혼하지만, 1927년에 이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7년은 장편 『황야의 이리』가 출간되고, 헤세의 50회 탄생을 기념하여 후고 발이 쓴 『헤세전기』가 출간된 해이다. 1931년 헤세는 예술가인 니논 돌빈과 세 번째 결혼을 한다.
    작품
    1920화가의 시(Gedichte des Malers)
    1920혼란 속으로 향한 시선 (Blick ins Chaos)
    1920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Klingsors letzter Sommer)
    1920방랑 (Wanderung)
    1921Ausgewählte Gedichte
    1922싯다르타 (Siddhartha : Eine indische Dichtung)
    1923Italien
    1923싱클레어의 노트 (Sinclairs Notizbuch)
    1924요양객 (Kurgast)
    1925픽토르의 변신 (Piktors Verwandlungen)
    1926Bilderbuch : Schilderungen
    1927뉘른베르크 여행 (Die Nürnberger Reise)
    1927황야의 이리 (Der Steppenwolf)
    1928위기 (Krisis)
    1928관찰 (Betrachtungen)
    1929세계 문학 도서관 (Eine Bibliothek der Weltliteratur)
    1929밤의 위안(Trost der Nacht)
    1929Der Zyklon und andere Erzählungen
    1929Diesseits
  • 1930's 생애
    60대 이후 『나르치스와 골드문트』(1930), 『동방순례』(1932), 『회고록』(1937), 만년의 대작 (1946).
    작품
    1930나르치스와 골드문트 (Narziss und Goldmund)
    1931내면으로의 길 (Weg nach Innen)
    1932동방순례 (Die Morgenlandfahrt)
    1933작은 세계 (Kleine Welt)
    1934생명의 나무에서 (Vom Baum des Lebens)
    1935우화집 (Fabulierbuch)
    1936Das Haus der Träume
    1936정원에서의 시간 (Stunden im Garten)
    1936Tragisch
    1937Gedenkblätter
    1937신 시집 (Neue Gedichte)
  • 1940's 생애
    『유리알 유희』(1943), 수상집 『전쟁과 평화』
    작품
    1940Der Novalis
    1942시집 (Gedichte)
    1943유리알 유희 (Das Glasperlenspiel)
    1945베르톨트 (Berthold)
    1945Der Pfirsichbaum und andere Erzählungen
    1945Traumfährte : Neue Erzählungen und Märchen
    1946Dank an Goethe
    1946Der Europäer
    1946전쟁과 평화 (Krieg und Frieden : Betrachtungen zu Krieg und Politik)
    1948초기 산문집 (Frühe Prosa)
  • 1950-70's 생애
    시선집 『단계』(1961) 등 헤세의 수많은 작품들이 출판되고 괴테문학상, 노벨문학상, 독일 서적협회의 평화상 등을 수상한다.
    1962년 몽타뇰라의 명예시민이 되고, 그 해 8월 9일에 뇌출혈로 사망한다
    작품
    1950Jugendgedichte
    1951Späte Prosa
    1968Briefwechsel / Hermann Hesse, Thomas Mann ; hrsg. von Anni Carlsson
    1970Gesammelte Werke in Zwölf Bänden
    1970Politische Betrachtungen
    1970"Gesammelte Briefe / in Zusammenarb. mit Heiner Hesse hrsg. von Ursula und Volker Michels"
헤세 도서관
  1. 1. 세계최초의 헤세 전문 도서관입니다
  2. 2. 도서관 전문화의 시범 도서관입니다.
  3. 3. 실물 도서관과 인터넷 도서관을 이상적으로 결합한 미래형 도서관입니다.

목원대학의 행정/ 재정적 지원과 한국헤세학회의 학문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헤세에 관한 자료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습니다. 일반 헤세 동호인이나 헤세 전문 연구자들에게 학술적인 전문 자문을 하고 있습니다.
헤세의 아들을 비롯한 국내외의 헤세 연관 인사 및 기관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부분의 검색 기구에 올라와 있습니다. 목원대학과 더불어 헤세 연구의 메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늘 더 좋은 도서관이 되기 위하여 고민하고 있습니다.

연혁
  • 1997故홍순길 교수의 소장 자료로 ‘한국헤세학회 자료 도서관’ 개관
  • 1999목원대학교 안에 ‘헤세자료실’ 개설
  • 2000‘헤세도서관’으로 개칭
  • 2009홍순길 교수 헤세도서관 명예관장 임명정경량 교수 헤세도서관장 취임 제1회 헤세문학 콘서트 개최
  • 2010제2회 헤세문학 콘서트 개최
  • 2011제3,4회 헤세문학 콘서트 개최
  • 2012제2회 헤세문학 콘서트 개최제1회 헤세문학감상문대회 개최 2항목
  • 2014제6회 헤르만 헤세 문학콘서트 (내가 만난 헤르만 헤세)헤세도서관 주관 전시회 (5가지 키워드로 만나보는 헤르만 헤세)
  • 2015헤세도서관 주관 전시회(꽃보다 헤세 프로그램 - 헤세의 여행 발자취 따라가기)
  • 2016제7회 헤세문학콘서트
  • 2017헤세도서관 리모델링
  • 2018헤세처럼 35000 엽서보내기 프로젝트
  • 2019헤세문학콘서트 개최 (노래하는 인문학 헤세콘서트)
관련기관
관련기관. 순서,명칭,비고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명칭 비고
1 한국헤세학회 학회
2 헤르만헤세박물관 한국박물관
3 Montagnola 박물관 생애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곳(스위스)
4 Calw 박물관 헤세의고향(독일)
5 Hori 박물관 헤세가 일가를 이루고 자택을 지었던 곳(독일)
6 마이바흐 독일문헌 자료보관소 헤세의 유작 가운데 상당 부분을 관리
7 헤르만헤세포털 헤세관련사이트
8 Suhrkamp 출판사 헤세전문서적출판사
갤러리

헤세(생애)

작품(책,그림)

헤세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