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가치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뿌리깊은 나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는 것,
바로 목원대학교 교육 혁신의 근본목표
다양한 교과목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위한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의 혁신을 도모함. 이에 이와 관련된 수강생 수,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 지표 산식을 설정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교양교과목 수강비율×30%) + (혁신교양교과목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 지수×30%) + (혁신교양교과목 통합 만족도×20%) + (혁신교양교육과정 교육환경 이용 만족도×20%)] × 50%
α = 학기별 역량 통합 교육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다양한 교과목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위한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전공교육과정의 혁신을 도모함. 이에 이와 관련된 수강생 수,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 지표 산식을 설정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전공교과목 수강비율×30%)+(혁신전공교과목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 지수×30%)+(혁신전공교과목 통합 만족도×20%)+(혁신전공교육과정 교육환경 이용 만족도×20%)] × 50%
α = 학기별 창의융합 교육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교직원 혁진 지수는 [교수] T(티칭)*코칭 역량 강화 프로그램, 창의융합 교수법 교육, 특성화 CPND 교수교육, [직원] R&R 기반 교육, 교수-학습 지원 역량 강화 교육 등이 핵심 실행과제로 구성되므로 이를 성과지표의 세부지표로 반영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참여자 수와 통합 교육지원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지표 산식을 설정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참여율x30%)+(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현장적용도x40%)+(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시행증가율x30%)] x 50%
α =역량 혁신 지수 (1=교수, 2=직원)
교수 학습 지원 혁신은 학생 주도형 ‘1인1자기성장나무’ 키움 프로젝트, 위험 학생 그룹 적응형 학습, 지역문화예술 연계 체험활동 등이 핵심 과제로 구성되므로 이를 혁신학습법으로 반영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수와 학습-상담-진로-취업의 통합 학습지원 만족도, 성적 향상비율을 중심으로 성과지표 산식을 설정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 [(혁신학습법 참여비율×40%)+(통합 학생지원 만족도×30%)+(참여 학생 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비율×30%)] × 50%
α =학기별 학생 성장 학습지원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역량 진단 점수x30%)+(통합학업이력관리 참여율x30%)+ 티칭(또는 봄) 인증비율x20%]+(역량 강화 관리 프로그램 참여율x20%)]x50%
α=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 지수(1=교수 활동 질 관리, 2=학생 활동 질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