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목원대학교대학교육혁신단


참된 가치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뿌리깊은 나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는 것,
바로 목원대학교 교육 혁신의 근본목표

학생이 자율적으로 참여해 스스로의 감성을 일깨워 자아를 찾아가는 창의적 교육을 지향하며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성을 수용하는 열린 교육을 바라봅니다

성과지표

1. 역량통합교육혁신지수

지표선정이유

다양한 교과목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위한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교양교육과정의 혁신을 도모함. 이에 이와 관련된 수강생 수,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 지표 산식을 설정

산출식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교양교과목 수강비율×30%) + (혁신교양교과목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 지수×30%) + (혁신교양교과목 통합 만족도×20%) + (혁신교양교육과정 교육환경 이용 만족도×20%)] × 50%

α = 학기별 역량 통합 교육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기대성과

  •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 혁신 연착륙 및 교내 안정적 확산 토대 마련
  • 역량 통합 교양 교육 혁신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 도출

2. 창의융합교육혁신지수

지표선정이유

다양한 교과목 및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위한 교육환경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개선함으로써 전공교육과정의 혁신을 도모함. 이에 이와 관련된 수강생 수,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 지표 산식을 설정

산출식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전공교과목 수강비율×30%)+(혁신전공교과목 연계 비교과프로그램 활성화 지수×30%)+(혁신전공교과목 통합 만족도×20%)+(혁신전공교육과정 교육환경 이용 만족도×20%)] × 50%

α = 학기별 창의융합 교육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기대성과

  • 문화예술융합 특성화 및 역량 기반 전공 교육과정의 안정적 확산 토대 마련
  • 전공 교육과정 혁신을 통한 교육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 도출

3. 학생 지원 교직원역량혁신지수

지표선정이유

교직원 혁진 지수는 [교수] T(티칭)*코칭 역량 강화 프로그램, 창의융합 교수법 교육, 특성화 CPND 교수교육, [직원] R&R 기반 교육, 교수-학습 지원 역량 강화 교육 등이 핵심 실행과제로 구성되므로 이를 성과지표의 세부지표로 반영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참여자 수와 통합 교육지원 만족도 등 정량적 실적을 중심으로 성과지표 산식을 설정

산출식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참여율x30%)+(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현장적용도x40%)+(혁신교수법/직원교육프로그램시행증가율x30%)] x 50%

α =역량 혁신 지수 (1=교수, 2=직원)

기대성과

  • 학생성장과 성공을 지원하는 교직원 역량 확보 및 풍토 확산
  •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혁신과 문화예술융합 특성화를 수행할 수 있는 교직원 역량 토대 마련

4. 학생 성공 학습지원 혁신지수

지표선정이유

교수 학습 지원 혁신은 학생 주도형 ‘1인1자기성장나무’ 키움 프로젝트, 위험 학생 그룹 적응형 학습, 지역문화예술 연계 체험활동 등이 핵심 과제로 구성되므로 이를 혁신학습법으로 반영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수와 학습-상담-진로-취업의 통합 학습지원 만족도, 성적 향상비율을 중심으로 성과지표 산식을 설정

산출식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 [(혁신학습법 참여비율×40%)+(통합 학생지원 만족도×30%)+(참여 학생 전학기 대비 성적 향상비율×30%)] × 50%

α =학기별 학생 성장 학습지원 혁신 지수 (1=1학기, 2=2학기)

기대성과

  • 교양 및 전공 교육과정 혁신과 문화예술융합 특성화의 안정적 확산 토대 마련
  • 학생 주도의 성장과 학생 성공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혁신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 도출

5. 교수-학습 질관리 혁신지수

지표선정이유

  • 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은 역량진단 → 이력관리 → 인증 → 성과관리의 체계적 절차를 반영하여 각 단계의 정량적 실적들을 성과지표 산식으로 설정
  • 세부지표 : 역량진단 점수, 포트폴리오/CQI 참여비율, 인증비율, 역량강화 사후관리 참여율 등으로 구성

산출식

시그마 알파가 1에서2까지[(역량 진단 점수x30%)+(통합학업이력관리 참여율x30%)+ 티칭(또는 봄) 인증비율x20%]+(역량 강화 관리 프로그램 참여율x20%)]x50%

α=교수-학습 질 관리 혁신 지수(1=교수 활동 질 관리, 2=학생 활동 질 관리)

기대성과

  • 학생 성공 맞춤형 통합적 학습생태계의 교수-학습 지원 체제 혁신 및 토대 마련
  • 학생 성공 지향 교수-학습 활동 질 관리 체계화 기반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