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넘어 세계로, 함께 성장하는 열린대학
MOKWON UNIVERSITY
목원대 등 14개 대학, RISE U-늘봄 출범…지역대학 손잡고 공교육 혁신
-14개 대전권 대학, 전국 최초 공교육 협력 모델 출범
목원대학교 등 대전권 대학들이 손잡고 늘봄학교의 질적 고도화 등을 위한 공동 협력 체계를 출범시켰다.
이는 대학들이 경쟁을 넘어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늘봄교육을 공동 기획·운영하는 전국 최초의 사례다.
목원대는 대전지역 대학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전형 RISE U-늘봄 협의체’를 출범했다고 31일 밝혔다.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지역대학들의 실천적 선언이자 협력의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컨소시엄 참여대학은 주관대학인 목원대를 비롯해 건양대, 국립한밭대, 대덕대, 대전과기대, 대전대, 대전보건대, 배재대, 우송대, 우송정보대, 충남대, 한남대, 한국침례신학대, 한국폴리텍Ⅳ대학 대전캠퍼스 등 14개 대전권 대학이다.
이번 협의체는 대전의 우수한 늘봄 강사 인력이 수도권 등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이 함께 인재를 양성하며 돌봄의 책임을 분담하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취지로 출발했다.
참여대학들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늘봄강사 양성을 하나의 공동 체계로 운영하고 대학별로 보유한 인적·물적 교육 자원을 한데 모아 공유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대학별 특화 분야를 반영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기획·운영해 늘봄학교의 질적 제고와 고도화를 진행할 방침이다.
발대식에서는 단순한 협약 체결을 넘어 실질적인 협력 추진을 위한 전문가 특강과 실무자 간 협의회도 함께 진행됐다.
대전시교육청 김진호 주무관은 U-늘봄 사업의 운영 체계와 방향을 주제로 특강을 펼치며 기존 늘봄학교와의 차별점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목원스마트스쿨 이승준 국장은 지난 12년간의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공유하며 U-늘봄 사업과 연계한 실질적인 고도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또 대학 내 방과후 교육기관이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해 온 사례를 소개했다.
대전형 RISE U-늘봄사업의 책임교수를 맡은 전영주 목원대 사범대학장은 국내 최초로 아침·저녁형 늘봄학교 운영 모델을 발표해 많은 공감을 얻었다.
그는 “이 모델은 단순히 학생 교육을 넘어서 자녀 돌봄에 대한 부모의 부담을 줄이고 지역이 안고 있는 저출생 문제까지 함께 고민하는 교육 모델로서 큰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희학 총장은 “이번 협의체는 지역대학들이 상생의 기반 위에서 공교육 혁신에 나선 소중한 첫걸음”이라며 “대학들이 연대해 지역의 미래를 이끌 인재를 키우고 함께 성장하는 교육 생태계를 만들어가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